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중북부 중간지대에서 극조생 벼 품종 ‘조운’의 기계이앙 시기에 따른 개화기 및 수량특성 변화

        양운호,김명기,강신구,박정화,김숙진,최종서,양창인,백남현 한국작물학회 2017 한국작물학회지 Vol.62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over a 3-year period from 2013 to 2015 in the mid-northern inland, Cheolweon, Korea, to investigate changes in flowering date, daily mean temperature during grain filling, and yield characteristics affected by transplanting date in an early-maturing rice variety, ‘Joun’. Thirty-day-old seedlings were transplanted at four different dates at 15-day interval from May 5 to June 19. Flowering dates were July 16, July 21, July 31, and August 14 when transplanting was performed on May 5, May 20, June 4, and June 19, respectively. Late transplanting resulted in higher daily mean temperature before flowering but late-transplanted rice required fewer days and lower cumulative temperature to reach flowering from transplanting. As transplanting was delayed, daily mean temperature for 40 days after flowering decreased, whereas daily sunshine hours for the same period increased, with a temperature of 24.8°C and sunshine for 5.8 hours being recorded at the transplanting on May 5, and with a temperature of 21.0°C and sunshine for 7.7 hours at the transplanting on June 19. With late transplanting, panicles per square meter significantly decreased, whereas spikelets per panicle showed an increasing trend.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maximum head rice yield was attained from the transplanting on May 18, for which the flowering date was July 21, and daily mean temperature for 40 days from that flowering date was 24.6°C. A decrease in head rice yield by 5% and 10% of the maximum was observed for rice transplanted on June 6 and June 15, which resulted in flowering dates of August 2 and August 11, respectively, and the daily mean temperatures for 40 days from flowering were 23.2 and 21.7°C, respectively. Therefore, in mid-northern inland, it is recommended to transplant ‘Joun’ on May 18 to induce flowering on July 21, when grain filling is subjected to a daily mean temperature of 24.6°C during active filling stage. 중북부 중간지에서 극조생종 벼 품종 조운의 기계이앙시기에 따른 출수기와 등숙기간 중 평균기온의 변화 및 그에 따른 수량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립식량과학원 철원출장소 시험포장에서 이앙시기를 5월 5일부터 6월 19일까지 조절하여 3년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5월 5일 이앙에서 7월 16일이었고 6월 19일 이앙에서 8월 14일이었으며, 이앙시기가 늦을수록 이앙~ 출수기의 일평균기온은 높았으나 기간이 짧아지고 적산온도가 적어졌다. 출수 후 40일간 기상은 이앙시기가 늦을수록 일평균기온이 낮아지고 일조시간은 많아졌다. 2. m2당 이삭수는 이앙시기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은 수량구성요소로서 이앙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유의하게감소하였고, 수당영화수는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 쌀수량은 5월 20일 이앙에서 가장 많았고 6월 19일이앙에서 가장 적었으며, 완전미 비율은 쌀수량과 반대의 경향을 보였는데, 완전미 수량은 쌀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이앙시기와 완전미 수량지수의 관계 분석 결과, 5월18일 이앙에서 완전미 수량이 가장 높았으며, 최고수량 대비 5%와 10%가 감소하는 이앙시기는 각각 6월6일과 6월 15일로 분석되었다. 5. 완전미 최고수량을 보인 이앙시기의 출수기는 7월 21 일이었고 이 때 출수 후 40일간 평균기온은 24.6°C였으며, 최고수량 대비 5%와 10%가 감소하는 이앙시기의 출수기는 각각 8월 2일과 8월 11일로 이들 출수기에서 출수 후 40일간 평균기온은 각각 23.2°C와 21.7°C 였다.

      • KCI등재

        중부 평야지에서 조생종 벼의 이앙시기에 따른 수량 특성 변화와 작물학적 요인 분석

        양운호,박정화,최종서,강신구,김숙진 한국작물학회 2019 한국작물학회지 Vol.64 No.3

        In response to elevated temperature, a shift in the rice planting period was proposed as a promising option in temperate regions. To understand the yield response of early maturing rice to different transplanting dates and to analyze the related agronomic traits in the central plain area, we performed a two-year study using different transplanting dates and six varieties in Suwon, Korea. The maximum head rice weight was achieved in the treatments transplanted between June 14 and 29, depending upon the varieties. The optimal mean temperature during the 40 days from heading stage for attaining the maximum head rice weight was 21.8°C on the average of six varieties. The index of head rice weigh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dices of both the milled rice weight and head rice percentage, the latter showing a higher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The highest milled rice weight was commonly achieved from the treatment transplanted on June 29, where the head rice weight was also the highest. The index of milled rice weigh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indices of grain filling percentage and number of spikelets per area, but not correlated with the index of 1000-brown rice weight. The transplanting date with the highest milled rice yield produced the largest number of spikelets per area, greatest biomass at the heading and harvesting stages, and highest level of harvest index. We suggest that the optimal transplanting date for early maturing rice varieties in the central plain area is from June 14 to 29. High head rice yield in this study was attributed to increased spikelets owing to the increased biomass production at the heading stage, enhanced grain filling due to the high biomass production and harvest index at maturity, and improved head rice percentage. 중부 평야지에서 온난화 현황을 반영하여 조생종 벼의 이 앙시기에 따른 완전미 수량의 변화를 검토하고, 완전미 수 량 향상과 관련된 작물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7~ 2018년 2년에 걸쳐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수원) 벼 재배시험 포장에서 6품종을 이용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 과 같다. 1. 완전미 무게는 품종에 따라 6월 14일~29일 이앙, 6품종 공통 6월 29일 이앙에서 통계적으로 가장 높았는데, 완 전미 최고 무게를 나타낸 출수 후 40일간 등숙적온은 품 종에 따라 21.3~23.9°C, 6품종 평균 21.8°C이었다. 2. 완전미 무게는 쌀 무게보다 완전립 비율과 더 밀접한 상 관관계를 나타내었다. 3. 출수 후 40일간 등숙적온은 쌀 무게 기준에서 23.5°C, 완전립 비율 기준에서 20.5°C로, 쌀수량보다 품위 향상 을 위한 등숙적온이 3°C 낮게 나타났다. 4. 완전미 무게 향상에 일정 부분 기여한 쌀 무게도 6품종 공통 6월 29일 이앙에서 가장 높았는데, 이에는 등숙비 율과 m2당 영화수의 증가가 기여하였다. 5. 오대 1품종을 이용하여 별도의 이앙시기 처리에서 검토 하였을 때, 쌀수량이 가장 높았던 이앙시기에 m2당 영화 수, 출수기 및 수확기 건물중, 수확지수가 통계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6. 결론적으로, 중부 평야지에서 조생종의 완전미 수량 향 상을 위한 이앙적기는 품종에 따라 6월 14일~29일이었 으며, 완전미 수량 향상의 작물학적 요인은 출수기 건물 중 증가에 따른 m2당 영화수의 증대와 수확기 건물중 및 수확지수 증가에 따른 등숙비율의 향상, 그리고 완전립 비율 향상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Benzobicyclon에 대한 총체 사료용 벼 품종의 약해 반응

        양운호,손지영,김준환,정한용,안억근,김보경,박태선,윤영환 한국잔디학회 2014 Weed & Turfgrass Science Vol.3 No.3

        Benzobicyclon induces phytotoxicity to Tongil type rice, although it is an efficient herbicide in paddy. This studywas performed to figure out the benzobicyclon-induced phytotoxicity responses of whole crop forage rice genotypes that have thegenetic background similar to Tongil type rice, under wet-seeded and transplanted conditions. Mogwoo demonstrated whiteningsymptom at all the temperatures in both wet-seeding and transplanting by the application of standard and double rates ofbenzobicyclon. Nokyang, Mogyang and Suweon560 exhibited no or negligible whitening and their plant heights were not reducedat standard rate of benzobicyclon. But in double rate application in wet-seeding, the three genotypes showed 0-8% of white plantsat all temperature treatments and reduction in plant height was comparatively larger at 27oC. In transplanting, the double rateapplication of benzobicyclon at 24 and 27oC induced 0-32% of whitening plants depending on genotypes while no whiteningplants were observed at 18 and 21oC in all genotypes. Reduction in biomass by double rate of benzobicyclon at 24 and 27oC wasgreater than at 18 and 21oC. It is concluded that Mogwoo is extremely sensitive to benzobicyclon and Nokyang, Mogyang andSuweon560 are tolerant to the standard rate of benzobicyclon. 담수표면산파와 이앙재배 조건에서 benzobicyclon에 대한 총체 사료용 벼 4품종 및 계통의 약해 반응 차이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목우는 모든 재배양식, 처리온도,benzobicyclon 처리량에서 100% 백화 증상을 보였다. 녹양, 목양, 수원560은 benzobicyclon 기준량 처리에서는 백화 증상이 나타나지 않거나 매우 경미하였다. 그러나 benzobicyclon배량 처리에서 이들 3품종 및 계통은 담수표면산파의 경우 백화 현상이 0-8% 발생하였고, 27oC의 고온 처리에서는초장의 단축 정도가 컸다. 이앙재배의 경우 이들 3품종 및계통은 평균기온 18oC와 21oC에서 백화 증상을 보이지 않았던 반면, 24oC와 27oC에서는 품종에 따라 2-32%의 백화증상을 나타내었고 건물중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Benzobicyclon 배량의 고온 처리에서 이와 같은 약해 증상은 일반형 품종인 일품에서도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목우는 benzobicyclon에 대한 약해가 매우 심하였으며, 녹양, 목양, 수원560은 benzobicyclon 기준량 처리에서는 약해를 보이지 않았다.

      • KCI등재

        북한 저온 지역의 기온과 일장 조건에서 벼 품종의 출수 반응

        양운호,강신구,최종서,이대우,이석기,채미진,Yang, Woonho,Kang, Shingu,Choi, Jong-Seo,Lee, Dae-Woo,Lee, Seuk-ki,Chae, Mi-Jin 한국작물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66 No.3

        북한 저온 지역의 재배 기간과 환경 적응 벼 품종 선정을 위해 각 지역의 조기이앙 한계기 - 출수기 기간 중 기온과 일장 변화 조건에서 남한 조생종, 북한 품종, 중국 동북3성 품종을 공시하여 30일간 육묘한 산파묘와 포트묘의 출수 반응 차이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파묘를 이앙재배하는 경우 안전출수 한계기가 나타나는 6지역에서 안전출수 한계기까지 출수한 품종은 지역에 따라 생육 기간이 매우 짧은 몇몇 품종으로 제한되거나 나타나지 않았으며, 남한 품종 중에서는 희천 환경에서 조운이 유일하였다. 2. 산파묘의 경우 안전출수 한계기 - 출수만한기 사이에 출수한 남한 품종은 기온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함흥, 평강, 희천, 강계 환경에서 공통적으로 진부올, 백일미, 조운, 조품, 진옥, 조평, 산호미, 오대였으며, 신포 조건에서는 조운, 기온이 낮았던 양덕, 김책, 청진, 선봉, 중강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3. 산파묘의 출수소요일수는 모든 10지역 환경에서 서로 유의확률 1% 수준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포트묘의 출수소요일수는 산파묘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단축되었으나 차이가 없거나 증가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산파묘 대비 포트묘의 출수단축일수는 다른 지역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는 경우가 7지역에서 나타났다. 5. 산파묘 대비 포트묘의 출수소요일수 단축 정도는 남한품종 중 진옥에서 지역에 따라 8~13일, 북한 품종 중 선봉9가 7~15일로 컸으며, 중국 동북3성 품종은 묘 종류사이에 출수소요일수 차이가 적었다. 6. 포트묘 공시 남한 5품종 중 안전출수 한계기까지 출수한 품종은 함흥, 평강, 양덕, 신포, 강계의 5지역 환경에서 진옥, 희천 환경에서 진부올, 조품, 진옥이었으며, 김책과 중강에서는 진옥이 출수만한기까지 출수가 빨라져 적응성이 향상되었다. 7. 기온이 가장 낮은 청진과 선봉에서는 산파묘와 포트묘 모두 출수만한기까지 출수하는 품종이 없었으며, 이들 지역에 대하여는 생육이 더 진전된 묘의 출수 단축 효과를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e heading response of rice varieties, originated from South Korea, North Korea, and northern China, was examined under the temperature and day-length conditions of 10 low-temperature regions in North Korea. When 30-day-old broadcast tray-raised seedlings (BS) were used, only one or a few varieties reached the heading stage within the safe marginal heading date (SMHD) under the Hamhung, Pyonggang, Huichon, and Kanggye conditions. In the Yangdok and Sinpo environments, no varieties reached heading until SMHD. The South Korean varieties that reached the heading stage between SMHD and late marginal heading date (LMHD) were Jinbuol, Baegilmi, Joun, Jopum, Jinok, Jopyeong, Sanhomi, and Odae for the Hamhung, Pyonggang, Huichon, and Kanggye; Joun for Sinpo; and none for Yangdok, Kimchaek, Sonbong, and Chunggang environments. The number of days to heading (DTH) was positively correlated among all 10 regions. Reduced DTH in the 30-day-old pot tray-raised seedlings (PS), compared to BS, was not consistent with varieties and regions. Reduced DTH in PS, compared to BS, was the largest in Jinok and Sonbong9 among the South and North Korean varieties, respectively, whereas it was small in the northern Chinese varieties. The South Korean varieties that headed until SMHD in PS were Jinok for the Hamhung, Pyonggang, Yangdok, Sinpo, and Kanggye environments; and Jinbuol, Jopum, and Jinok for the Huichon condition. In the Kimchaek and Chunggang conditions, Jinok reached the heading stage within LMHD. With the use of PS for some responsive varieties such as Jinok, varietal adaptability could be improved to the conditions of low-temperature regions in North Korea. None of the PS or BS among the tested varieties reached the heading stage until LMHD for the Chongjin and Sonbong conditions.

      • KCI등재

        고위도 지역 재배 벼 품종의 수량 향상을 위한 등숙적온 분석

        양운호,강신구,최종서,박정화,김숙진 한국작물학회 2020 한국작물학회지 Vol.65 No.3

        A field test and a phytotron study were performed over two years to examine whether rice varieties originated from higher altitude areas have lower optimum grain filling temperatures for yield improvement than the varieties from South Korea. Three varieties originated from North Korea and three varieties from northern China were compared to the same number of varieties from South Korea. In a field study, the optimum grain filling temperatures over 40 days after heading were 22.6 – 23.0°C, 21.5 – 22.3°C, and 21.5 – 23.6°C for the varieties from North Korea, northern China, and South Korea, respectively, resulting in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varietal groups. Meanwhile, the heading dates of the early maturing varieties from North Korea and China were 7 - 12 days earlier than that of the early maturing Odae variety from South Korea during the first transplant of 2017. The phytotron study, in which different temperature regimes were imposed from flowering/fertilization to harvest with constant daily mean temperatures, revealed that milled rice weight did not decrease under low temperatures, even at 16°C, compared to that at 22°C. At the fourth transplant in the field study, mean temperature lower than 10°C appeared before rice grains were fully developed, resulting in yield reductions. It was concluded that rice varieties adaptable to high-altitude areas do not have lower optimum grain filling temperatures but, instead, possess shorter growth durations. It was further suggested that the optimum grain filling temperature of rice observed under natural conditions could be attributed to the lowering temperature at the late filling stage under temperate climatic conditions. 우리나라보다 고위도 저온 지역인 북한과 중국 동북3성에서 재배되는 자포니카 벼 품종의 등숙적온이 더 낮은지를 밝히기 위하여,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수원) 벼 재배시험 포장과 인공기상실에서 등숙기간 중 기온을 조절하여 2년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포장시험에서 백미중 향상을 위한 출수 후 40일간 등숙적온은 북한 품종에서 22.6~23.0°C, 중국 동북3성 품종에서 21.5~22.3°C로, 남한 품종의 21.5~23.6°C에 비해낮지 않았다. 2. 2017년 1차 이앙에서 북한 품종 중 길주1과 중국 재배품종은 남한의 오대 대비 출수기가 7~12일 빨랐다. 3. 인공기상실에서 개화 수정 후 수확기까지 동일한 온도조건으로 평균기온을 16~22°C로 처리하여 검토한 결과, 남한 품종 중 삼광과 북한 품종 중 평양21을 제외한 7품종에서 백미중은 처리간 유의한 차이가 없어 평균기온16°C까지 잠재 등숙성이 유지되었다. 4. 포장시험에서 품종별 상관식에 출수 후 40일간 평균기온 16, 18, 20, 22°C를 대입하여 분석한 백미중 지수는인공기상실 시험과 다르게 22°C보다 기온이 낮아짐에따라 급격하게 저하되었다. 5. 대부분의 품종에서 수확기경에 평균기온 10~16°C 사이가 유지된 조건에서 백미중이 가장 높았고, 16°C보다 높거나 10°C보다 낮아지는 조건에서는 수량이 저하되었다. 6. 종합적으로 우리나라보다 고위도 저온지역에서 적응하는 벼 품종의 특성은 낮은 등숙적온이 아니라 짧은 생육기간이며, 포장 조건에서 나타나는 벼의 등숙적온은 온대기후 특성상 등숙후기에 기온이 저하되는데 원인이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 KCI등재

        북한 주요 벼 재배지역의 기온과 일장 환경에서 품종의 출수 반응과 지역 적응성분석

        양운호,강신구,최종서,이대우 한국작물학회 2022 한국작물학회지 Vol.67 No.4

        ABSTRACT The heading responses of rice varieties that originated from South Korea, North Korea, and northern China wereexamined under the temperature and day-length conditions of 13 major rice production areas in North Korea. Kenjiandao3 andNongdae3 originated from China, Olbyeo1, Olbyeo2 and Sonbong9 from North Korea, and Joun from South Korea demonstratedthe earliest heading stage depending on the regional environment. Out of 40 rice varieties, 34 reached the heading stage within theregional safe marginal heading date (SMHD) under Haeju and Sariwon environmental conditions, while 16 to 17 varieties reachedthe heading stage under Wonsan, Changjon, Supung, and Yongyon environmental conditions. Some middle and mid-late maturingvarieties that originated from South Korea reached the heading stage within the SMHD under the temperature and day-lengthconditions of Kaesong, Haeju, Sariwon, Nampo, and Pyongyang that are located in the west-southern plain. The majority of earlymaturing varieties, but not the middle or mid-late ones, reached the heading stage within the SMHD under the environmentalconditions of Singye, Anju, Kusong, and Sinuiju. Only a few early maturing varieties demonstrated the heading stage within theSMHD under Yongyon, Changjon, and Wonsan environments. The number of days to heading was highly positively correlatedamong all regions; however, it was not consistent among the rice varieties. The 40 rice varieties that had been tested were classifiedinto seven groups according to their heading responses to the temperature and day-length variations of the 13 regional conditionsat 65% similarity level in cluster analysis. 적 요북한 주요 벼 재배지역의 재배기간 및 환경 적응 벼 품종을 선정하기 위하여, 13 지역의 조기이앙한계기~출수기기간 중 기온과 일장 변화 조건에서 남한, 북한, 중국 동북3성의 40개 품종을 공시하여 출수 반응 차이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북한 주요 벼 재배지역 환경에서 출수가 가장 빨랐던 품종은 지역에 따라 중국 동북 3성 품종 중 Kenjiandao3,Nongdae3과 북한 품종 중 올벼1, 올벼2, 선봉9로 나타났으며, 동해안 남부의 장전과 원산에서는 남한 품종인조운이 가장 빠른 수준을 보였다. 2. 시험 대상 13 지역 중 안전출수한계기까지 출수한 품종은 해주와 사리원 환경에서 34개로 가장 많았고, 원산,장전, 수풍, 용연에서 16~17개로 가장 적었다. 3. 북한 서남부 평야지에 위치한 개성, 해주, 사리원, 남포,평양 조건에서는 남한 품종 중 일부 중생종과 중만생종까지 안전출수한계기 이내에 출수하였다. 4. 서남부 평야지 중 해발이 가장 높은 신계와 중서부 평야지의 안주, 구성, 신의주에서는 남한 조생종 14 품종 중10~11개가 안전출수한계기까지 출수하였다. 5. 서남부 평야지 중 기온이 낮아 조기이앙한계기~안전출수한계기 기간이 짧은 용연, 동해안 남부의 장전과 원산환경에서는 남한 조생종 중 출수가 빠른 6~8 품종만 안전출수한계기까지 출수하였다. 6. 출수소요일수는 모든 지역 사이에 고도로 유의한 정의상관을 보였으나, 지역 환경에 따른 출수소요일수 변화의 품종간 상관은 유의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7. 시험 대상 지역 환경의 변화에 따른 출수소요일수 반응은 군집분석의 유사도 65% 수준에서 ① 진부올, 산호미, 선봉9, 진부, ② 백일미, 조품, 운광, 조평, 조생흑찰, 조운,오대, 해들, 온포1, 원산69, ③ 올벼1, 올벼2, Longdao5,Jijing88. Kenjiandao3, 평도15, Wuyoudao, ④ 아세미,진미, 평도5, 평양21, 평양43, ⑤ 길주1, Nongdae3, ⑥진옥, 소비, 하이아미, 대보, 신보, 선품, 알찬미, 삼광, 호품, ⑦ 청아, 새누리, 청품의 7개 군으로 구분되었다.

      • KCI등재

        벼 품종의 출수생태 특성에 따른 포장 출수 반응 분석

        양운호,강신구,김숙진,최종서,박종화 한국작물학회 2018 한국작물학회지 Vol.63 No.4

        The heading response of rice varieties is determined by the combined effects of their basic vegetative phase (BVP), photoperiod-sensitivity (PS), and thermo-sensitivity (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 of differences among heading ecotypes of rice on their heading response in the field. To do this, we investigated the heading response of 15 varieties grown under different day-length and temperature conditions in a phytotron. The characteristics of heading ecotypes were compared to the heading responses in the field-grown rice varieties that were used in the phytotron experiments. The ranges of these characteristics across the 15 varieties were 18 - 35 days for BVP, 12 - 61 days for PS, and 12 - 35 days for TS. In comparisons of coupled varieties that differed only in a single trait among BVP, PS, and TS, the variety with the longer BVP and that with the higher PS had a longer period from sowing to heading (DTH), while the variety with the higher TS had a shorter DTH. The comparative magnitude of DTH in the coupled varieties followed the PS trait when BVP and PS were involved, the BVP trait when BVP and TS were involved, and the PS trait when PS and TS were involved in the heading response of field-grown rice. When comparing the coupled varieties with different traits of the three examined factors, the heading response was consistent with the PS trait. The DTH in all 15 varietie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S, and the DTH in 9 selected varieties with a relatively small PS was correlated with BVP. The reduced DTH of rice in the July 10 seeding treatment compared to those in the June 25 and May 11 seeding treatment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S, but not with TS. We concluded that the heading response of rice varieties under natural conditions in Korea is mainly governed by the PS trait and is also greatly affected by the BVP trait when the PS is small. 벼 품종의 출수생태 특성에 따른 포장 출수 반응 분석을위하여, 15품종에 대하여 인공기상실에서 일장과 평균기온각 4수준에 따른 출수생태 특성, 시험포장에서 담수산파재배 파종시기 5처리에 따른 출수 반응을 조사․분석한 결과는다음과 같다. 1. 시험 품종의 출수 소요일수는 일장이 15시간에서 14 시간으로 짧아질 때, 평균기온이 22°C에서 24°C로 높아질 때 전반적으로 단축 정도가 컸다. 2. 일장 12~14시간과 평균기온 24~28°C의 범위에서는일장과 온도에 의한 출수 촉진 효과의 적산 값이 비슷3. 벼 품종에 따라 기본영양생장성은 18일(새누리)~33일(아세미), 감광성은 12일(온포1)~61일(새누리), 감온성은 12일(호품)~35일(평양21) 범위였으며, 이들 세요인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4. 단요인이 관여하는 2품종 비교의 경우, 상대적으로 기본영양생장성이 큰 품종과 감광성이 큰 품종은 포장조건에서 출수 소요일수가 길었으며, 감온성이 큰 품종은 출수 소요일수가 짧았다. 5. 두 요인이 관여하는 2품종 비교에서는, 기본영양생장성과 감광성이 함께 관여하는 경우 감광성에 따라서, 기본영양생장성과 감온성이 함께 관여하는 경우 기본영영양생장성에 따라서, 감광성과 감온성이 함께 관여하는 경우 감광성에 따라 포장 출수 소요일수의 상대적인 장단이 결정되었다. 6. 세 요인이 관여하는 경우의 품종 비교에서는 출수 소요일수의 장단이 감광성의 상대적인 크기와 일치하였다. 7. 모든 공시품종에서 포장 출수 소요일수는 감광성과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파종시기가 늦어짐에따라 감광성의 영향 정도가 감소하였으며, 감광성이유사하게 낮은 조생종에서 출수 소요일수는 기본영양생장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8. 5월 11일과 6월 25일 대비 7월 10일 파종에서 품종별출수 소요일수의 단축 정도는 감광성이 클수록 유의하게 컸으며, 감온성에 따라서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9.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자연 일장과 기온 조건에서 벼품종의 출수기는 감광성에 영향을 크게 받으며, 재배시기 지연에 따른 출수 소요일수의 단축 정도 또한 품종의 감광성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중부 평야지에서 중생종 벼 ‘하이아미’의 기계이앙 시기에 따른출수기와 수량특성 변화

        양운호,강신구,박정화,김숙진,최종서,윤영환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8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30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over a 3-year period from 2013 to 2015 in the central plain area, Suwon, Korea with aims to suggest optimum transplanting date of ‘Haiami’, a mid-maturing rice cultivar, by investigating changes in heading date, climatic factors before and after heading, and yielding characteristics affected by transplanting date. Thirty-day old seedlings were machine-transplanted on four different dates at 15-day interval from May 10 to June 24. Heading dates were August 10 and August 31 at the treatments transplanted on May 10 and June 24, respectively. Late transplanted Haiami rice was subjected to higher daily mean temperature before heading and required fewer days to reach heading stage. However, for 40 days after heading, daily mean temperature decreased as transplanting was delayed. Transplanting date, as a variable, resulted in a great variation in daily mean temperature but a relatively small variation in daily sunshine hours before and after heading of Haiami plants. As transplanting was delayed, number of panicles per unit area decreased but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increased, hence the decrease in days from transplanting to heading due to late planting did not result in a reduced sink size. Sink size affected by transplanting date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rain filling percentage. However, 1000-brown rice weight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mean temperature for 40 days after heading decreased. Milled rice yield was similar among the four transplanting date treatments while head rice percentage and consequent head rice yield increased with late transplanting. Therefore, to achieve higher head rice yield in consideration of possible erratic climate at late grain filling period, it is recommended to transplant ‘Haiami’ cultivar at mid-June in the central plain area of Korea. 중부 평야지에서 중생종 벼 하이아미의 이앙시기에 따른 출수기의 변동과 출수 전후의 기상 및 수량 특성을 파악하고 적절한재배시기를 제안하기 위하여, 이앙시기를 5월 10일부터 6월 24일까지 조절하여 3년간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원 벼 재배시험 포장에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앙기가 늦을수록 출수기까지는 일 평균기온이 높았으나 출수소요일수가 단축됨에 따라 적산온도가 적어졌고, 출수 후 40일간은 평균기온이 낮고 일조시간이 많은 경향이었다. 2. 이앙기~출수기와 출수 후 40일간의 평균기온은 시험연차보다 이앙시기에 따른 변이가 컸으나 일 평균 일조시간은 이앙시기보다 시험연차에 따른 변이 정도가 더 커서, 이앙시기 조절에 의한 기상요인의 변화는 평균기온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3. 이앙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수수는 감소하였으나 수당영화수가 증가하였고, 결과적으로 이앙시기 지연에 의한 출수소요일수의 단축이 sink size의 감소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4. 이앙시기 조절에 의한 m2당 영화수의 변화는 등숙비율과 뚜렷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출수 후 40일간 평균기온이 낮아짐에 따라 현미천립중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5. 쌀수량은 이앙시기에 따라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던 반면, 완전립 비율은 6월 24일까지 이앙이 늦어짐에 따라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으며 그에 따라 완전미 수량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6. 결과적으로, 중부 평야지에서 하이아미는 이앙시기를 6월 중~하순으로 늦춤으로써 쌀 품위를 높이고 완전미 수량을 향상시킬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등숙 후기의 저온 피해 우려를 고려하면 6월 중순에 이앙하는 것이 안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Association of Grain Filling Duration and Leaf Activity with the Grain Yield in Field-Grown Temperate Japonica Rice

        양운호,강신구,박정화,김숙진,최종서,허승기 한국작물학회 2018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63 No.2

        Improvement in rice grain yield has been approached by means of genetic amendment, cultural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adaptation. Subjecting the plant during the grain filling period to an appropriate environment plays a key role in achieving a high grain yield in temperate rice.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two consecutive years with two planting times to assess the relations among grain filling traits, loss of leaf activity during the ripening period, and the grain yield of temperate japonica rice with wide environmental variation. Higher grain yields were attained in 2017 than in 2016 and with late planting than with early planting. The high grain yield accompanied a comparatively lesser increase in grain weight at the early filling stage but more gain in grain weight occurred during the late filling stage. Final grain weight correlated positively with grain filling duration but negatively with grain filling rate. Extended grain filling duration was associated with higher cumulative temperature and cumulative solar radiation for an effective grain filling period. The reduction in SPAD value × leaf dry weight from heading to harves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inal grain dry weight in a positive manner. No significant relation was found between grain filling duration and the decrease in SPAD value × leaf dry weight during the grain filling period. The results suggest that grain filling duration and loss of leaf activity during ripening independently contribute to environmentally induced yield improvement in temperate japonica r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