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방간호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왕명자,김정화,김윤희,백승남,차남현,김정아,박지원,안옥희,최희정,Wang, Myoung-Ja,Kim, Jeong-Hwa,Kim, Yoon-Hee,Paik, Seung-Nam,Cha, Nam-Hyun,Kim, Jeong-Ah,Park, Jee-Won,Ahn, Ok-Hee,Choi, Hee-Chung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4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0 No.1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investigation study to identify oriental nursing curricular data, situation, and cognition which are ongoing in our country's educational institutions.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a hundred and seventeen nursing institutions(sixty four of three-year course and fifty three of four-year course) after distributing fourteen questionnaires by mail and collecting them by phone and internet browsing from Mar. 2. 2003 to Nov. 11. 2003 to identify oriental nursing educational situation. Results: 1) Oriental related subjects included mostly oriental nursing, introduction of oriental nursing, and introduction of oriental medicine. The credits were mostly two credits for four-year course, however, there were similar number of three-year courses of schools opening with one credit(53.5%) and two credits(46.5%). 2) The educational purpose of oriental subject was for reasons of citizen's increasing concern to the oriental medicine, need of integration of east-west medicine, and method of own traditional treatment. 4) In the prospect of oriental nursing, opinion of needs of continuous education to develop the theory and practice was the most, and there was opinion of progress of oriental nursing in accordance with oriental medicine, while there was one of no need of education also. Conclusion: Accordingly, we suggest a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developmental oriental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such as professional oriental nursing course for nursing leaders and nurses. and need for aggressive studies on oriental nursing for paradigm shift. In addition, it is prospective that the development of oriental nursing theory and practice could be recognized as an internationally competitive one of our own nursing knowledge system in world nursing market.

      • KCI등재

        노인의 건강신념과 건강관행에 관한 연구

        왕명자 ( Myoung Ja Wang ),차남현 ( Nam Hyun Cha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3 동서간호학연구지 Vol.8 No.1

        This paper focused on providing the groundwork for the development of proper nursing interventions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by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may affect their health beliefs and behaviors. A survey was conducted on a group of people aged between 60 and 86 years residing in S and K cities from January to March of 2003,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using instruments measuring health beliefs and health behaviors, and was analyzed by using SP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Those in the group were aged between60 and 86 years, and the average age was 66.94 years old. Most of them were living together with their spouses. From the survey, 83.5% replied above average on the question regarding their current health condition, whereas, 46.0% mentioned that they had some sort of diseases. 2) Overall average score of the health belief was 516.05, with a mean 3.71±4.07. This indicates that the studied group held a high level of health belief, which affects their attitude and intention to lead a healthy life by placing the present life under control in harmony with nature. 3) Overall average score of the health behaviors was 392.24 with a mean 2.82±.52. For health purposes, the behaviors that the elderly people were taking were mostly static ones requiring a low level of activity. The analysis showed that they generally were involved in self-trained, individualized health care. Thus, the elderly place a higher priority on regular dietary behaviors than on physical activity. 4) The correlation between health belief, a cognitive aspect on health, and health behaviors, a behavioral aspect showed a very high linear relationship (r=.520, p<.000). Consequently, it is found that those who have higher cognitive health belief are involved in higher level of behavioral health practice. These findings concluded that the Korean elderly have good health beliefs, well controlling their minds and being harmonious with nature. Health behaviors that they are engaged in are mostly static, requiring low level activity, while they place higher priority on regular dietary habits and conducting self-trained individualized health care.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ir health beliefs and health behaviors was found to be their health practice. Since higher health belief is highly related with good health behaviors, development of health activity programs is in need as a means for an efficient health improvement, where motivating environment may be established to enhance the health belief of the elderly and to satisfy individual values.

      • KCI등재후보

        노인의 양생과 신체기능과의 관계

        왕명자 ( Wang Myoung Ja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0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6 No.1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들이 느끼는 양생과 신체기능 정도를 확인하고 그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여 노인을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 하고자 한다. 대상자들의 양생과 신체기능은 대체로 좋은 편이었다. 이를 볼 때, 본 연구 대상자들은 건강하게 장수하는데 목적을 두고 일정한 원칙하에서 일정한 방법으로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예방하고 있고 신체적 능력도 제한이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생과 신체기능과의 차이 검정을 실시한 결과, 양생에서는 건강상태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일정한 방법에 따라 양생의 도를 지키면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장수 할 수 있다.(Bae, 1998, Park, 2001)는 양생의 목적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한방적으로 볼 때 건강은 인체가 ``음양이 조화된 상태’ 이며, 자연의 음양 조화에 적응하는 것이 양생이므로, 음양의 조화에 부합되게 몸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대상자들의 양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 보급함이 요구된다. 신체기능은 연령, 교육수준, 동거상태, 건강상태, 성공적 노화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령이 낮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동거가족이 있고, 건강상태가 좋으며 성공적 노화를 하고 있다고 응답할수록 신체기능이 좋다 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결과는 본 연구의 일반적 특성 변수와 비교할 수 있는 연구가 거의 없이 비교가 어려우나, 복지관노인을 대상으로 연령, 배우자, 건강상태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한 ○h(002)의 연구와 비교할 때, 본 연구에서 추가된 성공 적 노화 항목을 제외라고는 비슷한 변수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만 80세 이상 노인이 만 60세 이상- 79세 노인보다 신체기능 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체력이 감퇴되고(Kim, 2009), 연령이 낮은 대상자보다 신체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증가하고 질병 발생률도 높아지게 되며, 질병의 존재는 생리적인 적응력을 떨어뜨려 일상생활 및 사회적 활동을 제약하여(Jung, 2002)일상생활 수행능력을 제한시키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연령 증가에 따른 신체기능의 저하를 막거나 신체기능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심리, 사회적 건강을 증진시킨다. 따라서, 노인 초기부터 연령 증가에 따른 신체기 능의 저하를 막거나 신체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신체활동을 규칙적으로 시행하도록 노안들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본 연구 대상자들은 신체기능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지적 지식에 대한정보를 많이 알수록 신체적 활동이 신체적, 생리적 효과뿐 아니라 정신건강 향상에 도 긍정적 영향을 미쳐 심리적 안정과 행복감을 가져 올 것이라 는 (Choi, Kim, Lee, & Kim, 1999)긍정적인 태도와 인식을 가지고 긍정적인 신체활동을 할 기능성이 높기 때문과 관련 있다. 따라서, 교육수준이 높은 노인들에게는 신체활동의 이점과 방법 에 대한 교육과 실행 프로그램을 개발, 시행하고 교육수준이 낮 은 노인들에게는 신체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질 수 있는 교육이 강화된 중재 프로그램 적용이 요구된다. 또한, 신체기능에 유의한 변수로 동거가족이 유의하였다. 동거가족은 노후의 행복도와 성공적인 노화를 죄우하는 기본요건 의 하나이자 자원이므로(Kim, 1999), 동거가족이 있을수록 노화속도를 늦추고 건강수명 연장에 도움이 되는 신체적 활동을 규칙적으로 시행하도록 격려하는 지지적 자원이 될 수 있으므로 신체적 활동을 더 잘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가족 내 결 속도는 생활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Cho, 1990)을 미치기 때문에 신체기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된다.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대상자일수록 건강상태가 보통이거나 나쁘다고 생각하는 대상자보다 신체기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일상생활활동을 하는데 제약이 적을 것이고 이는 건강증진행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Stock-ert, 2001) 신체기능의 저하를 감소시키기 때문과 관련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노인의 신체기능을 위해 일상생활수행 정도 와 신체활동을 수시로 평가하여 노인이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는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이 노년기의 삶의 만족을 위해 중요하다. 성공적 노화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대상지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대상자보다 신체기능 수준이 높았다. 성공적 노화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기능의 수준이 높고, 삶의 만족도가 높으며, 적응수준이 높은 상태(Rowe & Khan, 1998)이므로 당연히 신체기능에 지장이 적을 것이다. 신체기능은 노인이 자기 스스로 독립적인 생활을 하는데 있어 다른 사람과 같이 공통적으로 일상생활을 반복하여 무리 없이 진행하는 일련의 신체 동작이므로(Min, 2006), 신체적으로 건강하다는 것은 일상적 인 활동을 반복하는데 지장이 없고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신체기능은 정신적 건강을 유지, 증진할 뿐만 아니라, 정신적 퇴화까지도 막을 수 있는 방법이므로 노인들이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면서 적절한 사회활동이 보장될 수 있는 정기적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노인이 지각하는 양생과 신체기능과의 상관관계는 서로 간에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양생을 잘할수록 일상생활 활동을 잘하고(Kim & Jung, 2001)정력적인 신체활동을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는 (Jang, 2007)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노인이 건강에 대한 인지적 수준이 높고 정서적, 사회적으로 지지하는 사람이 있으며 건강하고 성공적인 노화를 하고 있다고 생각할 때 정신적, 신체적 건강상태인 양생을 잘하고 신체기능 수준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양생을 잘하고 신체기능이 좋으면 노년기에 발생하는 생리적, 신체적, 심리적 기능의 저하는 물론, 인생의 만족감과 행복감을 느끼게 되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의 양생과 신체적 기능의 유지를 위해 신체적, 기능적 측면을 고려한 교육과 중 재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Yangsae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physical activity in the elderly in Korea. Methods: A total of 257 subjects (ranged 60-88 yr of age)was recruited through convenient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with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March 2 through 25, 2009.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PC WIN 15.0. Results: The level of Yangsae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health recognition (p<, 05). The level of ADL was differed siguif1cantiy according to age, successful aging, cohabitation, and health recognition. Physical activity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level, cohabitation, (r=. 385; p<, 05) and health cognition (p<. 05). The level of Yangsaeng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DL (r=. 448) and physical activity (r=. 385; p<. 05). Conclusions: These findings help in understanding the health status of community-dwelling elders and suggest that promoting the Yangsaeng can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as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elderly in Korea.

      • KCI등재

        체질별 식품(體質別 食品)과 약(藥)

        왕명자 ( Myoung Ja Wang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199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2 No.1

        lf we eat long time that don′t suit our consti tution, health is broken and we take a disease. Ther efire, care of foods and taking medicine by consti tutional notion have a object that is normal control of constitution. lt is attained when we maintain an adequate balance of Jang and Bu(臟腑) organs func tional deflection.

      • KCI등재

        한방병원 병상 실태와 한방 간호의 교육 현황에 따른 한방간호사 수요 예측에 대한 고찰

        왕명자 ( Myoung Ja Wang ),안옥희 ( Ok Hee Ahn ),김희숙 ( Hee Sook Kim ),옥도훈 ( Do Hoon Ok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1998 동서간호학연구지 Vol.3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manding outlook and the Nursing education by grasping the present educational conditions of nursing in oriental medicine. The results of survey and study on 112nationwide schools (47 Department of nursing and 65 Nursing junior colleges) and data of the Korean Oriental Medicine Association and General Assembly in Sep. 1998 a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nurse Oriental Medicine hospitals require in 2002 will have increased at least 700 or more. Public health centers` and other centers` requirements will increase more and more.2. Education of nursing in oriental medicine is offered at practice in 14universities (29.8%) among 47universities and 35 colleges (53.8%) among 65 colleges.3. Nursing education in Oriental Medicine is mostly offered in the first term of the second year at universities third year at colleges with 2 points. According to this result, we would like to suggest as follows; A nurse whose main interesting subject is human beings will be an important figure as a medical information administrator in 21 century, namely, a nurse will play the leading part in the hospital administration more than a doctor. We must take much more interest and exert ourselves in developing education of nursing in oriental medicine because in the future it will be the one and only field in the world, so we can export our Nursing manpower.

      • KCI등재

        뜸에 대한 문헌고찰 및 국내 연구동향 분석 - 동의보감(東醫寶鑑) 침구편(鍼灸篇)을 중심으로 -

        전상희,왕명자,Chun, Sang-Hee,Wang, Myoung-Ja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3 동서간호학연구지 Vol.8 No.1

        Moxibustion plays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the medical service, but also in the health care of Korea. So this study attempted to review of moxibustion and analyze of domestic study trend. And it also intends to examine the usefulness of moxibustion treatment in Korean nursing intervention. "Donguibogam" is famous for the most comprehensive medical book in ancient Korea, indicates that moxibustion makes up a large part of it and that its contents were composed of material, size, time, caring of one's health, indication, operational procedure, contraindication in the documented in the 25 reference books. Also, It confirms that it has been widely used since old times. Especially, it seems to be a great help to researchers because its content lay a theoretical foundation. From the literature, we identified that moxibustion was most widely using method for health promotion and an efficacious cure for a disease. I searched and investigated the journals and dissertations supplied by KERIS and RICH with the key word "moxibustion". Of 10 articles with moxibustion intervention, the trend of domestic studies shows, that of an area relating to nursing was 5. Therefore, moxibustion intervention steadily increases in frequency in nursing academic circles year by year. But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hand moxibustion and moxibustion.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we need to develop moxibustion learning program and well designed experimental study with moxibustion for Korean Nursing intervention.

      • KCI등재

        성인 여성의 자연가족계획방법 사용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요구도 조사

        박신애,왕명자,차남현,최희정,Park, Shin-Ae,Wang, Myoung-Ja,Cha, Nam-Hyun,Choi, Hee-Chung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4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0 No.1

        Purpos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demand, the recognition, and the attitude of general people on Natural Family Planning Method(NFP),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a development of a program to establish a healthy sexual life. Method: This is a descriptive correlative study, collecting data by questionnaires. The subjects were 130 people of three urban areas from March 1 to April 15, 2004. The measurement tool used was about demand, recognition, and attitude to the natural birth control method. The data analysis was done by number, percent an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program. Results: The recognition, attitude, and demand to natural birth control method was 3.01, 2.84 and 2.73 respectively. The higher recognition of correlation for natural family planning, the higher attitude(r=.864, p=.000) and demand(r= .525, p=.000) of correlation for natural family plann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y subjects almost produced self esteem and confidence recognizing at the idea of life and self value, and positively thought of need, recognition, and attitude of natural family planning method which could keep their own health management. Conclusion: As the result above, we suggest that an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developed, diffused and supported, and culturally formed by nation and social group to insist the benefit of conjugal relations in natural family planning as well as to support the knowledge deficit.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성별 음란물 접촉실태와 성 갈등에 대한 연구

        차남현 ( Nam Hyun Cha ),왕명자 ( Wang Myoung Ja ),유경희 ( Kyung Hui Yu ),김정아 ( Jeong Ah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2

        본 연구 대상 아동 952명중 ‘음란물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다`` 고 응답한 남아는 63. 2%,(288명) 이고 여아는 60.5% (300명)이지만,‘음란물에 접촉한 경험’이 있다 ``에는 남아 34.4% (l57명), 여아27.4% (l36명)가 응답하여, 대부분의 아동은 음란물에 대하여 들어본 경험은 있지만, 접촉한 경험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초등 아동을 연구한 Kim과 woo (2001), Kim (2002)과 Kang (2004)이 음란물 접촉자율을 각각 20.3%, 28.6%, 30%로 보고한 선행연구 결과보다 더 높은 퍼센트를 나타내었다. 처음 음란물을 접촉한 시기는 ``5학년 때’가 남가 아동 39.5%, 여아 44.1%로 가장 많았고, ``4학년 이전’도 남아 31.8% , 여아 30.9% 로서, 음란물을 첫 접촉한 시기가 4학년 이전 16.8%(Kim,2002) , 19.8% (Oh, 2003)라는 선행연구에 비하면, 본 연구 대상 아동의 ``4학년 이전’ 음란물 접촉 비율이 또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초등학교 아동들이 상업적인 성에 노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매스미디어의 광범위성, 대중성, 능동성, 동시성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앞으로 음란물 접촉을 및 저학년 접촉빈도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접촉한 음란물 유형에 대한 복수응답 결과,‘컴퓨터를 통해 음란물을 보았다``는 남아 82.8%(l30명), 여아 90.4% (l23명)로 가장 빈도가 높은 접촉유형이고’ 다른 음란 접촉 유형은 비슷한 빈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컴퓨터를 통한 음란물에 초등학교 아동이 쉽게 접촉하고 있음을 지적한 선행연구 (Yom, Yun, & Lee, 2002; Hong, 2003; Kang, 2004)의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개인용 컴퓨터와 인터넷 사용인구가 급증하고, 학교나 주택가 주변 PC방이 즐비 하면서 음란물들을 더욱 쉽게 볼 수 있게 된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에 대해, Kim과 woo (2001), Park(2001)는 연구에서 컴퓨터 음란물 차단프로그램의 설치가 각각 19.4%, 13.3%에 불과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사실 컴퓨터 매체를 이용한 인터넷 음란물은 대중성과 동시성 등의 특성이 있어 미성년자의 접근이 쉽고 광범위하게 노출이 될 수 있는 반면,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과 대책이 매우 부족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인터넷 음란물에 대해 정부에서는 청소년보호법 이 실효성을 거둘 수 있도록 규제 및 처벌을 더욱 엄격하게 하고, 음란물 차단 프로그램의 설치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음란물에 접촉하는 동기는``우연히`` 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남아 51.6%, 여아 53.7%) ‘스팸메일’을 통해서, 친구 및 형제’의 권유로,‘호기심``으로 직접 찾아봄순으되 남녀 등 모두 우연히 접하는 경우가 많았다.‘스팸메일’을 통해사는 남아보다 여아가 접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 청 (2005)에서 제시한 청소년 음란물 사이트 접속경로로 우연히 (남이 32.7%, 여아 35.5%), 친구나 선후배 소개로 (남아 31.5%, 여아 11.7%), 일부러 음란물 검색 (남아 20.9%, 여아 6.9%), 스팸메일 (남아 6.5%, 여아 14.8%)과 순서가 일부 일치함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아동이 무엇보다 우연히 음란물을 접하는 경우가 많은 결과는 포르노 사이트의 무차별적 음란물 배포에 대하여, 초등학교 아동들이 무방비 상태로 노출 되어 있으며, 현재 이를 차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설치의 미흡을 의미하는 것이다. 음란물과 접촉하는 빈도는 ‘거의 안보거나 특정 싸이클이 없다. (남아 73.7%, 여아 87. 2%)는 응답이 많았고)거의 매일 보는, 남아는 4.5%, 여아는 0.7%였다. 이는 통계청 (2005) 의 청소년음란사이트 이용경험 조사에서 ‘한번도 없음’(남아 24. 5%, 여아 70.6%), ‘일년에 l-2회, 접촉히는 남아가 l5.8%, 여아 8.5%,‘한달에 l- 2회’ 접촉하는 남아 26.8%, 여아 4.8%, ‘일주일에 l- 2회’ 접촉하는 남아 l5,9%, 여아 1.9% 라는 결과에서 제시하듯이, 대부분 이동은 음란물에 접촉하지 않고 있으나, 음란물 접촉은 남아가 여아보다 더 많았다. 음란물과 접촉하는 기간은·15분 미만이 남아 86.8%, 여아 96.2%로 가장 많았고, 15분 이상’은 남아 l3.2%, 여아 3.8%로 대부분의 아동은 음란물 접촉시간이 짧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소수이기는 하나 정기적으로 음란물에 접촉하는 아동에 대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음란물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아동일수록 학습에 많은 지장을 받고 있음은 물론, 성과 관련된 반응에 있어서 보다 쉽게 자극 받고 충동을 일으키며, 그 충동을 실제 행동으로 옮길 가능성이 크고 (oh, 2003), 중독성이 강하며, 성에 대해 비하하는 태도와 행위, 충동조절 능력 저하, 폭력적이 거나 모욕적인 성행위를 선호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정부와 학교당국, 부모님의 음란물에의 적극적이 고 효과적 인 대처 방안이 시급하다. 음란물과 접촉하는 장소는 자기 집이 (남아 68,8%, 여아 81.5%) 가장 않았고 친구집(남아 16.0%, 여아 7.6%), PC방 (남아 4,2%, 여아 5.9%), 학교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통계청 (2005)에서 보고한 6-l4세 어린이가 이용하는 인터넷 장소로 가정 90.5%, PC방 빛 게임방 25. 8%, 학교 18.2%라는 결과와 순위가 일치 하고 있다. 따라서 음란물 접촉이 가장 많다고 응답 한 가정에서 부모의 음란물을 방지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공개적으로 아이들과 PC를 공유하는 방을 마련하고 음란물 차단 시스템을 PC에 설치하며, 수시로 관심 있게 보는 사이트 및 정보를 확인,대화하고 컴퓨터 이용시간을 제한하여 아이들의 건전한 컴퓨티 이용문화를 형성하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음란물 접촉 이유는 ‘우연히’가 가장 많았고 (남아 35.7%, 여아 57.3%), 남아는 ‘호기심’때문에,‘스팸메일,을 열어보다가,‘친구``가 권해서,‘재미, 스트레스 해소와 성충동’ 때문이라고 답했고, 여아는 ‘스팸메일’ 윤 열어보다가,‘호기심’ 때문에,‘친구’가 권해서,‘재미,스트레스 해소’ 위해,‘성충동과 성적지식’을 얻기 위해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의도적인 접촉보다 비의도적인 접촉이 많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져 다행스럽긴 하나, 음란물은 처음 접했을 경우 충격적이지만, 호기심을 가지고 접하면서 무뎌지고 점차 더 자극적인 음란물을 경험하고자 하며 모방행동으로까지 발전되는 특성이 있다고 한다. 초·중 아동을 대 상으로 한 Hong(2003)의 연구에서 음란물 경험 후 실제로 ‘모방행동을 해 본적이 있다’ 에 11.l%가 응답한 것으로 볼 때 절대 간과해서논 안 될 문제이다. 음란물 접촉 후 반응은 부정적 반응에 대한 응답율이 높은 반면, 긍정적이거나 충동적 반응에 대한 응답율은 저조하였다. 부정적인 반응은 ‘부끄럽고 창피하다’가 (남아31.51%, 여아 32.05%)가장 많았고, 남아는 ‘죄책감’, ‘내가 이상한건가 하는 생각’, ‘혐오감’을, 여아는 ‘혐오감’, ‘내가 이상한건가 하는 생각’, ‘죄책감’ 순으로 반응하였다. 음란물 접촉 후 반응이 긍정적 반응보다는 부정적 반응에 대한 응답이 많은 것을 볼 때, 음란물 접촉아동은 음란물을 통해 성이 아름답고 신성한 것이 아닌 은밀하고 부끄러운 것으로 인식되 왜곡된 성의식을 가지게 되며, 혼란과 갈등을 겪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결과는 선행연구(Kang, 2004; Kim, 2004; oh, 2003; Kim, 2002)에서도 지적하고 있다. 성 갈등은 남녀 아동 모두 음란물에 접촉한 아동이 접촉하지 않은 아동보다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음란물 접촉후 아동간의 성 갈등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성별에 따른 성 갈등은 차이가 없었다. 음란물에 노출될수록 중독성이 강하여 성 정체성이 확립되어야 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에게 성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쉬우므로 음란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서구에서는 영상매체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 (screening)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Tv에 V-chiP을 설치해 부모나 성인의 감독 없이 영상매체에 근접하지 못하게 한다 (Cho & Kim, 2004). 우리나라는 아직 그러한 방지책이 실질적으로 이용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무조건 음란물을 못보게 막으려 시도하기 보다는 아동에게 음란물에 대한 비평능력을 심어주어 스스로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성교육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Gruer와 Grube(2000)의하면, 얼마나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지 아무런 비판없이 무분별하게 청소년이 음란물에 접하 면,음란물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었으나, 실제로 성교육을 통해 청소년이 올바른 성 지식 습득하였을 때 성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하였고,음란물의 영향을 더 적게 받고, 직접적인 성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woo, Kim과 Park (2001) 은 중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교육이 컴퓨터와 비디오 음란물 접촉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연구를 한 결과,성 교육 후 실험군은 성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음란물 접촉에 대한 의식점수가 높았고’ 컴퓨터를 통한 원조교제에 대한 의식점수가 높았으며, 음란물 접촉빈도가 적었다고 하면서 음란물에 대한 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가정과 학교에서 부모나 교사인 어른들의 입장에서 고려된 보수적이고 전 근대적인 성교육방법 과 내용만을 고수하여 무조건적으로 음란물 접촉을 막는 것보다는, 아동이 올바른 성의식을 확립하여 스스로 볼 수 있는 것과 보지 않아야 할 것을 구별할 수 있는 비판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는 성교육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아동들 스스로가 성행동의 주체로서 음란물 공해에서도 자신 있게 맞설 수 있는 성숙한 자아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어야 하며, 이와 더불어 무차별적인 대중매체로부터 아동들을 보호하는 시스템의 조기 구축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 contact with pornographs of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and to confirm responses after that, and to compare the feeling of sexual conflict between the boys and girls. Methods: The subjects were 952 5th and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in four city areas(456 boys, 496 girls). Data collection was via questionnaires Results: Except several pupils(34.4% of boys, 27.4% of girls), most of subjects of the study had no contact with pornographs. The response after the contact with pornographs was feeling of shame the most, which was a negative reaction. The sexual conflict appeared more in pupils who had contact with pornographs than in those who had not boys(t=3.84, p<.000), girls(t3.96, p<.000),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conflict between boys and girls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Conclusion: We would like to suggest that a sound control system must be prepared and a development of programs related to sexual education and promotion of ability fighting against them that can release their impulse of sex.

      • KCI등재

        양생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재검증 -전북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정해경,권소희,김애정,왕명자,이기남,Jung, Hae-Kyoung,Kwon, So-Hee,Kim, Ae-Jung,Wang, Myoung-Ja,Lee, Ki-Nam 대한예방한의학회 2005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9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for producing tools to measure Yangseng of the elderly aged older than 65 by reassess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uch tools already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total 855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nd given 31 question for the ultimate factor analysis of each item. The results cloud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case of 'don't have sex in drunken state or right after dinner'(the 31st item of sex live yangseng). factor loading came out proportionally in 3 factors such as factor 4=0.358, factor 5=0.389 and factor 6=0.386. As they all failed to reach the general standard of 0.5 or more and even the minimum standard of 0.4 or more, the 31st item was deleted from the questionnaires. 2. From the factor analysis after exclusion of the 31st item, factor loading of the 25th item of sleep yangseng 'go to bed and get up regularly' appeared to be proportional in 2 factor(factor 4=0.393 and factor 7=0.373). Since it was shown that the 25th item could not be classified into a category but interacted with others in common and didn't satisfy the minimum standard of 0.4, it was deleted form the questionnaires, too. 3. From the factor analysis conducted after excluding the item numbers 31 and 25, factor loading of the 12th item of diet yangseng 'do not eat much' turned out to be relatively high with such values as factor 5=0.518 and factor 3=0.453. As it was, however, tied up with the factor of exercise yangseng, it was also deleted. In conclusion, 28 items after excluding the item numbers 12, 25 and 31 form 4 group showed the same results as divided into 8 factor with high grade of reliability and validity, evidencing the assumption that they can be employed practically to measure yangseng of the elderly aged 65 and o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