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역간 학업성취도 격차 원인 분석:지역 효과와 학생이동의 영향 탐색

        오성배 한국교육개발원 2004 한국교육 Vol.31 No.2

        To analyze factors of different degrees of school achievement in areas of nonーequalized high schools, this study sampled the school achievements of 8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ents' education and occupations in and near Mokーpo areas. The degree of schooling achievement is testifie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in interーareas. As the factor of family background is controlled, the degree of school achievement showed to be modestly significant in middle school in interーareas, while high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effected in interーareas. This result can be explained into two reasons. One is due to the difference of effectiveness of high school in interーareas. The other reason is because of the excell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migration to the high level high schools. According to this result, the discrepancy of school achievement in interーareas was testified to be effected by two factors. One is the different effectiveness of schools or educational environment, the other reason is caused by the migration to enter higher grade school in city. 지역간 학업성취도 격차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목포시와 인근 군 지역 중고등학교 학생 800 여 명의 학업성취도, 부모의 학력, 직업 자료를 수집하였다. 중고등학교 모두 목포시와 인근 군 지역간의 학업성취도 격차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가정배경을 통제 한 이후의 학업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중학교의 학업성취도는 지역간 격차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고등학교의 학업성취도는 지역의 영향력을 매우 크게 받고 있었다. 지역간 격차가 고등학교 단계에서만 나타나는 것은 고등학교 단계에서의 지역간 교육 환경의 차이이거나 군 지역의 학업성취도가 우수한 중학생이 고등학교를 시 지역으로 진학하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분석 결과, 지역간 학업성취도의 격차에는 두 요인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지역간 교육 환경의 차이와 군 지역의 우수한 학생의 진학이동이 지역간 학업성취도의 격차에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 KCI등재

        청소년 진로탄력성의 의미와 구성요인에 관한 델파이 분석

        오성배,박희훈,이유정,김학범,장은지,오정숙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20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5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 of career resilience that is appropriate for adolescents to improve their career competencies, and derived the associated components and variables. The importance of career resilience variables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environments was also analyzed. To this end, a panel of youth career education experts was composed of teachers, school inspectors, practitioners of youth career institutions, and professors; and three Delphi studies were conducted. Through this process, the opinions of the aforementioned expert panel were collected to derive the meaning of career elasticity that is appropriate to apply to adolescents. In addition, the constituent factors of youth career resilience were identified as ‘self-understanding’, ‘positive attitude’, ‘self-regulation’, ‘adaptability’, and ‘interpersonal and information relationships’. Finally, opinions were gathered that indicated the importance of constituent factors and variables of career resilience that differ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the basis for finding a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to improve career competence of adolescents and aid in conducting concrete discussions to develop career resilience. 이 연구는 청소년의 진로역량 향상을 위하여 청소년에게 적합한 진로탄력성의 의미를 규명하고 구성요인 및 하위변인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 중학교, 고등학교 수준에 적합한 진로탄력성 하위변인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 진로교육 전문가 패널을 초중고교 교사, 장학사, 청소년 진로 관련 기관 실무자, 교수 등으로 구성하고, 총 3차례에 걸친 델파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전문가 패널의 의견을 수렴하여 청소년에게 적용하기에 적절한 진로탄력성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또한, 청소년 진로탄력성의 구성요인을 ‘자기이해’, ‘긍정적 태도’, ‘자기조절’, ‘적응성’, ‘대인‧정보 관계’로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진로탄력성의 구성요인 및 하위변인의 중요도가 학교급에 따라 다른 것으로 의견이 모아졌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청소년의 진로역량 향상을 위한 진로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 진로탄력성을 기르기 위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하는 데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사립대학 팽창 과정 탐색: 해방 후 농지개혁기를 중심으로

        오성배 한국교육개발원 2004 한국교육 Vol.31 No.3

        After the liberation, university education has expanded rapidly in Korea. Many private universities, which were founded by individual, were established and supported financially by privately endowed land. This was possible due to the land reform at that time. And this has caused private universities to be managed by its own founder and family members. This phenomena has affected significantly to our educational situation which provoked deterioration of higher education and corruption in private schools. This study has reasoned those phenomena with actual evidences. 해방 이후 농지개혁기간에 우리 사회의 대학교육은 급속도로 팽창하였다. 당시 개인에 의하여 설립된 사립대학의 경우, 상당수의 대학이 농지개혁의 영향으로 적지 않은 토지를 기부 받아 재단을 설립하거나 학교재정을 충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이들 대학의 운영은 상당기간 동안 설립자와 그 가족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현실을 중대하게 규정하여 왔다. 고등교육의 질 저하나 사학비리 문제 등이 그러한 현실의 한 단면이다. 현재 우리나라 사립대학들이 갖고 있는 문제는 근래에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문제로 이해하기보다는 사립대학의 형성에서부터 누적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은 해방 후 농지개혁기 동안의 농지개혁법의 실시와 지주의 대응이 급격한 사립대학 팽창의 한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설명하고 있다.

      • KCI등재

        이주배경청소년 유형별 진로탄력성 실태에 대한 교사 및 현장 전문가의 인식 분석

        오성배,이유정 중앙대학교 Human Engagement Institute 2022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이주배경청소년 유형별 진로탄력성 수준을 밝혀, 이주배경청소년 진로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비(非)이주배경청소년 및 이주배경청소년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 및 현장 전문가 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진로탄력성 구성요인 및 하위변인의 수준은 비(非)이주배경청소년, 국내출생 이주배경청소년, 중도입국청소년의 순으로 유의미하게 낮았다. 둘째, 집단 간의 차이는 대부분은 중도입국청소년과 비(非)이주배경청소년 간의 차이에 근거한 것이었으며, 이들은 국내출생 이주배경청소년과의 차이도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국내출생 이주배경청소년과 비(非)이주배경청소년 간의 차이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향후 진로교육에서 비(非)이주배경청소년과 이주배경청소년 간의 특성 차이 그리고 이주배경청소년 내의 유형간 특성 차이를 고려한 접근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오성배 한국교육개발원 2005 한국교육 Vol.32 No.3

        The number of Kosian children increases every year. It is necessary to show Kosian children's growing and social environment in which they are brought up. So this study tries to have a depth-interview with Kosia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mothers and their class teacher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Kosian children have grown up without active socializ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from their mother and it happens continuously after entering elementary school. Especially lack of language learning competency have a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identity and personal relationship. It is also revealed that their external feature and a foreign mother become another factor of poor personal relationship. Although school teachers see the necessity to support them, school administrators and authority have not paid special attention ye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developing supplemental programs, supporting systems such as teachers' training and relevant researches for Kosian children. 우리 사회에서 코시안(Kosian) 아동의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코시안 아동의 성장 과정과 환경의 실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코시안의 어머니,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코시안 아동은 어머니의 언어와 문화 사회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성장하였으며, 초등학교에 입학한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었다. 어머니의 영향으로 입학 이전 시기에 언어 학습과 정체성 형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입학 이후에도 다른 아동들에 비하여 부족한 수준이었다. 특히 언어 학습 능력의 부족함은 정체성과 대인관계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별개로 외모의 특성 또는 어머니가 외국인이라는 이유 때문에 대인관계 형성이 원활하지 못하였다. 담임교사도 이러한 특수성을 인지하고 있었으나, 학교와 교육당국은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었다. 코시안 아동의 성장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보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은 물론, 다문화 이해 교육과 교사 연수 등 코시안 아동 관련 교육정책의 개발과 학문적 연구가 시급한 시점이다.

      • KCI등재

        코스닥 상장 시 실패위험 결정요인과 주가반응에 관한 연구

        오성배,남삼현,이화득,Oh, Sung-Bae,Nam, Sam-Hyun,Yi, Hwa-Deuk 한국벤처창업학회 2010 벤처창업연구 Vol.5 No.4

        Recently, failure rates of Kosdaq IPO firms are increasing and their survival rates tend to be very low, and when these firms do fail, often times backed by a number of governmental financial supports, they may inflict severe financial damage to investors, let alone economy as a whole. To ensure investors' confidence in Kosdaq and foster promising and healthy businesses, it is necessary to precisely assess their intrinsic values and survivability.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contributed to the failure of IPO firms and analyzed how these elements are factored into corresponding firms' stock returns. Failure risks are assessed at the time of IPO. This paper considers factors reflecting IPO characteristics, a firm's underwriter prestige, auditor's quality, IPO offer price, firm's age, and IPO proceeds. The study further went on to examine how, if at all, these failure risks involved during IPO led to post-IPO stock prices. Sample firms used in this study include 98 Kosdaq firms that have failed and 569 healthy firms that are classified into the same business categories, and Logit models are used in estimate the probability of failur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auditor's quality, IPO offer price, firm's age, and IPO proceeds shown significant relevance to failure risks at the time of IPO. Of other variables, firm's size and ROA, previously deemed significantly related to failure risks, in fact do not show significant relevance to those risks, whereas financial leverage does. This illustrates the efficacy of a model that appropriately reflects the attributes of IPO firms. Also, even though R&D expenditures were believed to be value relevant by previous studies, this study reveals that R&D is not a significant factor related to failure risks. In examing the relation between failure risks and stock prices, this study finds that failure risks are negatively related to 1 or 2 year size-adjusted abnormal returns after IPO.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useful knowledge for government regulatory officials in contemplating pertinent policy and for credit analysts in their proper evaluation of a firm's credit stan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