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연장의 안전을 위한 무대기계 감독의 역할

        오병돈,홍상우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6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공연장은 수많은 위험요소를 가지고 있다. 크고 무거운 무대장치들이 예술인들의 머리 위로 수시로 오르내리며, 세트설치와 장면 전환을 위해 하부무대가 수 미터 아래로 내려가는 경우도 있다. 또한, 불꽃이나 연기를 이용한 특수효과는 화재의 위험성을 안고 있으며 공연 준비를 위한 고소작업, 도색작업 등은 작업자의 안전과 건강에 위험요소가 된다. 아울러 공연장은 다수의 관객이 제한된 공간에 모이는 장소이므로 화재나 정전 등 비상시 적절히 대처하지 않을 경우, 인명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무대 기계 감독은 공연장의 관리자로서 공연장의 안전을 책임질 의무가 있다. 지방의 대부분의 공연장에는 무대기계 감독과 무대감독의 업무를 분업화하지 못해 공연장의 안전에 대한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겨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위험요소가 많은 공연장의 관리자인 무대기계 감독의 역할을 바로 알고자 한다.

      • KCI등재

        테니스의 운동역학적 연구방법 고찰

        오병돈(Byoung Don Oh),이동진(Dong Jin Lee) 한국사회체육학회 2012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50

        This article aims to review current knowledge concerning the kinetics and kinematics aimed at improving tennis performa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earch for 32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10 was done using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the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Keywords used were tennis, kinetics, and kinematics. The articl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research theme, subjects, methodology, experimental designs and tools, and contex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1) a lot of researchers have interested in tennis serve and forehand ground strokes rather than service return, valley, overhead smash, footwork or step; (2) most of the subject was male, their ages were between 13-19 years, and their performance level was state representative; (3) the experimental tools mainly used were visual materials, but the visual analysis has not done well dealing with kinetics such as momentum and energy; and (4) the mainly analyzed variances that researcher have interested in were kinematic variances such as displacement, velocity, and angle. The future study should focus on impulse and power of applied variances to more effectively understand practical performance and ball speed and success & fail of performance to effectively apply.

      • KCI등재
      • KCI등재

        교대생의 체육수업 재미요인과 수업만족도의 관계

        오병돈(Oh, Byoung-Don) 한국체육교육학회 2014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9 No.2

        이 연구는 교대생의 체육수업 재미요인과 수업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G교육대학교 재학생들에게 226부의 설문지를 배부 및 회수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하여 t-test,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대생의 개인적 특성(성별, 학년, 체육수업 재미수준)에 따라 재미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성별에 따라 체육수업 재미에 차이가 없었으며, 재미수준은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학년에 따라서는 체육수업 재미요인 중 정서적 재미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활동적 재미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대생의 개인적 특성(성별, 학년, 체육수업 재미수준)에 따라 수업만족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성별과 체육수업 재미수준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학년에서는 수업운영지도와 수업환경의 수업만족 요인 중 수업환경에서만 차이가 있었다. 셋째, 체육수업 재미요인이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체육수업 재미요인과 체육수업 만족요인이 유의한 상관관계이며, 정서적 재미와 활동적 재미의 순서로 수업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 of universtity of education student"s physical education class fun factor and class satisfaction. Students who study in G university of education was 226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Data were analyzed by SPSS 20.0 using a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firm the differences of fun factor in personal characteristics(gender, grade, physical education fun level) of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n physical educ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un levels. And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hysical education emotional fun factors, depending on the grade, show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tive fun factor. Second, confirm the differences of class satisfaction in personal characteristics (gender, grade, physical education fun level) of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 there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fun level, and there wa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learning environment factor of the class satisfaction in the grade. Third, Analysis of the impact on physical education classes meet the fun factor results, there was a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meets fun factor correlated factors, showed that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lass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emotional fun factor and active fun factor.

      • KCI등재

        프로축구 서포터즈의 아비투스 형성과정 탐색

        오병돈(Oh, Byoung-Don),유영설(Yu, Young-Seol)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8

        이 연구는 프로축구 서포터즈의 하위문화를 부르디외의 아비투스 이론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서 포터즈와 관련한 선행연구에서는 하위문화의 작동방식과 내면으로의 본질적인 접근이 부족하였기 때문에 프로축구 서포터즈의 하위문화는 어떠한 활동과 과정을 거치면서 서포터즈의 아비투스로 발전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 구의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목적 표집 중 강도표집과 준거표집을 통해 서포터즈 활동경력이 5년 이상이며, 서 포터즈에서 임원활동을 했던 서포터 중에서 6명의 서포터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비참여관찰을 병행하면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참여자들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인터넷 자료 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개설한 이후부터 자료를 발췌하여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프로축구 서포터즈가 일반관중과의 문 화적 구별짓기가 발생하는 과정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 다. 첫째, 프로축구 서포터즈의 하위문화는 열광적인 현장응원과 소모임 문화 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프로축 구 서포터즈의 하위문화가 오랜기간 동안 지속되면서 결국 서포터즈만의 아비투스로 발전되어 일반관중들이 쉽게 참 여할 수 없는 그들만의 문화가 되어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ubculture of professional football supporters with a view of Bourdieu's Habitus theory. What sorts of mechanism were worked when supporters formed their Habitus. The methods adopted in the article was qualitative. The qualitative information on the nature of their fandom was gleaned from 'virtual participant observation' or 'interviewing' of professional football fans that participated in discussions on the internet and participant observation of professional fans. The intensity and criteria sampling method was used to select 6 supporter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supporting activities for more than five years and played crucial roles in running their organization as officials. The textual analysis which is consisting of translation, coding, and processing was used to mean the identification and exegesis of contextualization cues that make a text meaningful to the professional football supporters. an intended audi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that (1) the subculture variety of activities for players and coaching staffs were the fundamental factors when supporters formed their subculture. (2) the professional supporters became habitus through the progressively development of subcultures such as enthusiastic supporters, small meetings, and events relating to soccer players.

      • 교육대학교 구성원의 체육시설 이용에 따른 만족도 분석

        조준명, 이광무, 오병돈 공주교육대학교초등교육연구원 2013 敎育論叢 Vol.50 No.2

        이 연구는 교육대학교 구성원들의 체육시설 이용에 따른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으로서, 2012년 G교육대학교 구성원 중 70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육대학교 성별 및 구성원에 따른 체육시설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대학교 구성원의 체육시설 만족도는 운동빈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운동강도 및 운동목적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우수등재

        경력단절 이전 여성은 차별받지 않는가?: 대졸 20대 청년층의 졸업 직후 성별 소득격차 분석

        김창환,오병돈 한국사회학회 2019 韓國社會學 Vol.53 No.1

        The large female disadvantage in earnings in South Korea has been considered as a result of women's career disruption rather than a result of gender discrimination. One of the circumstantial evidence is that women in their 20s earn as much as their male counterparts. Because of the mandatory military service for men in South Korea, however, work experience for young women is systematically longer than that of young men. The failure of accounting for this difference could yield biased estimates in the gender earnings gap. Using data from the multi-year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this studyinvestigates the gender earnings gap at the early stage of work career, before the occurrence of the women's career disruption.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controls for an extensive set of human capital variables including the names, types, and the reputations of the college each respondent graduated from, and detailed fields of study. The results show that college-educated women earn 19.8% less than equally educated men at the early stage of work career. The gender differences in human capital cannot account for this gap. Furthermore, women who graduated from elite colleges are experiencing severer earnings disadvantage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less-prestigious schools. Gendered labor market allocation processes are the main mechanism that results in the large gender earnings gap. 한국의 성별 소득격차가 크지만 그 원인은 여성의 경력단절에 있고, 20대 청년층에서는 성별 소득격차가 없거나 매우 작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남성의 군복무로 인해 경력단절 이전 20대 여성의 노동시장 경력은 같은 연령의 남성보다 2~3년 많다. 경력의 효과를 통제하지 않고 20대 성별 소득을 단순 비교하면 여성 소득은 과대, 남성 소득은 과소 추정하는 편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한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를 이용하여 대학 졸업 직후, 혼인과 출산으로 인한 여성의 경력단절과 성별 경력 차이가 발생하기 이전의 성별 소득격차를 측정하고, 격차의 원인은 무엇인지 탐색한다. 이전 연구와 달리 세부 전공과 구체적인 출신대학 등 관찰 가능한 모든 인적 자본을 통제하였다. 분석결과, 대졸 20대 청년층의 졸업 직후 노동시장 소득에 상당한 성별 격차가 있다. 대학 졸업 후 2년 이내 초기 노동시장에서 여성의 소득은 남성보다 19.8% 작다. 그 원인은 세부 전공이나 졸업 대학의 순위 등 인적 자본 요소로 설명할 수 없다. 같은 전공 같은 학교 출신이라도 상당히 큰 성별 격차가 있다. 대학 순위별로는 상위권 대학 출신의 여성이 2년제나 하위권 4년제 대학 출신보다 더 큰 소득 불이익을 경험한다. 이러한 여성 불이익의 원인은 여성 차별에 근거한 불평등한 노동시장 할당 기제에 있음을 본 연구는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체육수업 설계에 대한 고등학생의 기대요구 분석

        이정흔,오병돈,조민행,유영설,이명선,조병준 韓國學校保健學會 2009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22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udents' expectance demand towards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ing. Methords : 392 participants randomly selected from one girls' middle school and one girl's high school in each of five tracts and then selected two classes from each of the schools. They were asked to respond to a simple Questionnaire about their views on the present physical education teaching. Results : Results showed that about one third of the participants would not choose physical education if the program were offered as an optional subject.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ranked psychomotor domain as the top priority among the various learning objectives. Male students favored soccer and basketball while their counterparts liked badminton and volleyball. Over three-fourths of the participants suggested that students' opinions should be considered when teachers plan their program.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recommended that physical education teaching should be designed with considerations for professional values, societal changes as well as students' expectance on the design of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대학 전공 선택: 성별 및 가족배경 요인 검증

        김기헌,오병돈 한국교육사회학회 2013 교육사회학연구 Vol.23 No.4

        이 연구는 성별 및 가족배경 요인이 대학 전공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자료와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기대수입이 높은 전공 진입에 대한 분석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수익률이 높은 전공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의 직업이나 교육의 영향력은 다른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하지만 대학별 평균수능점수로 가늠한 상위권 대학의 수익률이 높은 전공분야에 진입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부의 교육이 다른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이와 함께 학업성취도가 수익률이 높은 전공분야에 진입하는데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전공계열 선택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공학계열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거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공학계열보다는 인문계열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았다. 고등학교 성적의 영향은 과목별로 상이한데 과학이나 수학 성적이 높을수록 다른 계열보다는 공학계열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국어나 영어 성적이 우수한 학생은 공학계열보다는 인문계열에 진입할 확률이 높았다. 전공별 기대수입 역시 전공계열 선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gender differences and socioeconomic effects on Korean undergraduates’ major selection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and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Influences of sociological variables on decisions of matriculates are statistically estimated considering economic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expected income,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maturity. The result suggests that college major selection is largely affected by the respondents’ gender. Male students major in more lucrative study field compared to female students, and the possibility of female students specializing in engineering fields are low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Furthermore, matriculates whose parents are of higher educational level are more likely to enter into lucrative study fields at selective universities, and prefer human science fields to engineering fields.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school is also a decisive predictor of college major selection, whereas regression coefficients of expected income and career maturity are only partially significant; Students whose high school scores in Math and Science are high tend to specialize in engineering fields rather other fields while those whose scores in Korean language and English language are high are more inclined to choose human science fields.

      • 청소년 자살예방 정책 연구

        김기헌,오병돈,이경숙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청소년 자살 실태를 살펴보고 자살 원인에 대한 분석 및 청소년 자살 예방을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청소년 자살 실태와 관련하여 2012년 현재 청소년자살사망률(인구 10만 명 당)은 8.3명을 보여주고 있으며 후기 청소년(19-24세)의 자살사망률이 14.9명으로 가장 높았다. OECD 34개 국가를 비교해 본 결과 OECD 전체적으로 자살사망률은 1990년 7.9명에서 2010년 6.3명으로 낮아진데 반해서 우리나라는 같은 기간 5.9명에서 9.4명으로 증가해 대조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청소년 자살 원인과 관련하여 1990년부터 2010년까지 OECD 34개 국가들의 거시 지표자료들을 활용해 자살사망률에 미치는 요인을 패널분석방법 중의 하나인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model)으로 분석해 본 결과, GDP가 높고 GDP 성장률이 올라갈수록 자살사망률이 낮아진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미시적 차원에서 자살 생각에 미치는 독립변수들의 효과를 이항로짓모형(binary logit model)으로 분석해 본 결과, 주관적 불안 및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한부모 가정이거나 가족관계가 좋지 않을수록, 초ㆍ중등학생보다 고등학생일 때 자살을 생각할 가능성이 높게 추정되었다. 청소년 자살예방 사업과 관련하여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청소년 자살 예방 사업과 관련하여 범부처 차원에서 허브 기능을 담당하는 기관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에 지역사회 연계ㆍ협력에 관한 규정을 신설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두 번째로 자살예방사업에 대한 예산투자가 최고 수준의 자살률을 보여주고 있는 우리나라 현실로 볼 때 매우 부족하여 예산확보 노력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이와 함께 언론의 자살보도 지침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청소년 자살예방 전문 인력 양성 및 청소년 자살시도자 사후관리를 강화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Korea’s suicide rate is increasing and is the highest in the world. This study analyzes the suicidal reality of Korean adolescents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policy to prevent adolescent suicides. First and foremost, in 2012 the suicide rate (suicides per 100,000 people) of Korean youths between the ages of nine and twenty-four was 8.3 and 14.9 for that of post-adolescents between the ages of nineteen to twenty-four. Whereas the average suicide rate of OECD countries had declined from 7.9 in 1990 to 6.3 in 2010, the suicide rate of Koreans increased from 5.9 to 9.4 in the same period. In order to elucidate the social factors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national suicide rates at the macro-level, this study statistically analyzes suicide rates of 34 OECD countries from 1990 to 2010 using panel data analysis method.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GDPs and the GDP growth rates of the countries are inversely related to their suicide rates. In addition, at the micro-level,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mplies that the young respondents with higher subjective anxiety, higher stress, lower self-esteem, lower socioeconomic family status, lower family relations satisfaction, or from a single-parent home are more inclined to feel suicidal urges compared to other adolescents. Suicidal impulses of high school students are higher than that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proposes the national suicide prevention policy below. Firstly, the government needs to form a specific institution which serves as a hub integrating governmental departments related to suicide prevention policy in Korea, and should establish the rules about collaboration between regional communities revising “The Law for Suicide Prevention and the Culture of Life”. Secondly, the budget for suicide prevention must be expanded, since the suicide rate in Korea is the highest in the world. Furthermore, the government must toughen the guidelines for the suicide guidance report manual regarding mass media. It is also important to train more professionals who prevent adolescent suicides and follow-up with youths whom attempted suicide in the pa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