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유기웅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2 敎員敎育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understand college preservice teachers'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es. Specifically, the qualitative study seeks to highlight how and why preservice teachers who attend teachers colleges or college of education withdraw from teaching as a caree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college students who have had prepared for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prospective teachers and have recently given up being a public school teacher. There were four primary categories of findings: (a) motivation for teachers' college or college of education enrollment, (b) facing harsh reality, (c) anxiety and isolation, and (d) exploring alternative career opportun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사범대생들의 진로변화 과정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범대학에 재학 중이며 교생실습을 마친 4학년으로서 진로변화 과정을 경험하고 있는 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참여 학생들이 교직 포기 후 진로변화를 겪는 과정과 원인으로 ‘사범대 진학동기’, ‘현실 직시’, ‘불안감 및 고립감’, ‘대안적 진로 탐색’ 등의 범주를 발견하였고, 각 범주에 대해 하위범주, 개념 등을 발견하여 각각의 범주와 개념이 지니고 있는 의미를 이해하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사범대생들의 진로변화라는 것은 단순히 학생 개인적 차원에서의 취업준비 활동 측면에 중점을 두어 파악하기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신을 재발견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는 점에서 보다 중요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집단 간 비교연구 - 담임여부와 보직여부를 중심으로 -
유기웅,정주영,김인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0 敎員敎育 Vol.26 No.4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한국교육종단연구 3차 데이터를 사용하여 교사의 직무에 따라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집단 간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Multiple 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 MSEM)을 사용하여, 우선, 학생의 학습태도, 동료교사와의 관계,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변인이 교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담임교사와 비담임교사 간 차이가 있는 지 살펴본 결과, 모든 변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보직교사와 평교사를 대상으로 학생의 학습태도, 동료교사와의 관계,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변인이 교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도 마찬가지로 모든 변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examined teachers’ job satisfaction using a group comparison between homeroom teachers and non-homeroom teachers, and between teachers who are assigned to administrative duties and teachers who are not assigned to administrative duties. It uses a panel data set from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SPSS 17.0 and LISREL 8.53. Multiple group analyses were used to assess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related to students’ learning attitude, relationships with co-workers, an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omeroom teachers and non-homeroom teachers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related to students’ learning attitude, relationships with co-workers, an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lso,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eachers who are assigned to administrative duties and teachers who are not assigned to administrative duties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related to students’ learning attitude, relationships with co-workers, an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Understandings of Organizational Culture
유기웅,조태준 한국유통과학회 2013 유통과학연구 Vol.11 No.11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discuss definitions of organizational culture taking into consideration different views, and th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elements of organizational cultur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paper is a relatively conceptual study that has attempted to define organizational culture, a topic that has been debated among scholars and practitioners. Various studies in the literature related to organizational culture have been reviewed in an effort to reduce the complexities and ambiguities in definitions of organizational culture. Results This study summarized and synthesized different –studies related to organizational culture, and identified the main streams for defining organizational culture as being from th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elements of organizational culture. Conclusions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culture continues to b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nitiating organizational development. However, the defini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has not been well-established. In this sense, this paper seems to be significant and meaningful as it attempts to define organizational culture from different perspectives.
유기웅 한국성인교육학회 2011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4 No.3
Program planning is a critical activity in the field of adult education. This article proposes a viewpoint on program planning practice that takes social relations as central to planning programs and asks what adult educators can do to plan from the relational perspective. Although there are number of studies in the literature investigating various theories of program planning and using those theories as conceptual frameworks, little is known about the relational perspectives of program planning. This study explores the central concepts on which the study is based: What is meant by relational perspective? What is relational program planning? Why is relational program planning important? Future empirical research could further test the adequacy of this study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본 연구에서는 성인교육 프로그램 개발 활동을 탐색하는 데 있어 관계론적 관점이라는 새로운 이론적 틀을 제시하여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논의를 확대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하여 적지 않은 연구가 있어 왔지만 최근 10여 년 동안 별다른 이론적 발전을 이루지는 못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기존의 이론과 모델을 ‘이론적 틀’로써 적용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프로그램 개발 이론 및 모델 자체에 관한 새로운 연구 활동이 활발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우선 사회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관계론적 관점의 개념과 경험연구를 소개하고 성인교육 프로그램 이론적 동향을 논의한 후 관계론적 프로그램 개발과 중요성, 그리고 향후 연구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 개발 활동이 사회적 활동이라는 의미는 단지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 사회적 맥락을 고려해야한다는 기존의 논의를 넘어, 모든 프로그램 개발 활동은 사회적으로 배태(embedded)되어 있고, 복수의 개인들의 다양한 상호작용이 프로그램 개발에 영향을 미친다는 관계론적 관점(relational perspective)에서 프로그램 개발을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성인초기 이후 발달과업과 교육활동에 관한노인의 인생회고
유기웅 한국성인교육학회 2015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8 No.3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생애 국면상의 발달과업을 체계적으로 탐색하고 어떠한 교육적 활동을 수행하였는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총 11명의 노인을 인터뷰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크게 ‘자신의 미래 찾기’, ‘변화에 적응하기’, ‘성공에 대한 열망’, ‘부모 되기’, ‘중년기 삶의 균형 유지’, ‘노년의 재점검’이라는 범주로 구분하여 각 범주들이 의미하는 바를 연구 참여자의 진술에 근거하여 해석하였다. ‘자신의 미래 찾기’와 ‘변화에 적응하기’는 성인기 입문단계로 독립적인 자신의 삶을 꾸려가기 위한 노력을 하는 시기를 말한다. ‘성공에 대한 열망’과 ‘부모 되기’는 직업에 종사하며 배우자를 선택하고 가정을 꾸려 성공에 대한 열망과 좌절을 경험하는 시기를 말한다. ‘중년기 삶의 균형 유지’는 직장에서 승진하여 어느 정도 위치에 오르게 되고 자녀들의 성장과 교육활동 지원에 신경을 쓰며 연로한 부모님과의 관계 정립, 여가활동 탐색 등을 통해 삶을 재점검하고 안정을 위해 노력하는 시기를 말한다. ‘노년의 재점검’은 직장에서 은퇴하고 자녀의 결혼, 부모의 상실, 건강상의 문제 해결 등 지나온 삶에 대한 성찰을 통해 인생을 되돌아보는 시기를 말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존의 발달과업 연구와 모델에서 제시하는 내용과 크게 벗어나지 않았으며 개인의 삶 및 경력과 관련된 문제와 이슈를 탐구하는 데 유용한 기본 틀을 마련해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주요 발달과업을 수행하는 데 교육활동의 영향력과 역할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 연령별 발달과업 수행을 위한 개발적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al activities of adult life. Specifically,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how people as adults develop and change as they age and to highlight how and what older people have learned throughout their lives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al issues and changes in their liv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a variety of settings with 11 people who were over 65 years old. There were six primary categories of findings. They are ‘searching for the future', ‘adjusting for changes', ‘passion for sucess', ‘becoming parents', ‘keeping balance in life', and ‘reviewing old life'. First and second, as people grow older, they were concerned about their future career and being independent, and they adjusted for changes. Third and fourth, people started their first real job, becoming financially independent, marriage, and parenting, and they worked with passion for success. Fifth, the participants discovered and tried to maintain a life balance in their middle age. Finally, people re-reviewed their entire live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ies on adult development.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participation of adults in learning is closely related to their developmental issues and changes in their lives.
엘리트 오버핸드 투수의 마운드 높이에 따른 볼의 궤적 각도, 속도에 미치는 영향
유기웅,신호철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0 코칭능력개발지 Vol.2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마운드의 높이(평지, 10인치, 15인치)에 따라 엘리트 오버 핸드 투수의 피치 각도와 속도 변화에 대한 관절 움직임과 순서를 분석하고 이러한 변화가 오버 핸드 투수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주제는 대학과 고등학교에 속한 7 명의 오른 손잡이 오버 핸드 투수였으며, 12 세트의 적외선 카메라와 모션 분석의 Cortex 소프트웨어의 3차원 동작분석 시스템을 통해 자료를 추출하였다. 데이터는 각 마운드 별로 스트라이크 존 내에서 들어온 피험자의 가장 빠른 피치 5개씩 측정하였고, 레이더건을 사용하여 볼 속도를 측정하였다. MATLAB 프로그램을 통해 각 변수에 대한 각도 이동 및 동작 데이터 범위를 계산하였다. 조사된 데이터는 SPSS와 One way Repeated Measure ANOVA 및 Pearson 상관 분석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1) 마운드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볼의 궤적 각도가 평지보다 10인치 마운드 높이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15인치에서는 감소하는 것으로나타났다. 2) 10인치의 마운드 높이는 투구 속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15인치에서는 엘리트 오버 핸드 투수의 투구 속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10인치 마운드 높이는 릴리스 포인트의 높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릴리스 포인트수평거리가 작았던 15인치에서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15인치 이상 더 높은 마운드는 투구 메커니즘에 부정적인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엘리트 오버핸드 투수들에게 15인치 이상의 마운드 높이는 퍼포먼스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퍼포먼스향상을 위해서 릴리스 포인트 수평거리를 증가시키는 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한국과 미국의 대학원 평생교육학 전공 프로그램 비교 연구
유기웅 한국성인교육학회 2019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raduate programs of lifelong education in Korea and make comparisons with the graduate programs of the United States. Total 20 universities were chosen for comparison purposes, 10 Korean and 10 American. Their program titles, program objectives, curricular, admission requirements, coursework, and degrees offered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from the graduate programs are indicated as follows; a) there are differences in where the programs are located within the departments and colleges or schools; b) there are differences in names of the programs; c) the programs make distinction between academic degrees and professional degrees in the United States; d) there are differences in objectives of the graduate programs between two countries; e) the Korean curriculum demonstrates in ways in which the programs focus more on core courses which are parts of the certification of the lifelong educator and the perspectives of educational sociology, while the American curriculum is considerably more individual learner-oriented than Korea.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were discussed. 대학원 교육은 평생교육 분야의 학문 후속 세대 및 평생교육의 이론과 실천을 접목하는 지도자를 양성하는데 있어 중추적 역할을 담당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대학원 평생교육 전공 프로그램의 구조 및 운영적 측면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에서 해당 전공을 대학원 석․박사 학위과정에서 제공하고 있는 대학 10개교씩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국과 미국의 대학원 평생교육 관련 전공 프로그램의 단과대학, 학과 내 개설 위치가 상이하다는 점이다. 둘째, 한국과 미국의 대학원 평생교육 관련 전공 프로그램의 명칭이 상이하다. 셋째, 미국의 경우에는 순수학문지향적 학술학위(academic degree)과정과 현장지향 전문학위(professional degree) 과정을 구분하여 운영하고 있다. 넷째, 한국과 미국의 대학원 평생교육 전공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있어 두 나라는 목표설정 측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다섯째, 교육과정의 구성면에서 보았을 때 미국의 경우 개인 성인학습자 관련 교과목이 많은 반면 한국은 평생교육사 자격에서 필수 또는 선택으로 요구하는 교과목들을 중심으로 교육과 사회를 연관 지어 이해하려는 내용의 교과목들이 미국에 비해서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론과 논의에 따른 한국의 대학원 평생교육 전공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