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어 교육에서의 통역수업에 대하여

        오춘화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05 한국(조선)어교육연구 Vol.3 No.-

        隨着中韓政治、經濟、文化交流的發展,中國的口譯市場也日益擴大。目前흔多外語院校韓語專業開設了口譯課程,幷且高年級學生爲了准備就業,爲了提高韓語口語水平和口譯能力,對口譯課非常積極。根據學生和社會的需求開設口譯課,幷且硏究其敎學方法是具有現實意義的。本文通過論述韓國語敎育中口譯敎學的目標、口譯理論、口譯方法論以及實際敎學爲例,硏究摸索有效口譯敎學方案。

      •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소설을 활용한 문화교육

        오춘화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1 중국조선어문 Vol.174 No.-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학교육의 필요성이 증가하고있으며, 이에 따라 문학교육의 목적과 교수방법이 많이 론의되고있다. 본 론문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학교육은 문화교육과 문학교육의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데 착안점을 두고 현대소설 즉 《광장》을 중심으로 문학교육의 실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 KCI등재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 : 번역교수의 효율화방안 연구

        吳春花 한국중국문화학회 2001 中國學論叢 Vol.11 No.-

        隨着中國政治經濟文化科技等領域的發展, 加入世界貿易組織的國際形式下, 社會需要的是複合型外語人才, 幷需要大批具有高水平的專業飜譯人才. 單一外語專業知識和基礎技能型人才已現現出對市場的不適應. 如何培養複合型外語` 飜譯人才已是外語敎學的大課題. 本論文從飜譯學角度論述飜譯的槪念, 以及飜譯類型, 還從韓國飜譯大學院的科程與筆者多年的現場敎學經驗來硏究` 摸索培養符合21世紀社會需要的飜譯人才的敎學目標爲基礎的有效飜譯敎學方案. 通過本論文的發表, 希望中韓學術界對中國韓國語敎育中的飜譯敎學有更深的了解, 幷能對飜譯敎學質量的提高作出微薄貢獻, 筆者將感到幕大欣慰.

      • KCI등재

        당시(唐)를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중국 4세 유아의 음운론적 인식에 미치는 효과

        春花(Han Chun Hua),최나야(Naya Choi),이순형(Yi Soon-H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본 연구에서는 당시를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시행함으로써 중국 4세 유아의 음운론적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7년 4월11일에서 6월 4일까지 중국 광둥성(广东省) 광저우시(广州市) 바이윈구 (白云区)에 위치한 유치원 2곳의 4개 학급, 중반(4세) 유아 총 98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총 16차시의 당시를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 유아에게는 같은 시간에 유치원 교육과정의 언어수업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각각 두 집단 유아의 음운론적 인식의 결과를 수집하여 양적·질적 혼합연구 방법 으로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위해 연구에 참여한 유아와 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이 언어교육 프로그램은 프로그 램에 참여한 유아의 음절인식, 각운인식 및 성조인식을 유의하게 향상시켰고, 음소 인식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프로그램의 시행과정 중 유아는 당시의 음절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였고, 각운에 대해 민감성을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성조가 다른 발음을 구분하는 등 변화를 보였다. 또한 교사와 유아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면담에서 이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흥미를 충분히 유발하며 발달 특성에 적합한 프로 그램임이 증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Language Teaching Programs through Tang Poems(LTPTP)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phonological awareness of Chinese preschoolers. For the study, 98 4-year-olds from 4 classes of 2 kindergartens located in Guangzhou City, China, were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n=49) or control group (n=49). Their phonological awareness were assessed to verify the effects of LTPTP, which consisted of 16 sessions of 30 minutes being held 4 times a week for 4 weeks. LTPTP applied both information-extraction teaching method and aesthetic teaching method. In addition,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program with the children and teachers who participated. Data collected through pre- and post-assessments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wo-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reat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honological awareness, specifically in rhyme, syllable, and tone. However, no significant improvement was observed only in phoneme awareness.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he children expressed the syllables of the poems in various ways, began to show sensitivity to rhyming, and started to distinguish the different tone pronunciations. Finally, the FGI with children and teachers indicated that LTPTP attracts young children’s interests and is developmentally appropriate.

      • 장차의 전자공업 발전을 위한 제언

        춘화,Lee, Chun-Hwa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73 과학과 기술 Vol.6 No.11

        지난 10월 10일부터 17일 까지 경복궁 특별전시장에서 열렸던 「제4회 전자 전람회」는 내적 외적으로 커다란 결실을 거두었음이 틀림없다. 전시품목만 하더라도 230종에 5만여점이었으며 이기간 동안 근 10만명에 가까운 관람객이 모여들었다. 국내는 물론 국외 Buyer들의 눈길을 끈 각종 전자제품의 전시를 통해 관람객들은 한국 전자공업의 밝은 앞날을 내다볼 수 있었으며 다양화, 국제화 되어가는 전자공업의 투자영역을 실감할 수 있었다. 특히 이번 전자전에서는 600여명의 외국투자가와 Buyer들이 내한하여 현장에서만도 3천1백만 달러의 거래상담이 이루어져 우리나라 전자업계의 희망찬 내일을 기약케 했다. 100억불 수출을 목표로 하는 전자공업의 진흥발전을 위해 우리는 이 시점에서 무엇을 어떻게 다져나가야 할 것인가? 이번 전자전을 직접 주관했던 한국정밀기계센터 이사장 이춘화씨는 우리나라 전자공업계가 지향할 길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KCI등재
      • 조선어 접두사 “개-”의 의미기능

        춘화(尹春花)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2 중국조선어문 Vol.179 No.-

        접두사에 대한 연구는 접두사의 목록을 설정하는 기준 제시에서부터 접두사의 의미를 중심으로 한 의미범주 제시, 접두사의 생산성에 대한 연구, 접두사의 통사적기능에 대한 연구까지 폭넓게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특히 의미를 중심으로 한 연구에서는 접두사 각각의 의미를 라렬하고 비슷한 의미를 가진 접두사들끼리 하나로 묶어주는데 그치고있다. 접두사는 문법적기능보다는 어근과 결합하여 그 어근에 뜻을 더해주는 가의적역할을 한다. 그렇기때문에 접두사에 대한 연구는 각각의 접두사가 어떠한 의미를 실현 시키는가를 밝히는것이 중요하다고 할수 있다. 본 론문에서는 생산성이 비교적 높은 접두사 “개-”의 파생기능을 알아보고 파생어내부의 의미구조를 해체하여 이들의 의미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尚書 · 洪範》文献研究與孔子思想

        王春華(왕춘화),于聯凱(우련개) 한국교통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19 동아문헌연구 Vol.- No.-

        Under the new historical conditions, Confucius inherited and developed the thought of “hong fan nine chou” in the book of History. He put forward the idea of “tian xia you dao” based on the idea of “yi lun yu xu”. As for the first chou “five elements”of “jiu chou of hong fan”, not only inherits the natural meaning discussed by ji zi, but also gives the “five elements” political and moral meaning. As for the second chou of “hong fan nine chou”, “respect and use of five things”, Confucius completely inherited and developed and promoted. Confucius fully covered the connotation of “five things”with the concept of “benevolence”, and expanded and deepened the five things. Confucius also inherited and developed the three, four, five and six four chou of “hong fan nine chou”, while he inherited and criticized the seven, eight and nine chou, showing a rational attitude. In a word, the inheritance and analysis of Confucius' criticism of the Shang shu·hong fan conforms to the law of ideological and cultural development.

      • 시에서의 어음문체론적수단에 대한 분석

        춘화(金春花)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2 중국조선어문 Vol.180 No.-

        본 론문에서는 김소월의 시 “길”과 윤동주의 시 “길”을 중심으로 깜짝새란 프로그람을 통하여 어음문체론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문에서는 어움문체론적수단에 대해 다루었는데 주로는 자모음과 관련된 소리느낌, 음운탈락, 압운법, 리듬, 운률, 열린마디와 닫힌마디 등을 위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일제강점시기란 같은 시대배경에 처한 두 시인의 시어선택에 있어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