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스퍼거 아동의 정서적 맥락 이해 결함

        오은실,임종아,황민아 한국자폐학회 2013 자폐성 장애연구 Vol.13 No.2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defect of comprehension emotional contexts in children with Asperger’s disorder depending on emotional dimensions(basic emotion/complex mental states) and contextual types(situation/desire/false belief). Ten children with Asperger’s disorder(AD) and the same number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age, IQ and language-matched; TD)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Twenty children were second to thir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For the emotional context task, the children listened to lists of a short story which included emotion of a character. And then, the children were asked to choose a word the most appropriate emotional state of character. A three-way ANOVA of group(2) x emotional dimension(2) x contextual type(3) revealed significant main effects of group, emotional dimension and contextual type. An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group, emotional dimension and contextual type. The total number of correct responses was significantly lower in children with AD relative to TD, but understanding basic emotional dimension. Though it was a basic emotion task, however, AD had difficulty in grasping emotional clues of false belief contex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omplex mental states and contextual types will be worth consideration when evaluating and intervening social communication and pragmatics of children with Asperger's disorder. 본 연구는 아스퍼거 아동의 정서적 맥락 이해 결함을 살펴보기 위하여 정서차원(기본정서․복합정서)과 맥락유형(상황․바람․틀린믿음)에 따른 수행능력의 차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2, 3학년 아스퍼거 아동 10명과 일반아동 10명에게 짧은 이야기를 들려주고 주인공의 정서를 주어진 보기에서 선택하게 하는 과제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 정서차원의 주효과 및 집단, 정서차원, 맥락유형의 상호작용 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는 아스퍼거 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정서적 맥락을 이해하는 능력이 저조하며 정서차원과 맥락유형에 따라서 수행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즉, 아스퍼거 아동은 맥락 수준의 기본정서 이해에서는 일반아동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보다 상위표상을 요하는 복합정서 과제에서는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단, 기본정서 과제에서도 틀린믿음의 맥락 단서를 통합하여 정서를 파악해야 하는 경우에는 어려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아스퍼거 아동의 맥락과 복합정서 이해 결함을 고려하여 정서이해와 관련된 사회적 의사소통능력을 중재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 고해상도 대기 관측기반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 모델 개발

        오은실,정수종,송효종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인간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은 에너지 사용 및 사회경제 활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탄소 배출량에 대한 정확한 산정과 정밀한 검증을 위한 모델 개발은 국가 단위에서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NDCs)와 같은 실질적인 배출 목표 설정 로드맵에 기여할 뿐만이 아니라 탄소 중립을 평가하는 과학적인 근거를 확보하는 데 있어 필수적이다. 최근 고해상도의 탄소 인벤토리와 고해상도의 Lagrangian particle transport models (LPDMs)이 개발되고, 여러 지역에서 대기 중 CO₂ 농도 관측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프로젝트들이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탄소 플럭스를 매우 세밀한 시공간 해상도로 검증하기 위한 인버젼 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고해상도 관측기반 하향식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 시스템 개발의 일환으로 서울에서 진행되고 있는 대기 중 CO₂ 농도 관측에 기반하여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이산화탄소(FFCO₂) 배출량을 검증하는 고해상도 역모델링 시스템을 새롭게 개발하였다. 대기 수송모델인 WRF-STILT와 연동되는 이 역모델링 시스템은 bayesian inverse model framework에 따라 서울 행정구역 내 3개의 지상 CO₂ 농도 측정 자료로 1km x 1km, 1 hour 해상도의 서울시의 FFCO₂ 배출량을 재추정하는데 최적화되었다. 발표에서는 개발된 도시 인버스 모델을 이용하여 2020년 4월 한 달동안의 서울시의 FFCO₂ 배출량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수정된 결과는 초기 FFCO₂ 배출량이 과대평가되었음을 나타냈다. 초기 배출량 계산에 이용된 기계 학습 기법이 교통량 배출량을 과대평가했기 때문에 과대추정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교통량 과적합 문제가 모든 그리드에 존재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양의 값을 나타내는 발전소 영역은 보고된 것보다 훨씬 더 높은 실제 배출량을 가질 수 있다고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고해상도 대기 관측기반 하향식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 모델은 개발 중인 지면 플럭스 정보 시스템과 연동되어 전 국토 규모로 업스케일 될 것이다.

      • Evaluating Welfare State in Gender Perspective

        오은실 한국사회학회 2008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Vol.2008 No.6

        Welfare state had been affecting women’s economic status, gender relationships, and rights as citizens.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paper is in feminists’ argument on welfare state. Since 1990s, gender perspectives on welfare state began to flourish.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I organize the suggestions by feminists on welfare policy. Adding up the arguments about gender balanced welfare policy, we can clearly see how feminists strived to form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gender content of the policy. However, even though there are a lot of conceptual work and argument about what is a gender balanced policy, there is no suggesting of the measuring the gender aspect of welfare state. On the second part, I show how OECD had been working on building index measuring gender. Gender index that OECD is making is not yet published material, rather a working on subject. I add four measurements to existing two index, GEI2007 and GID2006 based on the feminists argument mentioned in the first part. On the third section of the paper, a measurement tool called ‘Gender Index’ which is a combination of GEI2007 and GID2006 and additional index made based on the gender perspective is suggested. Gender Index is composed of six categories each having about four subcategories. The six categories are Education, Work and Care, Empowerment, Family Code, Physical Integrity, Civil Rights.

      • KCI등재

        현대미술의 표절 논쟁에 관한 연구: 손몽주와 박정현의 사례를 중심으로

        오은실 한국미술이론학회 2017 미술이론과 현장 Vol.0 No.23

        연구자는 표절논란이 진행 중인 손몽주와 박정현의 사례를 미술과 저작권이란 양자적 관점 에서 분석한다. 손몽주는 박정현의 작품이 자신의 작품과 재료와 표현형태가 비슷하다는 이유로 2014년 대구지방법원에 전시금지가처분을 신청하였다. 법원의 결정에 따라 대구미술관에서 박 정현의 작품은 전시가 금지되었다. 이후 진행된 법적 분쟁에서 부산지방법원은 박정현에게 법원이 정한 일정한 표현 형식을 사용하지 말라고 판단하였다. 연구자의 주장은 미술표절 논란에 대해 법 적분쟁보다 미술계의 논의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과 미술표절의 판단 주체는 법원이 아닌 미술계가 되어야 한다는 것으로서, 현대미술에 대한 활발한 표절 담론 형성 필요성을 지적한다. This study analyzes, through the case of Mongjoo Son vs. Jeonghyun Park, the tricky issues of what constitutes original artwork that qualifies for copyright protection and what are the criteria upon which to decide plagiarism. In 2014, Son asked the Daegu District Court for an injunction to ban the exhibition of Park's work at the Daegu Museum of Art on the ground that Park's work was similar in materials and expression to his original artwork. The court issued the injunction, agreeing with Son. In a subsequent legal dispute, the Pusan District Court ruled that Park should not use a certain form of expression prescribed by the court. This study puts forth an argument that the issue of plagiarism should be settled based on artistic considerations rather than decided in the court of law, and suggests the art community undertake its own initiative to establish the guidelines.

      • KCI등재

        데이컴 기법을 이용한 중앙공급 간호사의 직무분석

        오은실,송순덕,최이정,전현숙,한화순,류성숙,황문숙,이미경 병원간호사회 2014 임상간호연구 Vol.20 No.3

        Purpose: This study aimed to use the DACUM analysis technique and identify the job description among nurses of the Central Supply Department, in order to clarify their duty and task descriptions,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job. Methods: Through a DACUM workshop, job descriptions, and the job duties and tasks were derived. A total of 150 nurses from the Central Supply Departments of medical Institutions over 100 beds were surveyed using drafting and a job analysis table. Individual jobs' frequency, importance and difficulty were measured using a 3-point scal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Results: The nurses' job in the Central Supply Department consisted of 13 duties and 64 tasks. Duties with highest importance and difficulty was 'sterilization assurance system', the second was 'employee safety management' and the duty with highest frequency was 'manage packaging before sterilization'. Conclusion: This study clarified the types of nursing jobs in the Central Supply Departments, as well as identified the job characteristics and status in the given setting. Given the sterilization assurance system for preventing hospital infection, and safety management for ensuring work environment safe were found to be important duties, it is suggested for the department to stress those important jobs for managing hospital safety.

      • KCI등재

        간호 분담체계에 따른 간호사의 자율성 정도

        오은실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000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Vol.9 No.2

        This study is to grope for a plan to increase nurse s autonomy by grasping autonomy degree according to nursing delivery system,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265 nurses who work for 4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93 of them work in primary nursing delivery system. 99 of them in team nursing delivery system and 93 of them in functional nursing delivery system.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questionaires from Sep. 1. 1997 to Sep. 30. 1997, and autonomy was measured by Professional Nursing Autonomy Scale developed by Schutzonhofer. Data analysis as inspected with X2 test. ANOVA, and t-test,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When it comes to the autonomy of all the nurses. mean score was 161 99 Which is medium level, and autonomy degree according to nursing delivers system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utonomy degree according to inservice education among the subjects work-related characteristic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utonomy distiibution in each grad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