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구성요소를 활용한 텍스타일디자인 연구

        엄경희,이소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7 No.1

        Textile Design is used in our living not as a simple surface decoration of design process but as a process but as a product. Since it is closely related with living than any other design, it has been developed considerably in foreign countries by realizing its importance, on the other hand it`s very poor in our country. Currently in case of our country, it is the actual situation that we can`t largely expect the excellent, unique and creative design`s growth due to our admiring, imitating and copying foreign products and business owners` commercial goal, etc.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cultural factors to design is considered to be the desirable start in order to create high added value of Textile Design. This study considered that how Textile Design is currently being expressed through the background, development and feature of post-modernism, and it also consider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sign that uses design`s structural elements and the design that utilizes the structural elements of post-modernism. This study considered the design`s effect that utilized cultural factors, and it could see the design that had been developed through various expressions. Our Textile Industry to come forward on 21st century should strive further than the advanced countries. It is considered that we should implement and support the future-oriented Textile Administration Policy, and improve the quality of designers` creative investment and activity, and strengthen more the specialty of college education, thereby develop it as the practical industrial learning.

      • KCI등재

        도심형 셰어하우스 리빙공간 서피스코디네이션 제안

        엄경희,엄태경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1

        Currently, major cit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Korea are experiencing sharp increase in single household with significant change in family composition. In response, the living space is also changing accordingly. Young generations in their 20s and 30s living in Europe, Japan, Australia, and Korea are showing higher demand for urban share house as the new housing culture. Currently, domestic share house businesses are located in university town or subway station areas and they provide share house with a concept. Among the common use spaces, living room and kitchen are mostly designed as space of various concepts. The purpose of such design is to create a living space where residents with same interest can form a community naturally and gain emotional stability. As a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for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preceding article and related books, analyzed the cases of domestic share houses with concept and consumption trend and life style of 20s and 30s who are the main targets for domestic urban share house. Also, this study derived a concept satisfying the people in their 20s and 30s by reflecting Heimtextil and Maison & Object which are the design trends of 2018 and 2019. For the research range, this study selected living space among common use spaces in share house as the design range as it involves the most design change based on the concept. In addition, this study chose one theme from 5 themes of Heimtextil 2018 Trend and 3 themes of Maison &Objet 2018 Trend Report and derived each concept of ‘Happiness on the Beach’, ‘Green Ancient’. Also, this study suggested and coordinated wall covering, upholstery, and flooring surface design focusing on each concept and the result was as follows. First, for ‘Happiness on the Beach’, this study applied ‘Soft Minumal’ theme and ‘South Beach’ theme to create a ‘Home Bar’ for a ‘Small But Certain Happiness’ trending among young generations in 20s and 30s. The wall covering had motif of sunset in South Beach, upholstery had motif of clear and cool sea, and flooring had motif on soft sand beach to design the place as the space of small happiness enjoying the freedom of sunset in ocean and feeling the soft sand on the beach. Secondly, ‘Green Ancient’ was applied with ‘Urban Oasis’ theme and ‘La Citt à Bianca’ theme for a concept of ‘Home Bar’ for small but certain happiness trending among young generations in 20s and 30s. The wall covering had motif on peaceful forest, upholstery of ancient building, and flooring of marble to provide tranquil and clam feeling from ancient building in peaceful forest. Suggestion of design coordination development will help in basic material for coordination of living space in a share house in the future. Also, this study hopes the domestic designers and companie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ife style and emotions of residents and to develop a design for share house living space satisfying the needs. 현재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주요도시는 가족구성 형태에 많은 변화로 1인가구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그에 따라 주거공간의 모습도변화하고 있다. 유럽과 일본, 호주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2,30대 젊은 층을 중심으로 새로운 주거문화로서도심형 셰어하우스(Share House) 대한 수요가 점차증가되어지고 있다. 현재 국내 도심형 셰어하우스 업체들은 주로 대학가나 역세권에 위치하며 콘셉트를가진 셰어하우스를 제공하는데, 공용공간 중에서도 주로 거실과 주방이 다양한 콘셉트 공간으로 디자인이연출되고 있다. 따라서 거주자들 간의 자연스러운 커뮤니티를 조성하고 정서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으며사용 콘셉트에 의한 리빙공간 서피스코디네이션(Living Space Surface Coordination) 제안함으로써 점점 증가하고 있는 셰어하우스 산업분야의 새로운 시장 창출과 경쟁력 강화의 기초자료로 도움을 줄 수 있다고사료된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을 위하여선행논문 및 관련 서적, 인터넷 자료조사를 통해 국내셰어하우스 중 콘셉트가 적용된 사례와 국내 도심형셰어하우스의 주요 타깃층인 20,30대의 소비트렌드 및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하였다. 또한 2018/2019 디자인트렌드인 하임텍스틸(Heimtextil)과 메종오브제(Masion & Objet)를 반영하여 도심형 셰어하우스의 거주자 주요 연령대인 20,30대의 트렌드를 충족시키는 콘셉트를도출하여 코디네이션을 제안하였다. 연구범위는 셰어하우스 공용공간 중 가장 콘셉트에 따라 많은 디자인변화가 있는 리빙공간을 디자인 범위로 선정하였다. 또한, Heimtextil 2018 Trend의 5가지 테마와 Maison & Objet 2018 Trend Report의 3가지 테마 중 각각한 가지 테마를 선정하여 ‘Happiness on the Beach’, ‘Green Ancient’ 각각의 콘셉트를 도출하였으며, 이를중심으로 월 커버링(Wall Covering)과 업홀스터리(Upholstry)및 플로어링 (Flooring) 서피스디자인을 제시하였으며 코디네이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도출 시켰다. 첫째, ‘Happiness on the Beach’ 콘셉트는 ‘Soft Minumal’ 테마와 ‘South Beach’ 테마를 적용하여 20,30대 트렌드인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위한 공간으로 ‘홈 바’ 리빙공간 서피스코디네이션을 제안하였다. 월 커버링은 South Beach의 노을이 지는 하늘과 건물, 업홀스터리는 바다의 청량함, 플로어링은 부드러운 비치의 모래를 모티프로 디자인하여 노을이 지는 해변에서 느끼는 자유로움과 발에닿는 부드러운 모래를 느끼며 누리는 작은 행복을 위한 리빙공간 서피스코디네이션을 제안하였다. 둘째, ‘Green Ancient’ 콘셉트는 ‘Urban Oasis’테마와 ‘La Citt à Bianca’테마를 적용하여 20,30대 트렌드인 ‘소확행’을 위한 공간으로 ‘홈 바’ 리빙공간 서피스코디네이션을 제안하였다. 월 커버링은 고요한 숲속, 업홀스터리는 고대건물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플로어링은대리석을 모티프로 디자인하여 고요한 숲속의 고대건축의 느낌이 주는 평온하고 차분한 느낌을 주는 리빙공간 서피스코디네이션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디자인코디네이션 개발 제시는 향후셰어하우스 리빙공간 코디네이션에 활용될 수 있는기초자료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사료된다. 더불어 국내 디자이너 및 기업은 라이프스타일과 거주자들 감성에 중요성을 인식하고 니즈에 적합한 셰어하우스리빙공간에 부합하는 디자인 개발과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熱情的 사랑의 逆說과 存在의 悲劇性 - 崔勝子 詩를 중심으로 -

        엄경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0 No.1

        金素月․韓龍雲 이후 崔勝子(1952~ )는 詩集 『이 時代의 사랑』(문학과지성사, 1981)과 「즐거운 日記」(문학과지성사, 1984)에서 사랑이라는 테마를 가장 問題的인 것으로 드러냈던 시인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다. 그는 막연한 離別이나 떠나감이 아니라 ‘버림받음’이라는 보다 구체적 상황을 과감하게 노출함으로써 사랑하는 자의 悲劇을 極大化한다. 아울러 愛着對象에 대한 崇拜와 欽慕라는 戀慕의 情感 속에서 受動化되었던 傳統的 主體의 태도를 과감하게 벗어나 戰鬪的 사랑의 방식으로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사랑의 逆說’을 의미화한다. 더 문제적인 것은 悠久한 傳統 속에서 완강하게 固守되었던 理想的 存在로서 사랑의 대상에 대한 期待를 解體시킨다. 이 논의는 최승자의 문제적 테마로서 熱情的 사랑(passionate love)의 구체적 방식을 면밀하게 분석함으로써 그것이 지닌 逆說的 意味와 悲劇的 存在의 의의를 밝히는 데 그 目的이 있다. Choi Seung-Ja is said to be the first poet whose deconstruction of a traditional aura of love poetry has raised the theme of love to a prob- lematic. This discussion has put a focus on illuminating a paradoxical meaning in which her poetry has implied, and then a sense of the tragic existence in its result, by analyzing concrete modes of passionate love that her poetry has revealed. Her love poetry has been to make itself a type of passionate love that has not ever been able to be discovered in Korean poetry. It has started with exposing repeatedly a vague poetic situation of separation or farewell to a concreteness of ‘to be deserted.’ This poetic situation of ‘to be deserted’ has become a psychological base to fever a desire for making love rebirth. By the way the loved one in her poetry has not been an ideal being who has been represented as the ‘perfect.’ This poet has strengthened the martyrdom of lover by erasing the aesthetic quality from the loved one and exposing the hypocrisy and violence of him. In her poetry the death drive has accompanied when the rebirth of love has repeatedly failed. But her death drive has not led to the sublime aesthetics with which would have adorned the finale of her passionate love. The tragic cognition of this poet has lain where even her aesthetic death has not been able to be realized. In this situation the temporal cognition of this poet has become a signification of the falling time that has led the spiritless self. The passionate love that Choi Seung-Ja’s poetry has revealed is to be appreciated as the case of adding a very important meaning to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in terms of not only that love that has clued to understand her tragic poetry but also the first signal flare of a symptom of love poetry that has utterly differed from the established love poetry with which has been fixed up the moderate aesthetics of temperance.

      • KCI등재

        이상의 육친(肉親) 시편과 수필에 내포된 ‘연민’의 복합적 성격

        엄경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6 No.-

        This discussion has tried to investigate concretely a reality of Lee Sang’s tragic life by illuminating a complexity and its cause of his pity for his blood relatives who drowned his inner life in pains. After he was separated as a four-year-old boy from his blood parents in the year of 1913 when he became the eldest adopted son of the main family of his blood father’s elder brother, he returned at last to his blood relatives’ home in Hoyjadong when he was twenty four years old in the year of 1933. This biographical event served as a momentum as to generate his senses of alienation and lack against his blood relatives. And the ill-fated lives of his blood relatives was to be a painful string endlessly inspiring pity into him Moreover, his pity for his blood relatives contained a bunch of very complex emotions. His works not only described incoherently appearances of his blood father and mother but also entangled complexly his emotions of pity, anger, resentment, and mortification against his blood parents. These were owing to an incomplete situation of existence without satisfying simultaneously the analogousness and contiguousness between himself and his blood relatives. At the start point of a condition of existence where the analogousness and contiguousness could not be satisfied simultaneously, it was the biographical event that he became the eldest adopted son of his blood father’s elder brother. In that case, How did he himself accept that event? It is to be found in his essays and poetry that a sign shows that he recognized himself as ‘an abandoned child.’ A sense of alienation of the abandoned and an urgent anxiety about the abandoners(blood relatives) were simultaneously alternating into his self-recognition as an abandoned child. The simultaneity of these tow was to be an emotion for which he felt his blood relatives. His pity for his blood relatives appeared with making a contradiction in a bunch of emotions as anger, mortification, sadness, and guilt. This complexity of pity functioned as a substantial element with making his inner life to be understood in terms that it implied his fundamental condition of existence. 본 논의는 이상의 내면을 고통으로 물들였던 육친에 대한 연민의 복합성과 그원인을 밝힘으로써 그의 비극적 삶의 실체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상은 그가 4세(1913년)되던 해에 백부의 종손양자가 되어 친부모와 헤어졌다가1933년 그의 나이 24세에 자신의 본가인 효자동으로 돌아온다. 이러한 전기적사건은 소외감과 결핍감을 낳는 계기가 된다. 한편 육친이 처해있던 불우한 삶은그의 내면에 끊임없는 연민을 불러일으키는 고통의 끈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상의 육친에 대한 연민은 매우 복잡한 감정의 다발을 함께 내포하고 있다. 그의 작품에 서술된 친부와 친모의 모습은 일관성을 갖지 않는다. 감정적으로는이상의 육친(肉親) 시편과 수필에 내포된 ‘연민’의 복합적 성격 323일반논문 _ 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제56집(16권 3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2. 9. 부모에 대한 연민과 분노, 원망, 억울함이 복합적으로 뒤엉켜 있다. 이는 육친과의 유사성과 인접성이 동시에 충족되지 않는 불완전한 존재상황으로부터 기인한다. 유사성과 인접성의 세계가 동시에 충족될 수 없었던 존재조건의 시초에는 양자 입적이라는 전기적 사건이 놓여있다. 그렇다면 백부에게로의 양자 입적을 이상 자신은 어떻게 받아들였을까? 이상의 수필과 시에서 이상이 자신을 ‘기아(棄兒)’로 인식한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기아로서의 자기인식에는 버림받은 자의소외감과 버린 자(육친)에 대한 절박한 염려가 동시에 갈마들고 있다. 이 둘의 동시성이 이상이 가졌던 육친에 대한 감정이라 할 수 있다. 이상의 육친에 대한 연민은 분노와 억울함, 슬픔, 죄의식 등과 같은 감정의 다발 속에서 모순을 빚은 채드러난다. 이 같은 연민의 복합성은 이상의 근본적인 존재조건을 함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내면을 이해할 수 있는 본질적 요인으로 기능한다.

      • KCI등재

        백석ㆍ이용악 시에 나타난 노스탤지어의 양상과 ‘고향’의 헤테로토피아

        엄경희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9 한국문학과 예술 Vol.32 No.-

        In spite of the tendency in general to recognize the utopia as a product of ideas, Michel Foucault thought it as a 'concrete and actual place' in reality, and summarized his thought of it by name of 'heterotopia.' The heterotopian places, as utopias in reality, bear a certain relation to the emotions of 'nostalgia' for its 'homeland' as a 'root.' Svetlana Boym, a scholar of comparative literature at the Harvard University, divides the contextual aspects and features of nostalgia into the 'restorative nostalgia' on a continuous belief that its homeland can be restored as 'a totally completed body' and the 'reflective nostalgia' on a fitful recognition that the memories of homeland themselves must be 'incomplete.' The restorative nostalgia by 'restoring' the past, and the reflective nostalgia by 'reconstructing' the future, aim respectively for overcoming the loss of their homelands, but both commonly approach the utopia of homeland by the narratives of 'nostalgia.' These two nostalgic narratives about 'homeland' are closely related to the 'heterotopian' narratives for realizing the ideal of utopia. On this theoretic basis, the meanings of 'homeland' and the aspects of nostalgia in Baek Seok's and Yi Yong-Ak's poetry are illuminated in this paper with regard of the heterotopian places. From the nationalist viewpoint of 'identifying the loss of sovereignty and the loss of homeland,' this illumination is expected not only to aid in stereographing the flatness of existing studies overlooking relatively the original and existential meaning within the place of 'homeland but also to produce a momentum with the concept of 'heterotopia' for expanding multi-dimensionally the existing frame of analyzing the modern spatial meanings under criteria of 'time' and 'space.' 미셸 푸코(Michel Foucault)는 유토피아를 관념의 산물로 인식하는 일반적 경향과 달리 현실에 존재하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장소’로 사유했으며, 그러한 사유의 체계를 일괄하여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로 명명했다. 현실에 존재하는 유토피아로서의 헤테로토피아적 장소들은 ‘근원(根源)’으로서의 ‘고향’에 대한 ‘노스탤지어(Nostalgia)’의 정서와 일정한 연관을 갖는다. 스베틀라나 보임(Svetlana Boym)은 노스탤지어의 맥락적 양상과 특징을 ‘회복적(restorative) 노스탤지어’와 ‘성찰적(reflective) 노스탤지어’로 구분한다. 전자는 고향이 ‘하나의 총체적 완성체’로 복원될 수 있다는 지속적 신념에, 후자는 고향에 대한 회상 자체가 ‘불완전’할 수밖에 없다는 단속적(斷續的) 인식에 근거한다. 회복적 노스탤지어는 과거의 ‘회복’을, 성찰적 노스탤지어는 미래의 ‘재건(再建)’을 통해 고향상실을 극복하고자 한다는 차이점을 갖지만, 고향의 유토피아를 ‘노스탤지어’라는 서사를 통해 접근한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고향’과 관련된 노스탤지어의 두 서사 형태는 유토피아의 이상을 현실화하려는 ‘헤테로토피아’의 서사와 밀접한 연관성을 보인다. ‘고향’을 복구 내지 재건하려는 ‘회복’과 ‘성찰’의 노스탤지어는 현실의 장소에서 유토피아를 구축하려는 헤테로토피아적 사유와 무관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백석과 이용악의 시에 나타난 ‘고향’의 의미와 노스탤지어의 양상을 헤테로토피아적 장소와 관련해 조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주권상실=고향상실’이라는 민족주의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고향’이라는 장소에 내재된 근원적이고 실존적인 의미를 상대적으로 간과한 기존 연구의 평면성을 입체화하는 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근대의 장소적 의미를 분석하는 데 ‘시간’과 ‘공간’이라는 기준에 집중됐던 분석의 틀을 ‘헤테로토피아’라는 개념을 통해 다양한 차원으로 확대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이상의 시에 내포된 소외와 정념

        엄경희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8 No.-

        By comprehending the alienations as inhuman situations resulting from relations, and by analyzing the correlativity between the actual 'operative modes' of alienations and the mass-produced individual 'passions' by alienations, this study tries to solve the problems of Lee Sang's self-understanding and Weltanschauung in his poetry and to explain the substances of pains arising from alienations. And to analyze the situations of alienations and the passions in his poetry, this study adopts theoretical bases such as György Lukács's concept of the 'reification(Verdinglichung)' explaining the alienations with the 'essence of commodity-structure' and Melvin Seeman's theory classifying every alienation from a sociopsychological standpoint. In Lee Sang's poetry, most women are 'prostitutes(commodities),' and men relating to them appear as men who desire, or as husbands who must tolerate, prostitutions. A wife as a prostitute defines a way of herself relating to her husband and causes herself to alienate him by participating in his desire and consciousness. This is to be a reified relational structure. To illuminate an aspect of self-alienation of the 'I(husband)' is to confirm that a problem of transfer of his right intervenes deeply in this aspect. The 'I' relating to his wife subjects himself to her lover and her as a bride by transferring already his husbandly right and qualification to them. Meanwhile, the pains of alienations become motivations triggering off specific passions, sensations, feelings, and emotions. In Lee Sang's poetry, the sensations from alienations are mainly expressed as 'extremities,' and the passions from them are often exposed as impotent sensations. By the way, these passions that Lee Sang exposes are comprehended as those containing activities involving the negation or rejection against existing values. In addition to illuminating explicitly how the reified relational structure spoils the human relationship and demotes one being's existence to the situation of non-life, the alienations and passions in Lee Sang's poetry make it a question what way can break through the situation of this tragic being. The process of reification by commodity-structure indicates compressedly ways of the moderns relating to their others. Lee Sang is a poet preoccupying this indication in his own literature. 본 연구는 소외를 관계가 빚어낸 비인간적 사태로 파악하고, 그것의 구체적인 ‘작용태’와 소외가 양산해내는 개별 ‘정념’의 상호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써 이상 시에 드러난 자기이해와 세계 인식의 문제, 그리고 소외가 야기하는 고통의 실체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이상 시에 나타난 소외 상황과 정념 등의 분석을 위해 ‘상품구조의 본질’을 통해 소외를 설명하는 루카치의 ‘사물화’ 개념과 사회심리학적 입장에서 소외의 제 형태를 분류한 멜빈 시이맨의 소외론 등을 이론적 토대로 삼았다. 이상의 시에 등장하는 여성들 대부분은 ‘매춘부’(상품)이며 이에 관계된 남성은 매춘행위를 욕망하는 자이거나 그것을 용인해야 하는 남편으로 나타난다. 매춘부로서의 아내는 남편과의 관계방식을 규정할 뿐만이 아니라 남편의 욕구와 의식에 관여함으로써 그를 소외시키는 원인된다. 이것이 사물화된 관계구조라 할 수 있다. 이 같은 남편과 아내의 관계로부터 빚어지는 ‘나’(남편)의 자기소외의 국면을 살펴보면 권리 양도의 문제가 깊이 개입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내와의 관계 속에서 ‘나’는 이미 남편으로서의 권리와 자격을 아내의 애인에게 그리고 신부인 아내에게 양도함으로써 그들에게 종속된다. 한편 소외의 고통은 특수한 정념, 감각, 느낌, 정서 등을 촉발하는 요인이 된다. 이상의 시에서 소외가 야기하는 감각은 주로 ‘극한(極寒)’으로 표현되면 그에 따른 정념은 무력감으로 드러나곤 한다. 그런데 이상이 드러낸 무력감으로서의 정념은 기성의 가치의 부정이나 거부를 내포하는 능동성을 지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상의 시에 내포된 소외와 정념은 사물화된 관계구조가 어떻게 인간적 유대를 훼손하는가, 어떻게 한 존재의 존립을 비생명적인 상태로 강등시키는가를 여실히 드러내준다. 아울러 이와 같은 비극적 존재 상황을 돌파하는 방법은 무엇인가를 묻게 한다. 상품구조에 의한 사물화의 과정은 근대인들이 타자와 맺는 관계방식을 압축적으로 지시한다. 이상은 이를 자신의 문학을 통해 선취한 시인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1980년대 詩의 日常的 醜와 內面的 醜의 辨證的 止揚에 관한 小考 - 김정환․황지우․장경린의 初期詩를 中心으로 -

        엄경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5 No.1

        This study examines the modes and features of ugliness in poetry during the 1980s, focusing early poems of Kim Jeong-hwan, Hwang Ji-u, and Jang Kyung-lin. The proper appraisals of the Korean literature in the 1980s have to be processed with all aesthetic attempts to denounce the real absurdities beyond the one-sided range of "Volksliteratur." Kim Jeong-hwan, Hwang Ji-u, and Jang Kyung-lin, as poets who have ventured on newly literary attempts in a different level from the range of Volksliteratur, require to be noticed since they have shaped the capitalist ugliness and politically repressive reality by using everyday materials. Their first poetical works were published in the 1980s, their ages are similar, and their birthplace is Seoul. These commonalities are to be very significant criteria of grasping the everyday situation of Korean society in the 1980s. Revealing their everyday and inner ugliness by topicalization of the middle class's petit-bourgeois disposition and the intelligentsia's inertia and agony, the poetic trends of these poets display different modes from those of the participant poetry basing itself on political ideologies. Exerting techniques of formal destruction, antinomic statement, allegory, and juxtaposition, these poets reveal from many angles the ugliness of reality and the inner ugliness incapable of resisting the ugly reality. The use of diverse techniques is to be an aesthetic strategy to denounce the ugliness of re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ticulate how these techniques are arranged and used in poems of these poets and what an epistemic situation these poets thereby attempt to reveal. This signifies the first foundation for a study to diagnose the "validity of ugliness" in Korean modern poetry, namely to gauge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the "aesthetics of ugliness." 본 논문은 김정환․황지우․장경린의 초기시를 중심으로 1980년대 시에 나타난 醜의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중산층의 小市民的 성향, 지식인들의 무기력과 고뇌를 바탕으로 일상과 내면의 추를 동시에 드러낸 세 시인의 시적 경향은 정치적 이데올로기에 입각한 參與詩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세 시인은 일상의 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內面의 추를 形態破壞, 二律背反(antinomy)적 진술, 알레고리, 竝置 技法 등을 통해 多角的으로 드러낸다. 이들의 ‘추의 미학’에는 위악적 현실에 제대로 응전하지 못하는 ‘완고한’ 자아, ‘무기력’한 자아, ‘비루한’ 자아라는 부정적 주체의 모습이 공통적으로 담겨있다. 김정환․황지우․장경린은 각각 습관 교정, 폭로, 냉소와 같은 태도를 통해 일상의 추에 대응하는 시인의 ‘自意識’을 강하게 드러냄으로써 일상성 속에 가려진 부조리한 시대상과 그와 연동된 주체의 내면적 추를 동시에 성찰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들의 ‘추의 미학’은 倫理的 혹은 道德的 추의 문제로 수렴된다.

      • KCI등재

        리빙제품디자인의 소비자 구매행태에 관한 연구 -지속가능한 소재를 중심으로-

        엄경희,김수란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4

        과거의 무자비한 개발로 인해 깨져버린 인간과 자연의 불균형 문제 해결과 사회적 가치를 포기하지 않으면서 현재와 미래를 동시에 생각하여 환경문제를 극복하자는 지속가능성이 대두되면서 이를 접목한 다양한 활동들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1인당 국민 소득이 증가하면서 가구와 생활소품을 포함한 라이프스타일이 급성장 하여 이와 관련된 리빙제품들이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를 반영하여 지속가능한소재를 활용한 리빙제품디자인 구매 시 소비자의 구매행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소재를 중심으로 한리빙제품디자인의 이론적 고찰과 소비자 구매행태를분석함으로써 관련업계에 새로운 마케팅 전략 제시및 이를 통한 경제적 이윤 창출, 지속가능성을 접목한신 시장 창출을 위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국내외 학술논문, 전문서적, 잡지, 관련기사와 뉴스, 인터넷 서칭 등을 통한 이론적 연구를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교차분석을 하였다. 연구범위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통한 총 259명을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분석한 내용을 참고하여 구매시 중요 고려요소, 구매장소, 구매횟수, 평균 구매금액등의 구매행태를 살펴보았다. 또한 구매 시 중요 고려요소 중 가장 높은 2개의 요소들을 선택한 응답자의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구매행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8년10월15일부터 20일까지 전국 259명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한 소재를 활용한 리빙제품디자인 구매 시 소비자의 구매행태는 구매 시 중요 고려요소중 기능성을 가장 많이 고려하며 국내 인터넷을 통해제품을 구매한다. 또한 10만원 미만의 평균 금액을 지출하여 연 0~2회 제품을 구입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중요 고려요소 중 가장 높은 수치를 차지했던 기능성 요소를 선택한 응답자의 구매행태를 살펴보면구매장소에서 주부를 제외한 모든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전문매장, 할인매장, 국내인터넷에서 높은 수치를보였다. 최근 1년간 구매 횟수에 관한 분석 결과는 각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모두 0~2회와 3~4회가 높은 수치를 보였다. 1회 구매 시 평균금액에 관한 분석결과는 직업의 공무원과 판매/서비스직을 제외한 각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모두 10만원 미만, 10~20만원 미만이 높은 수치를 보였다. 셋째, 고려요소 중 두번째 높은 수치를 차지했던 디자인 요소를 선택한 응답자의 구매행태를 살펴보면 구매장소에서 공무원과주부를 제외한 모든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백화점, 전문매장, 할인매장, 국내인터넷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최근 1년간 구매 횟수에 관한 분석 결과는 각각의인구통계학적 특성 모두 0~2회와 3~4회가 높은 수치를 보였다. 1회 구매 평균금액에 관한 분석 결과는각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모두 10만원 미만, 10~20 만원 미만이 높은 수치를 보였다. 따라서 실증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소재를 활용한 리빙제품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구매행태를 살펴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논문이 향후고객과 기업의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자료로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앞으로도 지속가능성과 리빙제품디자인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Recently, there have appeared a lot of activities which try to solve the problems of imbalance between human and nature caused by the human’s random and excessive development and overcome the environmental problems by thinking not only the present but also the future without giving up the social values as people put more emphasis on the sustainability. In addition,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per-capita national income, the lifestyle including the furniture and living products gets more popular. Considering this trend, it is necessary to make a research on the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when they purchase the living products design taking advantage of sustainable materials. So, this study focuses on the theories of the living products design using the sustainable materials and the analysis of the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s, in oder to suggest new marketing strategy to the related industries and provide the data for the creation of new market taking into account the economic profit and sustainability. As for the study method, the study on theories were made though the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papers, books, journal, and related news articles and the document on the web. For the empirical research,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data was cross tabulated using SPSS 20.0 program.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259 people in consideration of demographical features. Considering the analysis of the prior documents and researches, the purchasing behaviors were studied including the critical considerations in purchasing, purchasing place, frequency of purchasing and average purchasing amount. In addition, the subjects who selected two elements which are the most ones among the critical consideration in purchasing were studied from the demographical features.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study conducted on 259 subjects from Oct. 15, 2018 to Oct. 20, 2018 are as follows. First, when purchasing the living produce design using the sustainable materials, the consumers put priority on the functionality among the critical considerations and purchase it on the domestic web sites. In addition, they usually spend the average amount of less than 100,000 Won for each purchase and the frequency of purchasing was from 0 to 2 a year. Second, the subjects who selected the functionality which took up the highest vaue among the most considerations showed the purchasing behavior of putting priority on the specialty mall followed by discount mall and website as their place of purchasing for all people except the housewives with respect o the demographical features. The result of the frequency of purchasing for last 1 year was the highest with 0~2 times and 3~4 times in the demographical features. The result of the average purchasing amount for each purchases showed that the amount of less than 100,000 Won and the amount ranging from 100,000 to 200,000 Won got the highest values except the public servants and the sales/service workers. Third, the subjects who selected the design element which was the second largest value as the consideration showed in their purchasing behavior that they put priority on department store, specialty mall, discount mall and domestic websites with respect to the demographical features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purchasing for last 1 year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0~2 and 3~4 were the most. The result of theanalysis of average purchasing amount for each purchase showed that the amount of less than 100,000 Won was the most, followed by the amount of 100,000 Won ~ 200,000 Won. Accordingly, it was possible from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that the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could be understood on the living product design using the sustainable materials.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would be used as the data which could meet the demand of customers and companies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further studies on the sustainability and living product design are to be made on a continual ba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