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주민 설화 조사를 통해 본 새로운 다문화교육 방안

        오정미 한국구비문학회 2017 口碑文學硏究 Vol.0 No.47

        The purpop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 new paradig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multi-cultural folk-tales which were collected via interviews with multiracial immigrants. The multi-cultural literatures selected by the schools as teaching materials showed a standardized structure of narration. In this respect, immigrant’s folk-tales could present a new paradigm for education because of the diversity of the literature genre and work. Immigrant’s folk-tales provide excellent text to represent the concepts of “Integration” and “Building interest” asserted by James A. Banks. In terms of integration, it teaches understanding of different culture to permanent residents. It can also afford immigrants dignity and identity. Immigrant’s folk-tales may provide new education paradig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under the current system, in which learners are educated using creative children’s stories, contemporary novels and poems, which encourage true integration and building interest on diversity 이 연구는 이주민들이 구술한 다민족의 설화를 통하여 새로운 다문화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의 초·중·고 국어 교재에 텍스트로 선정된 이주민이 주인공인 다문화 문학은 정형화된 이주자와 정주자 혹은 서사구조를 가진 작품들이 대부분이다. 이주민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생산하는 다문화문학의 문제점을 개선할 새로운 교육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 특히, 다양한 교육 목표의 수립과 새로운 작품 선정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한국에서 정착하며 살아가는 이주민의 설화를 새로운 다문화교육 방안으로서 고찰하였다. 다문화교육자인 뱅크스(Banks)는 다문화교육에서 ‘공감’과 ‘관심의 함양’이라는 교육 목표를 강조한 바 있고, 오랜 세월동안 많은 다문화교육자들이 이를 실천하고자 하였다. 이주민의 설화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공감’과 ‘관심의 함양’을 실천하는 데 이주민의 설화가 매우 좋은 텍스트라 판단하였고 조사된 이주민의 설화를 통해 다문화교육 내용과 의의를 밝혔다. 우선, 공감과 관심의 함양이라는 측면에서 정주민 대상으로 타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다문화교육적으로 실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주민은 자신 혹은 부모에 대한 공감과 관심의 함양, 즉 자존감과 정체성의 확립을 ‘공감’과 ‘관심의 함양’의 측면에서 실천할 수 있었다. 이주민이 주인공인 창작동화와 현대소설 혹은 시가 주요 텍스트인 현재의 다문화교육에서 이주민이 직접 구술한 다국적의 설화에서 진정한 공감과 관심의 함양을 북돋게 하는 힘을 발견하였고, 상호문화 존중의 실천을 가능케 만드는 힘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문헌으로 번역된 다국적 설화와 달리 한국에서 살아가는 이주민이 직접 구술한 설화에는 ‘문화적응’이라는 다문화교육적 내용과 가치까지 발견되었다. 이주민 설화 조사를 통해 새로운 다문화교육의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설화의 활용 ― 설화 <선녀와 나무꾼>과 설화 <우렁각시>를 중심으로 ―

        오정미 한국구비문학회 2008 口碑文學硏究 Vol.0 No.27

        In this study, a program for the practical use of folktale at the educational filed where multi-culturalist is existing was suggested. A folktale can be used as a text for the neighbors had grown in the different cultural country and now would like to be newly adapted at Korea. An introduction and analyzing of a folktale based on the content understanding would be excellent material. The cultural adaption of the immigrated women, married with Korean men, is deeply related with the future of Korea. The cultural education could be requested for them somehow rather than the language education. However there has been only discussion about reason and necessary of the cultural education without the concrete direction for them. Hence, a folktale can be newly focused as a good text through the exported analyzing and this work for applying to the educational filed has significant meaning. Other research has reported that the immigrated women are focusing on the conjugal life among the family life. In this study, <The heavenly maiden and the woodcutter> (선녀와 나뭇꾼) and <Pond-snail bride> (우렁각시) were selected to show the cultural of Korean conjugal life and help the communication based on the cultural understanding for immigrated women. Expecially the cultural education for immigrated women should be compatible with their husband education to be effective. So each content of folktale was analyzed into for immigrated women and their husband. An education with a selection of analyzed and concrete folktale will suggest new direction in educational filed for the immigrated women. It is true that there has not been many researches about the literatures connected to the culture and/or customs for the immigrated women. In this point, this study shows the potential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a folktale in the educational filed. 이 논문에서는 다문화 상황 속에서 이주여성과 그녀들의 남편을 대상으로 설화의 문화 교육적 의미와 방안을 살피고 활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시론차원에서 조망하였다. 설화는 다양한 문화권의 이웃들에게 문화를 전달하는 텍스트로서 용이하기에 한국에서의 새로운 삶의 적응을 위해 활용된다. 설명이 아닌 이해를 바탕으로 한 설화의 소개와 분석은 상호적인 문화교육을 위한 훌륭한 자료인 것이다. 이주여성들의 경우는 한국남성들과 가정을 구성하며 평생 살아가는 이들로, 그녀들의 문화적응은 한국의 미래와도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이주여성들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언어교육이상으로 문화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문화교육은 당위성과 필요성에 관한 담론적인 논의만 형성되었을 뿐 구체적인 방안은 제시되지 못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설화가 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을 위한 효과적인 텍스트이며, 이를 위해 전문적인 설화 분석을 시도하여 교육현장에서의 활용을 유도하는 것은 의미가 있는 일이다. 이주여성들은 가정문화 속에서도 부부의 문제에 집중하고 있음이 여러 자료를 통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주여성 부부의 소통을 도모하기 위하여 한국 부부의 문제를 문화적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는 구체적 작품으로 설화 <선녀와 나무꾼>과 설화 <우렁각시>를 선정하여 분석을 하였다. 특히,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을 위한 문화교육은 그녀들의 남편들을 대상으로 한 문화교육도 함께 병립되어야 효과적이기에 각각의 설화를 이주여성과 남편들로 구분하여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설화의 구체적인 작품 선정과 분석은 이주여성 대상의 교육 현장에서 실질적인 프로그램을 마련해 줄 것이다. 그동안 설화가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한 한계는 문화와 연결한 작품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지 못한 이유가 크다. 따라서 설화를 문화와 연결하여 분석하는 것은 이주여성을 비롯한 외국국적의 학습자들에게 설화 교육의 새로운 가능성과 효용성을 조망하고 교육현장에서의 활용까지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설화의 문화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오정미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8 언어와 문화 Vol.14 No.1

        This study suggested specific and definite results regarding the effects of cultural education as unfolded through folk tales. To date,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regarding the goals and plans of folk tale-based cultural education. Compared to studies on cultural education with accumulated folk tal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a study on its specific educational effects. In other words, there hasn’t been any qualit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cultural education. To test educational effects,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specific and actual results as much as possible, using the outcome called ‘learners writing’. First, cultural keywords were presented to international students for the 1st writing. Then, cultural education was given through folk tales, and 2nd writing (i.e., cultural writing) was conducted. After that, the effects of cultural education through folk tales were confirmed by comparing the 1st writing to cultural writing. According to cultural writing on ‘family culture’ through the folk tale ‘the Heavenly Fairy and the Woodcutter’, three cultural education effects were confirmed as follows: First, a broad understanding of modernity and traditional culture was found. The folk tale was helpful for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more familiar with modern culture only,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e, especially value oriented culture. Second, an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from a multicultural education standpoint was confirmed. In fact, this cultural education process allowed students to have an open view of diverse cultures, not just providing simple information. Lastly, narration-based cultural education was found. A cultural education that criticizes one-way communication was provid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cultural education provided through folk tales, the potential and value of cultural education that folk tales can provide were confirmed.

      • KCI등재

        상호문화교육을 위한 아시아 설화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이해 : 베트남 설화를 중심으로

        오정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a way to develop and use Asian folktales written in the Korean language by immigrants living in the Republic of Korea as resources for intercultural education. For this, the meaning of intercultural education from a survey on 1493 folktales provided by 134 immigrants from 28 countries was analyzed, focusing on Vietnamese folktales. After the analysis of the Vietnamese folktales including the Philippines and the Mongolia, this study examined what folktales should be chosen and taught for effective intercultural education. As a result, those with value culture, nature culture, living culture, and history culture were selected. At the same time, this study proposed an educational plan on how the four categories could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education using folktales. 이 글은 한국에 거주하는 이주민이 한국어로 구술한 아시아 설화를 상호문화교육 자료로써 개발하고 교육적으로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이다. 28개국 134명의 이주민을 통해 수집한 1493편의 설화중에서 베트남 설화를중심으로 이주민 대상의 설화 조사가 가지는 상호문화교육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아시아 설화의 대표 상징으로써베트남 설화를 중점적으로 살핀 후, 상호문화교육을 위해 어떤 설화를 선정하고 교육할지 베트남과 함께 필리핀과몽골 설화를 함께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가치문화, 자연문화, 생활문화, 역사문화가 서사에 잘 형상화된 설화를 상호문화교육을 위한 작품으로 선정하였고, 동시에 4개의 항목을 주요 교육 내용으로 제시하였다. 베트남 및 필리핀과 몽골설화를 통해 4개의 항목이 어떻게 상호문화교육적으로 접근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제시하면서, 한국의 상호문화교육을위한 아시아 설화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액체배지에서 눈꽃동충하초균(Paecilomyces tenuipes)의 계대증식에 따른 증식 특성

        오정미,이재경,구현나,우수동,Oh, Jeong-Mi,Lee, Jae-Kyung,Koo, Hyun-Na,Woo, Soo-Do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2

        눈꽃동충하초균(Paecilomyces tenuipes)의 균사 및 포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계대증식에서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액체배지로써는 누에 유충분말이 함유된 SL배지와 일반적인 PD배지를 이용하였고, 고체배지로는 누에 번데기 분말을 넣은 현미배지상에서, 세대증식이 이루어진 각 균주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액체 배지에서의 포자 생산량은 세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나, 현미배지에서의 포자 생성율은 세대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으로써, 액체배지에서 계대증식이 고체배지에서의 포자생산량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미배지에 대한 최적 포자 접종량은 각각 $1{\times}10^{10}$ conidia/ml, $1{\times}10^6$ conidia/ml, $1{\times}10^6$ conidia/ml의 농도로 접종하였을 경우 농도에 따른 생산량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서 $1{\times}10^6$ conidia/ml만으로도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Paecilomyces tenuipes according to the passage in the two kind of liquid media were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 mycelium and conidium formation degrees. The potato dextrose broth medium and the silkworm larvae medium containing the silkworm powder were used as the liquid media, and the potato dextrose agar medium and the brown rice medium containing the powder of silkworm pupa were used as the solid media. The conidium formation degree in liquid media differed by the passages but that in solid media was not. This suggested that the passage in liquid media did not affect significantly the conidium formation in solid media. When the brown rice media were inoculated with the concentration of $1{\times}10^{10}$ conidia/ml, $1{\times}10^8$ conidia/ml and $1{\times}10^6$ conidia/ml, respectively, the conidium formation degrees were similar. This indicated that the optimal inoculation concentration of conidium to the brown rice media is $1{\times}10^6$ conidia/ml.

      • 서울市內 一個 綜合病院 應急室에 來院한 患者에 對한 實態 調査

        吳正美 서울大學校保健大學院 1975 公衆保健雜誌 Vol.12 No.2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Directed by Associate Professor Joung Soon Kim)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6,131 patients who visited emergency room of a Hospital in Seoul city during one year from the March of 1973 to the February of 1974. The study was based on emergency room medical records, discharge note of admission charts, and interview survey on randomly sampled 189 patients. Through data analysis it was attempted to show seasonal fluctuation of the E.R. visit, disposition after the emergency care, distributions by medical specialty, frequency and distribution of diseases by season and age groups, outcome of the patients admitted, and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the tentative diagnosis made in E.R. and final diagnosis on discharge by specialty. The result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most of the patients (34.9%) were adults, 30∼59 years of age and 27.5% were primary school graduates, 19.6% high school, and 13.7% college graduates, which indicates a little higher educational level than general population. 2. The reason why they visited this particular hospital was mostly because of its reputation being a good hospital (45.8%), and 25.8% of the patients were sent by their doctors; 81.0% of the patients visited this particular hospital had attended or been admitted to other hospitals or doctors clinic once or twice for the same health problem before they came to the emergency room. 3. More than half(50.9%) of the patients were discahrged to home after emergency care and 40.7% were admitted to the hospital; there was no difference by sex, however, the proportion admitted among emergency patients was higher in autumn and winter when compared with spring and summer. 4. 40.8% of the patients visiting the emergency room came for the diseases of internal medicine, 17.2% of pediatrics, 10.1% of general surgery, and 8.8% of neurosurgery. 5. Infectious diseases were the most frequent during spring and summer for children of 0∼7 years old, and neuro-psychiatric diseases showed high frequency among female adults(20∼30 years of age) in spring and summer. However the distribution of cerebrovascular diseases, nervous sense organ diseases, diseases of digestive system and accidents showed no seasonal variation; The frequency of cerebrovascular diseases was high in the age group over 50 years old, diseases of digestive system in 20∼50 years old age group, 15∼30 years. 6. In the study of agreement between tentative diagnosis made in E.R. and final diagnosis on discharge, the over all agreement was in 47% with the highest agreement rate 50.2% for general surgery.

      • KCI등재후보

        The Preference of High School Girl's Hair Style and School Uniform and the Impact of Perceived Image for Preference

        오정미,이은실,김영옥 한국니트디자인학회 2012 패션과 니트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여고생의 헤어스타일 및 교복의 선호도를 연령에 따라 파악하고, 선호도에 지각된 이미지가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은 준실험방법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여고생을 모델로 하여 헤어길이, 앞머리스타일, 교복스타일을 달리한 자극물 10개의 사진을 제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미지 지각에 사용된 의미미분척도는 30개 항목의 7점 양극 형용사 쌍으로 구성하였다. 조사대상자는 J시에 거주하는 여고생 276명과 여고생을 자녀로 둔 어머니 253명이었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10월 중이었다. 헤어길이와 연령에 따른 여고생의 각 인상 선호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헤어길이, 앞머리 여부에 따라 선호되어지는 정도가 달랐으며, 교복스타일에 따라 선호되어지는 헤어길이에도 차이가 있었다. 즉 여고생집단은 긴 머리를 더 선호하였고, 어머니집단은 단발머리 및 짧은 머리를 여고생 보다 더 선호하였다. 또한 짧은 앞머리는 긴 머리일 때 가장 선호되었고, 긴 앞머리의 경우는 단발머리일 경우가 선호되었다. 일반교복은 긴 머리일 때, 한복스타일은 단발머리 스타일일 때 가장 선호되었다. 여고생 집단과 어머니 집단 간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상은 차이가 있었다. 즉 여고생의 경우 예쁘고 학생답다고 평가되는 자극물일수록 더 선호하였으며, 어머니 집단은 학생답고, 귀여우며, 예쁘다고 평가할수록 선호하는 이미지로 평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