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外國人 學習者를 위한 北韓의 獨學用 朝鮮語 敎材 分析 硏究 -혼자서 배울수 있는 조선말(You can Learn Korean by Yourself) 1, 2(2015)를 中心으로

        오현아,전영근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1

        In this paper, "You can learn Korean by Yourself" (1, 2), which was published in North Korea's Chosun publications export business in 2015, is analyzed by considering 1) the general Korean textbook dimension and 2) the Korean textbook for self study. Respectively. In Chapter 2, we analyzed the textual structure of the textbooks and analyzed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textbooks. In the Korean textbooks for self - study, we conducted item - based analysis of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textbooks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Through analyzing the above textbooks, we have been able to grasp the nature of the textbooks by approaching the status of Korean textbooks as a foreign language in North Korea from the level of general Korean textbooks and Korean textbooks for self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textbook on how the actual learners will be able to use the textbooks and how much communication skills they will be able to use will be confirmed through interviews with learners who have directly used the textbooks. I hope that the discussion will follow. 오현아․전영근, 2019,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북한의 독학용 조선어 교재 분석 연구, 어문연구, 181 : 309~351 이 논문에서는 2015년 북한 조선출판물수출입사에서 간행한 혼자서 배울수 있는 조선말(You can Learn Korean by Yourself) 1, 2 를 대상으로 1) 일반적 한국어 교재 차원과 2) 독학용 한국어 교재 차원을 함께 고려하여 교재 분석을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일반적 한국어 교재 차원에서 교재의 의적 구성 분석과 내적 구성 분석을 진행하였고, 독학용 한국어 교재 차원에서는 기존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독학용 교재 평가 기준을 항목화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상의 교재 분석을 통해 우리는 최근 북한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 현황을 일반적 한국어 교재 차원과 독학용 한국어 교재 차원에서 접근하여 교재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었다. 실제 학습자가 이 교재를 활용하여 어느 정도의 조선어 의사소통 능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교재의 효과성 문제는 이 교재를 직접 사용한 학습자와의 면담을 통해 그 구체적인 양상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한국어와 영어의 발상에 대한 비교 인지언어학적 고찰 -청자 중심 원리와 화자 중심 원리를 중심으로-

        오현아,박진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1 국어교육연구 Vol.28 No.-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attern of how the speaker chooses the subject in Korea and English using as an approach of comparative cognitive linguistics. We conducted this study using movies, ‘A Love Story’(2000) and its remake version ‘The Lake House’(2006), which have the same characters and story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ovies, the characters in the American movie generally used speaker centered direct linguistic expressions except for explaining an objective situation, emphasizing the objectivity of an opinion, or indicating a specific place, and generally chose a human subject that reveals the speaker’s position clearly. In the Korean movie, on the contrary, the characters used hear centered indirect linguistic expressions except for introducing the speaker himself/herself or expressing the speaker’s opinion empathetically. As presented above, this study is expected to broaden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the linguistic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English based on the concept of each language. 이 연구는 한국어와 영어에서 화자가 주어를 선택하는 양상을 통해 두 언어의 발상의 차이를 부각하는 비교 인지언어학적 접근의 하나로, 한․영 두 나라 영화를 대상으로 하여 화자의 주어 선택 양상 분석을 시도하였다. 언어 차이 이외에 다른 요인들이 변수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한국의 시월애(時越愛, 2000)와 이를 리메이크한 ‘레이크하우스(The Lake House, 2006)’를 대상으로 삼았다. 영화 속 화자의 주어 선택 양상 분석의 결과, 미국 영화 속의 인물은 객관적인 상황을 전달하거나 자신의 견해가 객관적임을 강조하는 경우 혹은 구체적인 장소를 지칭하는 경우가 아니면 화자 중심의 직접적인 언어적 표현을 구사하며 자신의 입장을 분명하게 드러내는 방식으로 인간 중심의 주어를 일반적으로 선택하는 반면에, 한국 영화 속의 인물들은 청자 중심의 간접적인 언어 표현을 구사하며 자신을 직접 소개하거나 스스로의 의견을 강력하게 피력해야 하는 상황이 아니면 상황 중심의 주어를 사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한국어와 영어에서 발상의 차이가 주어 선택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간략하나마 살펴보는 작은 시도를 통해, 개별 언어의 발상에 기반한 한국어와 영어의 언어 차이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초등 국어 교육 자료를 중심으로

        오현아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1 국어교육연구 Vol.27 No.-

        본 연구에서는 근대계몽기부터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 이후 미군정기를 거치면서 현재 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국어 교육 자료가 어떠한 변모 양상을 거쳐 왔는지 개념 변화와 성격 변화의 두 가지로 크게 나누어 살펴보았다. 개념 변화 측면에서는 근대계몽기-일제강점기에서 해방 이후로 넘어오면서 ‘독본’에서 ‘국어’로의 변화가 두드러졌으며, 미군정기-4차 교육과정에서 5차 교육과정으로 넘어오면서는 ‘교재’에서 ‘학습재’로의 변화가 두드러졌다. 성격 변화 측면에서는 우선 1) 목표 차원에서 계몽적 차원, 민족적 정체성 확립에서 개인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으로의 변화, 2) 사용자 차원에서 교사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의 변화, 3) 제재 선정 차원에서 읽기 자료 중심에서 통합적 자료 중심으로의 변화, 4) 내용 제시 차원에서 (1) 기술 중심에서 탐구 중심으로, (2) 원리 서술형에서 활동형으로, (3) 분리 제시형에서 통합 제시형으로, (4) 학습자 흥미를 고려한 쉼터의 활용으로 특징지어졌다.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chang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aterials from the modern period of enlightenment, via the perio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period of U.S. military government after the Liberation, and until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the aspect of change in concept, the change from ‘reading book’ to ‘national language’ and ‘teaching material’ to ‘learning material’ was remarkable. In the aspect of change in nature, there were changes: 1) from enlighten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identity to the enhancement of individuals’ communication skills in the goal level; 2) from teacher‐centered to learner‐centered in the user level; 3) from reading material‐centered to integrated material‐centered in the material selection level; and 4) in the content presentation level (1) from technology‐centered to exploration‐centered, (2) from principle description type to activity type, (3) from separated presentation to integrated presentation, and (4) to the use of recess in consideration of learners’ interests.

      • KCI등재

        문법 교과서의 언어 단위별 교육 내용 구성과 범위 검토 - 단어 단위에서 품사 분류 문제를 중심으로 -

        오현아,조진수 한국국어교육학회 2016 새국어교육 Vol.0 No.109

        본 연구는 201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문법 교과서에 제시된 품사 관련 내용의 구성 양상과 범위를 검토하여 문법 교재론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 6종을 대상으로 ‘교육 내용 합의 지수’, ‘문법 지식 포함 지수’를 산출하여 품사 관련 하위 내용 요소의 교과서 분포 양상과 교재별 포함 양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품사 관련 문법 지식을 교육 내용으로서의 합의 정도가 높은 유형, 합의 정도가 낮은 유형, 교육 내용으로서의 가치가 쟁점적인 유형으로 분류하고 그 타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문법 교과서별 품사 관련 지식의 포함 수준 차이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교과서 구성 방식의 특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검정 교과서 체제에서의 문법 교과서의 지향을 규범 문법 차원에서의 원형성 유지와 기술 문법 차원에서의 다양성 확대의 두 차원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suggestions for grammar textbooks from reviewing aspects and ranges of constituting contents relating to parts of speech presented in grammar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2 revised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firmed textbook distribution aspects and inclusion aspects by the textbook for sub‐content element relating to parts of speech by yielding ‘education content agreement index,’ and ‘grammar knowledge inclusion index’ on a target of six different kinds of high school grammar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2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this study classified grammar knowledge relating to parts of speech into types of high degree of agreement as education content, types of low degree of agreement and types of argumentative values as education content, and discussed their appropriateness. Also, this study confirmed level difference in knowledge relating to parts of speech by the grammar textbook, and discussed characteristics of accompanying textbook constitution methods.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directivity of grammar textbooks within the authorized textbook system by dividing two dimensions such as archetype preservation in a dimension of standard grammar and diversity expansion in a dimension of descriptive grammar.

      • KCI등재

        문화 간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한중 영화 속 말차례 가지기 양상에 대한 비교 언어문화적 고찰

        오현아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6 No.-

        그동안 (한)국어 교육에서는 한․중 두 나라 언어에 대한 대조 분석적 연구나 오류 분석 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다. 이러한 연구들은 언어 교육의 중요한 영역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면대면 상황에서 실질적인 의사소통 능력에 도움을 주는 담화 전략을 도출할 수 있는 비교 언어문화적 관점의 담화분석 연구에 관심을 돌릴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한․중 두 나라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비교 언어문화적 접근의 하나로 한․중 두 나라 영화를 대상으로 말차례 가지기 양상 분석을 시도하였다. 실제 담화를 이용한 분석이 가장 이상적일 것이나, 자로 수집과 분석의 제한점으로 인하여 실제 담화 형태에 가까운 것으로 판단되는 영화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동일한 인물의 등장과 스토리 전개가 기반이 됨으로써 언어문화적 차이 외에 다른 요인들이 변수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한국의 <동감, 2000>과 이를 리메이크한 중국의 <정견일선(Sky of Love, 情牽一線, 2003)>을 대상으로 삼았다. 영화 속 말차례 가지기 양상 분석의 결과, 중국 영화 속의 인물은 화자 중심의 직접적인 언어적 표현을 구사하며 자신의 입장을 분명하게 드러내는 방식으로 말차례 가지기를 실현하는 반면에, 한국 영화 속의 인물들은 화제를 유지하기나 전환할 때 이를 짐작할 수 있는 담화 표지를 사용함으로써 청자 중심의 간접적인 완곡한 언어 표현을 사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한․중 언어문화의 차이가 말차례 가지기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간략하나마 살펴보는 작은 시도를 통해, 우리는 한․중 언어문화 차이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넓히고 이를 바탕으로 두 언어권 화자의 성공적인 의사소통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적인 담화 전략으로 기능하기를 기대한다. Previous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mostly comparative analyses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or error analyses. Such studies are obviously an important area of language education. However, we need to turn our attention to discourse analysis from a comparative language‐cultural viewpoint that can derive discourse strategies for fostering practical communication skills in face‐to‐face situations. Recognizing the necessity,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patterns of turn taking in Korean and Chinese movies as a comparative language‐cultural approach for improv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It may be ideal to analyze real discourses, but due to limitations i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movies, whose form of discourses is considered similar to that of real discourses. In addition, we chose Korean movie Ditto(동감, 2000) and its remade Chinese movie Sky of Love(情牽一線, 2003), which have the same characters and story, so that factors other than language‐cultural differences may not work as variable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patterns of turn taking in the movies, characters in the Chinese movie used speaker centered direct linguistic expressions and implemented turn taking in a way of manifesting the speaker’s position. On the contrary, characters in the Korean movie used hearer‐centered indirect periphrastic expressions with discourse indexes suggesting the maintenance or switch of topics. As presented above, this study made an attempt to see how language‐cultural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China affects the pattern of turn taking. Through this study, we hope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language‐cultural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China and, based on that, to develop effective discourse strategies for successful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speakers.

      • KCI등재

        중국 패션시장 공략을 위한 하얼빈 스트리트 패션 스타일 변화 추이 분석 -2016년~2018년 S/S를 중심으로-

        오현아,배수정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4

        The study aims to strengthen the design competitiveness of Koran fashion companies entering China by examining the fashion style and the trend of color change that satisfy the needs of Balinghou(80 after) and Jiulinghou(90 after) generations who leading the Chinese fashion customer market. To this end, it was researched through the data of the street style that captured for 3 years from 2016 to 2018 in Harbin. Then it was classified and analyzed by year and style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street styles from 2016 to 2018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overall fashion style showed that the most preferred style by women for last 3 years was the easy casual style. The easy casual and romantic style stay increasing trend while the wearing rate of the classic, feminine, and character casual style tends to show decreasing. In the clothing colors, the women in Harbin preferred black most, and it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achromatic color is steadily high. When it comes to the wearing rate of clothing tone, P and Vp tones showed high, and generally it was verified that the figure of bright tone was higher. Second, the fashion items with the highest preference tendency from 2016 to 2018 was T-shirts, shorts, straight pants, sneakers, and cross-bag. Generally, it found that it was enjoyed wearing a simple and coolish style suitable for summer and preferred the coordination with the both of activity and functionality by matching items such as sneakers and cross-bag. Third, in the trend of clothing colors, each item colors were not changed, White for top, B color for bottoms, Multi color for one-piece dress, Black for bag, and White for shoes for three years. The preference tendency of white top and B color bottoms is thought to reflect the trend of Harbin women prefer to wear blue jeans along with seasonality of summer. 본 연구에서는 중국 패션 소비시장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는 바링허우와 지우링허우 세대의 요구에맞는 패션 스타일과 색채 변화의 추이를 살펴봄으로써중국에 진출 중인 한국 패션업체의 디자인 경쟁력을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문헌을 고찰한 후 중국 현지에서 촬영된 2016년부터2018년까지의 3년 간 스트리트 스타일 자료를 연도별, 스타일별로 분석하였다. 2016년부터 2018년까지의 3년간 스트리트 스타일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패션 스타일과 의복색을 분석한 결과 하얼빈 여성들이 지난 3년간 가장 높은 빈도로 선호한패션 스타일은 이지캐주얼이었다. 구체적으로, 이지캐주얼 스타일과 로맨틱 스타일은 증가세를 유지한 반면 클래식 스타일과 페미닌 스타일, 캐릭터캐주얼 스타일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 의복색에 있어서는 3년 간 하얼빈 여성들이 선호하는 의복 색상은Black이었으며, 전반적으로 무채색의 빈도가 꾸준하게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의복 톤은 P톤과 Vp톤이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밝은 톤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가장 높은 선호 경향을 보인 패션 아이템은 티셔츠, 쇼트 팬츠, 스트레이트 팬츠, 스니커즈, 크로스백이었다. 일반적으로 계절에 적합한 시원하고 단순한 아이템들이 활동성과 기능성 위주로 코디네이션 된 경향을 보였다. 셋째, 아이템별 의복색은 3년 동안 톤의 변화 이외에 색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상의는 주로 White, 하의는 B색상, 원피스는 Multi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가방은 Black, 신발은 White가 3년 동안 가장 높게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상의의 White와 하의 B색상의선호 경향은 여름이라는 계절성과 함께 하얼빈 여성들의 청바지 선호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파악된다.

      • KCI등재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이북의 『조선어기초(류학생용)』 교재 분석 연구 (1) - 김형직사범대학 출간 교재를 중심으로

        오현아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3 국어교육연구 Vol.- No.8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asic grammar textbook for Joseon language education in North Korea for foreign learners, Kim Hyong Jik University of Education's Basic Joseon Language (for international students)> , an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basic grammar textbooks for Joseo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North Korea. In this study, we took Basic Joseon Language (for international students) published by Kim Hyong Jik University of Education in the mid-2010s as the theme of research to examine how North Korea's basic grammar textbooks for Joseon language education are structured, and to conduct a full-scale analysis of the textbooks. To this end, in Chapter 2, the structure of Basic Joseon Language (for international students) was analyzed, and in Chapter 3, 1) Preface, 2) Speech Sounds and Letters, 3) Individual Lessons [Introductory Conversation - Text - Let's know - Word - (Sentence type) - Grammar - Practice - (Let's read together)], 4) Supplementary practice, and 5) Browsing. Due to space limitations, ‘3) Word-Practice’ and ‘4) Supplementary practice’, ‘5) Browsing’ in ‘3) Individual Lesson’, and the changes in the textbooks of Kim Il Sung University published in 1973 and Kim Hyong Jik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in the mid-2010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history of Joseon language textbooks and Joseon language education, in subsequent discussions. Through this study, I hop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Basic Joseon Language (for international students) textbook published by Kim Hyong Jik University of Education can be revealed, and that the understanding of basic grammar textbook for Joseo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North Korea can be deepened in the mid-2010s. 이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이북의 조선어교육 문법 기초 교재인 김형직사범대학의 『조선어기초(류학생용)』을 분석하여 이북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 기초 문법 교재 현황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에서는 2010년대 중반에 김형직사범대학에서 출간된 『조선어기초(류학생용)』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이북의 조선어교육 문법 기초 교재가 어떠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본격적인 교재 분석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조선어기초(류학생용)』의 구성을, 3장에서는 『조선어기초(류학생용)』 교재 분석을 위해 1) 머리말, 2) 말소리와 글자, 3) 개별 과[도입 대화-본문-알아둡시다-단어-(문장류형)-문법-련습-(함께 읽어봅시다)], 4) 보충련습, 5) 찾아보기로 구분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지면 관계상 ‘3) 개별 과’ 구성 중 ‘단어-련습’과 ‘4) 보충련습, 5) 찾아보기’와 통시적 차원에서 1973년 출간된 김일성종합대학 교재와 2010년대 중반 출간 김형직사범대학 교재 변화 양상, 이것이 지니는 한국어 교재사, 한국어교육사적 의미는 후속 논의에서 다루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김형직사범대학에서 출간한 『조선어기초(류학생용)』교재의 특성이 드러나고, 2010년대 중반 이북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 기초 문법 교재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 수 있길 고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