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수-시점’ 사진 표현에 관한 연구: 윤창수 《주인공 프로젝트》 작품 중심으로

        오진영,김창주 현대사진영상학회 2020 현대사진영상학회논문집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ly analyze the expression of multi- viewpoint (multiple vanishing points) attempted by Yoon, Chang-su’s 《Star Project》 and to present its creative significance. The work raises new questions about three things: 1. The law that the art itself takes for granted; 2. The perception of subjective conformity to the object; 3. The perception of the depth between objects as a proportional width. In order to solve those themes, a conceptual analysis was attempted by fusion of aesthetics and medicine. Since this study belongs to collage/photomontage, which is a major genre of modernism art in round terms, we looked for expressive significance by referring to the discussion of Cézanne and Merleau-Ponty. What’s special about our research is the critical consilience for aesthetics and medical concept. Through this considera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significance of the photographic expression of multi-viewpoint coheres with the 《Star Project》’s presentation.

      • KCI등재

        난시 미교정이 원거리 LogMAR 시력에 미치는 영향

        오진영,정수아,정형렬,이동엽,김현정 대한시과학회 2017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7 No.06

        목적: 근시성 약도 직난시안을 대상으로 하여 미교정된 난시가 원거리 LogMAR 시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과 병력 및 안과적 수술 경력이 없고 등가구면굴절력 SE-6.00 D 미만, C-1.00 D 이하의 직난시를 가지는 20대 성인 남녀 19명(평균나이 23.00±1.92세), 23안을 대상으로 C-0.00 D 미교정, C-0.25 D 미교정, C-0.50 D 미교정. C-0.75 D 미교정, C-1.00 D 미교정 상태에서 명소시(85 cd/m2) 조건과 박명시(3 cd/m2) 조건에서 원거리 LogMAR 시력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조도면에서 볼 때 원거리 LogMAR 시력은 난시 미교정량의 정도에 상관없이 명소시 보다 박명시에서 더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난시 미교정량이 증가할수록 명소시와 박명시 조건 모두에서 원거리 LogMAR 시력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명소시는 C-0.75 D 이상, 박명시는 C-0.50 D 이상의 미교정 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조도가 낮을수록 그리고 난시 미교정량이 증가할수록 원거리 LogMAR 시력이 감소하므로 약도 난시이더라도 주된 작업 환경의 조도가 낮을 경우 완전교정을 권장한다.

      • KCI등재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작업환경, 심리적 업무요구, 피로가 근골격계 증상에 미치는 영향

        오진영,하영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job environment, psychological work demand, fatigue, musculoskeletal symptoms, then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musculoskeletal symptoms of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hospitals. A total of 128 care workers recruited from three long-term care hospitals in S city.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to May, 202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of the care workers were the sum of the frequency of symptom occurrence, duration of symptoms, and intensity of pain in the three parts of the shoulder, hand/wrist/finger, and waist. The average score was 11.41±9.50 points out of 42.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ir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working department(β=.18, p=.034), psychological work demand(β=.21, p=.013) and fatigue(β=.25, p=.003), explained 21.6% of the total variance(F=6.87, p<.001). Based on our results, in order to reduce musculoskeletal symptoms of care workers in nursing hospita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reduce psychological work demand and fatigue in consideration of the severity of the patient in charge. 본 연구는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작업환경, 심리적 업무요구, 피로도, 근골격계 증상의 관계를 파악하고 근골격계 증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S시에 소재한 3곳의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128명을 대상으로 2020년 4~5월까지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근골격계 증상은 어깨, 손/손목/손가락, 허리 세 부분에 대한 증상발생빈도, 증상지속기간, 통증의 강도를 합한 값으로 42점 만점에 평균 11.41±9.50점으로 나타났다.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근골격계 증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근무병동(β=.18, p=.034)과 심리적 업무요구(β=.21, p=.013), 피로도(β=.25, p=.003)가 근골격계 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3개 변수는 근골격계 증상에 대하여 21.6%의 설명력을 보였다(F=6.87, p<.001).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병원 요양보호사들의 근골격계 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담당하는 환자의 중증도를 고려하여 심리적 업무요구와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 KCI등재

        빈곤선 측정방식에 대한 비교 연구

        진영(Moon, Jin-Young)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5 비판사회정책 Vol.- No.46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 제정된 1999년부터 최저생계비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빈곤’과 ‘공공부조제도’에 대해서 다양한 입장을 가진 사람들이 최저생계비의 개념과 기능 그리고 수준에 대해서 다르게 규정하고 있다. 우리 사회의 보수진영 사람들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근로능력이 있는 수급자들에게도 지나치게 높은 최저생계의 수준을 보장함으로써 근로의욕을 감퇴시켜서 빈곤의 덫에 빠지게 한다고 공격하고 있다. 한편으로 진보 진영에서는 현재 최저생계비의 수준이 헌법에서 규정한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기에 턱없이 낮기 때문에 대폭적으로 상향조정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같은 빈곤이라는 현상과 최저생계비의 수준을 놓고서 이념에 따라서 전혀 상반된 해석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의견 차이가 한 단계 높은 빈곤논쟁으로 발전하지 않은 채, 이념적 공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한국 사회가 복지국가를 지향한다면 빈곤에 대한 논쟁을 비켜갈 수 없다. 최저생계의 보장이 복지국가의 도덕적 토대라면, 최저생계비는 바로 복지국가의 문을 여는 열쇠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빈곤선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5가지 측정방식(정책빈곤선, 가계표준예산 빈곤선, 통계적 빈곤선, 주관적 빈곤선, 박탈지표 빈곤선)을 설명하고, 각 측정방식을 과학성, 자의성, 측정편의성, 제도정합성, 발전가능성이라는 기준으로 비교할 목적을 가지고 작성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 장에서는 빈곤선과 최저생계비의 개념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어서 제3장에서는 빈곤선 측정의 역사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본문에 해당하는 제4장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5가지의 빈곤선 측정방식의 성격을 비교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빈곤선의 성격에 대한 이해가 증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It is widely accepted that Korean society entered the era of social rights with the enactment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1999) which guarantees the minimum living standards for all, irrespective of their age, sex, and working ability. At the heart of social rights lies the minimum cost of living (poverty line) in that it works as the eligibility criteria and, at the same time, it provides with the guideline for benefits as well. In other words, it is the key to open the gate of the welfare state. Thus,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re has been fierce debate on the amount of the minimum cost of living between market liberals and progressive commentators since its enactment of 1999.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e debate was mired in exhaustive ideological brawls. It has not yet developed to productive debate with a solid theoretical foundation. It is in this regard that this paper purports, first of all, to explain five different measurements of poverty line (administrative lines, budget standards, statistical lines, subjective lines, and deprivation indicator, and secondly, to compare and evaluate them into five perspectives (scientific validity, non-arbitrariness, convenience to measure, conformity to program, and prospect to develop). For this purpose, the chapter 2 explains the concept of poverty line and the minimum cost of living stipulated in the Act and, consequently the chapter 3 deals with the history of poverty studies since the monumental social research of S. Rowntree in 1899. The chapter four compares and evaluates the five measurements of poverty line. This study hopefully contributes to deepen our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poverty in modern capitalist society.

      • KCI등재

        <고전 읽기와 토론> 강좌에서 논증적 질문 역량 개발을 위한 QBL-수업모델 사례연구

        오진영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argumentative questions as an effective method for a discussion class. The researcher guided the students to learn the concept of argument as an essential part while learning the <Reading Classics of Great Literature> course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This learning process can improve the student’s ability to analyze classical works logically, and to identify correct arguments and errors in discussion activities. As a result learners can realize that the argumentation of a specific topic can be opened in another way through analysis of classical works and discussion activities based on the concept of argumentation. In other words, the learner discover new question to argumentation. This researcher thinks that the learner’s ability to ask such questions eventually approaches the pedagogical significance of promoting true creativity. 본 연구는 교수자가 토론수업을 학습자중심수업 방식으로 운영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서 논증적 질문을 활용한 교수-학습모델을 개발(QBL-수업모델)하여 그 의의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부산대학교의 <고전 읽기와 토론> 강좌를 운영하면서 수강생에게 필수적으로 논증 개념을 학습하도록 안내하였다. 이러한 학습 과정은 수강생에게 일차적으로 고전 작품을 논리적으로 분석하는 역량을 증진시키고 이차적으로 토론 활동에서 올바른 논증과 오류를 파악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학습자는 논증 개념에 입각한 고전 작품 분석과 토론 활동을 통하여 특정 논제의 논증이 또 다른 방식으로 열려질 수 있음을 깨달을 수 있다. 요컨대 학습자는 또 다른 논증을 향한 새로운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그렇게 질문할 수 있는 학습자의 역량이 결국은 참된 창의성 증진의 교육학적 의의에 다가간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Disseminated herpes zoster involving bladder and severe inappropriate antidiuretic hormone in a immunocompetent elderly patient - A case report -

        오진영,전용경,조대현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8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13 No.1

        Disseminated herpes zoster commonly occurs in patients with decreased immunity, but rarely in patients without any evidence of immunosuppression. We reported a case of disseminated herpes zoster with visceral organ involvement in a non-immunocompromised patient. An 83-year-old man visited our pain center, with chief complaints of painful rashes on the L3–L4 and S2–S4 due to acute herpes zoster. Even though intravenous antiviral therapy was initiated immediately upon hospitalization, his lesion deteriorated and systemic cluster formed. Urinary retention and hyponatremia occurred, and he was diagnosed with zoster cystitis and severe inappropriate antidiuretic hormone syndrome. Conservative treatment, including Foley catheter insertion and correction of hyponatremia with antiviral therapy, was initiated, and he was discharged without any complications at the 33rd day of hospitalization. Old age can be a risk factor of disseminated herpes zoster, and visceral organ involvement should also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