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linical Study of Rhabdomyolysis After Exercise

        안영준,이승림,유재호,주민홍,김성완,박지만,양보규,Ahn, Young-Joon,Yi, Seung-Rim,Yoo, Jae-Ho,Zoo, Min-Hong,Kim, Seong-Wan,Park, Ji-Man,Yang, Bo-Kyu Korean Orthopaedic Society for Sports Medicine 2007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6 No.2

        목적: 전투 경찰에게서 과도한 신체 활동 후 발생한 횡문근 융해증의 임상 양상 및 치료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6월 1 일부터 2005년 5월 23일까지 운동이나 훈련 후 발생한 근육통 및 근육종창을 주소로 본원을 방문한 전투 경찰 중에서 횡문근 융해증이 의심되어 입원한 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혈액검사(CPK, CK-MB, AST BUN/Cr, Electrolyte) 및 임상 경과를 관찰하였다. 이 들은 모두 남자였고, 평균 연령은 20세 ($19\sim21$세) 였다. 발병 원인으로는 팔굽혀펴기 후 발생한 것이 7례, 축구 경기 후 발생한 것이 5례, 시위 진압 후 발생한 것이 1례였다. 이 학적 소견상 다양한 신체 부위에 종창 및 압통을 호소하였는데 전완부에 발생한 경우가 4례, 상완부가 3례, 견갑부가 1례, 하지가 5례였다. 횡문근 융해증의 진단기준은 내원 당시 임상증상과 함께 혈중 CPK가 1,000 IU/L이상인 경우로 하였고 약물 복용력이나 내과적 질환이 있는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99mTc-MDP 20mCi를 정맥주사 후 4시간에 bone scan을 시행하였다. 치료는 침상 안정가료 및 수액요법을 시행하였고 동통을 심하게 호소하는 환자에게는 부목고정을 실시 하였다. 결과: 전체 입원환자 13명의 평균 재원 기간은 20일 (14일$\sim$42일)이었고 내원 당시 급성신부전을 보인 1례를 제외하고는 수액 요법 및 휴식을 시행한지 평균 8일 (2일$\sim$11일) 후 혈액학적으로 CPK가 1000이 하로 감소되었으며 임상적으로도 뚜렷한 회복을 보였다. 급성신부전을 보인 1례에서는 혈액투석 및 수액요법을 시행 한 후 회복되었다. 결론: 심한 운동이나 훈련 후 부종 및 근육통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운동 유발 횡문근 융해증을 의심하여 조기에 혈액검사 및 수액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 clinical findings & management of rhabdomyolysis after strenuous activities in military police recruit.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June $1^{st}$, 2004 and May $23^{nd}$, 2005. The study subjects were 13 military police recruit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our hospital with intractable muscle pain and swelling, and had suspicions of Rhabdomyolysis. The patients were given various blood tests (CPK, CK-MB, AST, BUN/Cr, and Electrolyte) and clinically observed. The patients were all males, and their average age was 20 $(19\sim21)$ years. Seven cases were due to push-up exercises, 5 was due to a soccer game, and 1 was due to riot control activities. The patients complained of swelling and tenderness in various parts of the extremities. Four complained of swelling and tenderness in forearm, 3 in upper arm, 1 in shoulder, and 5 in lower extremity. The diagnosis of rhabdomyolysis was made if the patient complained clinical symptom and had a blood CPK level of above 1,000 IU/L at the time of admission. Patients who took medication or had medical problem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Bone scans were taken of all patients 4 hours after giving 99mTc-MDP 20mCi intravenously. Treatment was bed rest and fluid therapy. Patients who complained of excessive pain were given splint immobilization. Results: The average hospitalization day for the 13 patients was 20 days ($14\sim42$ days). Excluding one patient who exhibited ARF at time of admission, all patients showed a decrease of blood CPK below 1000 IU/L at an average hospitalization time of 8 days ($2\sim11$ days). The patient with ARF recovered after hemodialysis and fluid therapy. Conclusion: Patients complaining of swelling and severe muscle pain after excessive exercise or training should be suspicious of exercise induced rhabdomyolysis, and should be given blood tests and fluid therapy immediately.

      • KCI등재

        거골의 골연골 병변에 대한 자가 골연골 이식술의 결과

        안영준,한성호,양보규,이승림,유재호,정선욱,빈성우,주민홍,김성완,Ahn, Young-Joon,Hahn, Sung-Ho,Yang, Bo-Kyu,Yi, Seung-Rim,Yoo, Jae-Ho,Chung, Shun-Wook,Bin, Sung-Woo,Zoo, Min-Hong,Kim, Seong-Wa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6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0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results of the autologous osteochondral grafting for the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1 patient who had been treated with the open autologous osteochondral grafting between December, 1999 and December 2003. We treated the patients with autologous osteochondral grafting method who had the lesion of stage II or medial lesion of stage III without improvement for at least 6 months, the medial lesion of stage IV, the lateral lesion of stage III, IV by Berndt and Harty's classification or who had not improved with previous operation. The average duration of follow up was 26 (12-56) months. 6 patients had been treated with the previous operation that 3 patients with drilling, 3 patients excision, curettage and drilling. Results: The average AOFAS Ankle/Hindfoot score was 92.7 points and no patient had a limitation of the daily activities due to pain or abnormal function. Postoperative radiography showed good joint congruency and postoperative MRI good incorporation of the graft. The average Lysholm knee score was 96 points and only two patients had mild knee pain during severe exertion. Conclusion: The autologous osteochondral grafting is the useful operative method when the lesion is advanced stage or when previous operative treatment has failed.

      • KCI등재

        젊은 성인 무지 외반증 환자에서 원위부 갈매기형 절골술의 결과

        안영준,한성호,양보규,이승림,유재호,정병준,길경민,Ahn, Young-Joon,Hahn, Sung-Ho,Yang, Bo-Kyu,Yi, Seung-Rim,Yoo, Jae-Ho,Chung, Byung-June,Kil, Kyung-Mi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5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9 No.2

        Purpose: To analyze the risk factors and the treatment results of the distal chevron osteotomy for the hallux valgus in young adult. Materials and Methods: Eleven cases of hallux valgus in 9 patients who underwent the distal chevron osteotomy between February 2000 and January 2004 were included for the study. For the clinical evaluation, we used hallux-metatarsophalangeal interphalangeal scale of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For radiological evaluation, we measured hallux valgus angle (HVA) and intermetatarsal angle (IMA). Results: Five patients had family history of hallux valgus. Symptoms were aggravated by military drill and sports activity. The average AOFAS scale was 62.5 preoperatively, and 88.4 at final follow-up. The HVA and IMA were $34.9^{\circ}$, and $15.8^{\circ}$ preoperatively, $16.3^{\circ}$ and $8.2^{\circ}$ at postoperative 6 weeks, and $19.9^{\circ}$ and $9.8^{\circ}$ at final follow-up. Conclusion: The symptoms of hallux valgus in young adults were aggravated by military drill and sports activity. Distal chevron osteotomy wa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the moderate to severe hallux valgus in young patients.

      • SCOPUSKCI등재

        Mycolasma pneumoniae 감염에 의한 뇌경색증 1례

        안영준,최기철,양은석,박영봉,박상기,문경래,김영숙,Ahn, Young Joon,Choi, Ki Cheol,Yang, Eun Seok,Park, Yeong-Bong,Park, Sang-Gi,Moon, Kyung Rye,Kim, Young Sook 대한소아감염학회 1998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5 No.2

        Mycoplasma pneumoniae infection is usually confined to the respiratory tract but it can cause a variety of extrapulmonary manifestations such as rashes, myalgia, hemolytic anemia, cerebral infarction, transverse myelitis, cerebellar ataxia, Guillain-Barre syndrome and meningoencephalitis. Neurologic complications of Mycoplasma pneumonia have been rarely reported until now. Cerebral infarction as a complication of mycoplasma infection in children has been very rarely reported. In our case, in a young girl with M. pneumoniae infection, a cerebral infarct resulted in persistent and significant neurological dysfunction. We report a 11-year-old girl with cerebral infarction associated with clinical and serologic evidence of Mycoplasma infection.

      • KCI등재

        표층 내측 측부 인대 및 후방 사인대의 대퇴 부착부 위치 결정을 위한 주변 구조물을 이용한 측정 방법

        안영준(Young Joon Ahn),임세혁(Se Hyuk Im),양보규(Bo Kyu Yang),이승림(Seung Rim Yi),이예현(Ye Hyun Lee),권지은(Jieun Kwon),김해민(Hae Min Kim),이민호(Min Ho Lee),박상현(Sang Hyun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3

        목적: 슬관절 내측 재건술 시 중요한 해부학적 위치 결정을 위해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대 내전근 건과 내측 비복근 건 부착단에서 표층 내측 측부 인대와 후방 사인대 대퇴 부착부 사이 거리를 측정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200예의 슬관절 자기공명영상 검사에 대해 후향적 계측을 시행하였다. 시상면에 표층 내측 측부 인대 및 후방 사인대 대퇴 부착부 경계를 표시 후 크기를 측정하였다. 대 내전근 건과 내측 비복근 건 부착단을 확인 후 각각 두 인대의 대퇴 부착부 중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결과: 부착부 평균 크기는 표층 내측 측부 인대 수직 13.5±1.7 mm, 수평 10.9±0.3 mm, 후방 사인대 수직 9.4±1.3 mm, 수평 6.1±0.5 mm였다. 대 내전근 건과 내측 비복근 건에서 표층 내측 측부 부착부의 중심까지의 직선거리는 각각 17.1±3.8 mm, 15.9±3.2 mm였고 후방 사인대 부착부의 중심까지의 직선거리는 각각 11.9±2.9 mm, 8.2±2.7 mm로 측정되었다. 결론: 슬관절 내측 구조물 재건 시 골 구조물을 촉지하기 힘들 때 대 내전근 건과 내측 비복근 건의 부착단을 확인하고 이들을 기준으로 표층 내측 측부 인대와 후방 사인대의 대퇴 부착부 위치를 정하고자 할 때 본 연구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Anatomical medial knee reconstruction is crucial to the recovery of the knee joint. Our purpose is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femoral insertion of the superficial medial collateral ligament (sMCL) and posterior oblique ligament (POL) from the attachment site of the adductor magnus and medial gastrocnemius tendon with MRI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00 knee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sults were retrospectively measured. The boundary of femoral insertion of sMCL and POL was marked and measured on the sagittal image. The attachment site of the adductor magnus tendon and medial gastrocnemius tendon was identified. The lineal, anterior-posterior and proximal-distal distances were measured from the attachment site to the center of the femoral insertion of sMCL and POL. Results: The average size of sMCL and POL was as follows—sMCL: length of 13.5±1.7 mm, width of 10.9±0.3 mm and POL: length of 9.4±1.3 mm, width of 6.1±0.5 mm. The lineal distances from the insertion of the adductor magnus tendon and medial gastrocnemius tendon to the center of the sMCL and POL were measured—distances to the sMCL: 17.1±3.8 mm, 15.9±3.2 mm; distances to the POL: 11.9±2.9 mm, 8.2±2.7 mm. Conclusion: This study will help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femoral attachment site of sMCL and POL by identifying the attachment section of the adductor magnus tendon and medial gastrocnemius tendon. Moreover, this study will guide the reconstruction of sMCL and POL when palpation of the bony structures become difficult.

      • KCI등재후보

        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관혈적 수핵 제거술에 따른 재발률과 생존율

        양보규(Bo Kyu Yang),하정현(Jeong Hyun Ha),한성호(Sung Ho Hahn),이승림(Seung Rim Yi),정선욱(Shun Wook Chung),안영준(Young Joon Ahn),김민석(Min Seok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6

        목적: 요추 추간판 탈출중의 관혈적 수핵 제거술에 따른 진성 재발률(true recurrence rate)을 추정하고, 추시 가능한 증례만을 포함하는 기존의 단순 재발률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척추 전방 전위증, 척추 분리증, 척추관 협착증 등의 척추 기타 병변이 동반되지 아니하고, 단일 병소에만 발생한 요추 추간판 탈출증에 대하여 관혈적 수핵 제거술을 시행 받은 30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과 방사선학적 결과 및 전화 조사를 병행하여 후향적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전례에서 추간판 탈출증의 진단은 MRI를 통하여 확진하였다. 재발의 판정은 증상의 재발 및 MRI의 확진이 동반된 경우로 한정하였으며, 타 병원에서 같은 부위의 재발로 진단받고, 재수술 받은 경우도 포함하였다. 장기추시에 따른 증례 탈락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통계학적 생존분석 (survival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생존분석은 해당 증례의 모든 환자가 동시에 수술 받았다고 가정하고 최종 추시기간이 11년까지 포함하는 생명표(life table) 방법을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평균 5.9년(1-11년)의 장기 추시 중 18%의 추시 소실이 있었다.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252명(82%)의 경우, 남녀 비는 11.6:1로 남자가 많았으며, 평균 연령은 27.1세(17-75세)였고, 가장 많은 발생 부위는 요추 제 4-5번간(74%)이었다. 추시 가능한 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단순 재발률은 8.3% (21예)였으며, 이 중 요추 제 4-5번에서(16예; 76%)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추시 중 소실된 증례를 포함하는 생존 분석의 경우, 연간 재발률(annual recurrence rate)이 수술 첫해에 가장 높은 3.4%를 나타났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추시 9년에 누적 생존율(cumulative survival rate)은 88.9%로 나타났으며, 이후 최종 추시 11년까지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이에 따른 장기 추시 재발률은 11.1%로 추정되었다. 결론: 생존 분석을 이용하여, 장기 추시에 따른 증례 소실을 고려한 진성 재발률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수술 후 재발률은 추시 기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연간 재발률은 추시 기간의 증가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으나, 전체적인 진성 재발률은 추시 가능한 증례만을 이용한 단순 재발률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true recurrence rate of lumbar disc herniation after open discectomy, and to compare these results with those from other studi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2 to June 2002, the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al findings, including a telephone survey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This study examined 306 cases, who had been operated by an open discectomy on a single level and had no other spinal lesions such as spondy-lolisthesis, spondylolysis, or spinal stenosis. MRI was used to confirm the diagnosis of a lumbar disc herniation in all cases. The recurrence of lumbar disc herniation was diagnosed only in those cases who had the same pattern of symptoms and was confirmed by MRI. The cases who had undergone additional surgery at another hospital at the same spinal level were also included as recurrence. In order to make up for weak points such the losses to a long term follow-up, statistical surviv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 life table method. In the life table method, the assumption is that all patients undergo surgery simultaneously. The longest follow-up duration was 11 years. Results: In 252 of the 306 cases (82%), follow-up study was possible. The average duration of the follow-up was 5.9 years (from 1 to 11 years).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27.1 years (17 to 75), and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1.6:1. The most common lesion of lumbar disc herniation was L4-5 (74%) at the initial diagnosis. The simple recurrence rate was 8.3% (21 cases)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cases lost to follow-up were excluded. Survival analysis showed that, the annual recurrence rate was highest at the first year postoperatively as 3.4%, but decreased with time. At the last follow-up of 11 years,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was 88.9% and the recurrence rate was estimated to be 11.1 % at final stage. Conclusion: Using survival analysis, the true rate of a recurrence of lumbar disc herniation after an open discectomy calculated. Even though the annual recurrence rate decreased with time, the true recurrence rate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may be higher than the results obtained suggest.

      • KCI등재
      • KCI등재

        반건양건에 의한 발음성 슬관절

        양보규(Bo Kyu Yang),한성호(Sung Ho Hahn),이승림(Seung Rim Yi),안영준(Young Joon Ahn),유재호(Jae Ho Yoo),전도환(Do Whan Jeon),길경민(Kyung Min Kil)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1

        여러 원인에 의해 드물게 슬관절에 마찰음을 감지할 수 있는데 대부분 외측 반월상 연골판의 전위나 원판형 연골판을 가지고 있는 예에서 나타나며, 그 외 대퇴 이두건, 반건양건, 장경대, 슬와건 등에 의해서도 나타난다. 외상 경험이 있는 환자에서 슬관절의 내측부에 동통과 함께 반건양건에 의해 생기는 발음성 슬관절 환자를 경험하여 수술적 치료 후 좋은 결과를 얻어 문헌과 함께 보고하과 한다. Snapping syndrome has rarely been reported in the knee. A snapping knee mainly occurs in the case of a translation of the lateral meniscus or a lateral discoid meniscus. Other causes include biceps femoris tendon, semitendinosus iliotibial band, and popliteus tendon. We recently experienced a case of a snapping knee caused by the semitendinosus tendon passing over the medial tibial condyle as a result of trauma.

      • 통증이 있는 이분슬개골의 제한적인 외측 지대 유리술 치료

        이승림,한성호,양보규,정선욱,하정현,안영준,정병준,전도환,빈성우,Yi Seung Rim,Hahn Sung Ho,Yang Bo Kyu,Chung Shun Wook,Ha Jung Hyun,Ahn Young Joon,Chung Byung June,Jeon Do Hwan,Bin Sung Woo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3 No.1

        목적: 슬개골 상외측부 통증을 동반한 이분슬개골의 치료로 시행한 제한적 외측지대 유리술의 단기 추시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통증을 동반한 이분슬개골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 중 제한적인 외측지대 유리술을 시행받은 14명의 환자 1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는 전 예에서 남자였으며 평균 연령은 22.3세 (20$\~$44세)였고 방사선학적 검사상 이분슬개골은 Saupe 분류상 2형이 3예, 3형이 13예였다. 핵의학적 검사상 이분슬개골 부위에 동위원소 섭취증가의 소견을 보였다. 수술은 관혈적 방법을 이용하여 이분슬개골에 부착된 외측 광근건을 골막하에서 분리하였다. 임상적으로는 통증의 감소 여부와 활동정도, 방사선학적으로 이분슬개골편의 경사도(fragment tilting angle)와 이분슬개골편의 슬개골과의 간격 등을 술전과 후를 비교하여 평가하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14개월 (12$\~$16개월)이었다. 결과: 제한적 외측지대 유리술 후 이분슬개골 부위의 통증을 호소한 예는 없었으며 임상평가상 전예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방사선학적 평가상 이분슬개골편의 경사도와 이분슬개골편과 슬개골과의 간격은 술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감소의 소견을 보였다. 결론: 통증을 동반한 이분슬개골의 치료에 있어서 제한적인 외측지대 유리술은 보다 덜 침습적인 치료방법으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가져와 상기 질환의 치료로서 우수한 치료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s of limited vastus lateralis release for treatment of painful bipartite patella.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 1995 to Jun. 2002, we performed limited lateral retinacular release in 14 patients(16 cases) for treatment of painful bipartite patella. All patients were men and mean age was 22.3 years old. The opeative techique was that insertion of the vastus lateralis to the painful patellar fragment is detached subperiosteally. We evaluated the clinical results by degree of pain and level of activity. Also we analyzed the radiologic findings by measuring fragment tilting angle and gap between fragments.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14 months. Results: At final follow up, all of the patients showed pain relief and can be returned to more than recreational sports activity after the operation. On radiologic findings, fragment tilting angle and gap between fragments were reduced at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Conclusion: The limited lateral retinacular release for treatment of painful bipartite patella is one of good methods which is less invasive and shows good results in clinical and radiologic findings.

      • KCI등재

        봉와직염으로 오인된 슬개건내 결절성 통풍

        임세혁(Se-Hyuk Im),양보규(Bo-Kyu Yang),남석우(Seok-Woo Nam),정현석(Hyun-Seok Chung),이승림(Seung-Rim Yi),안영준(Young-Joon Ahn),김성완(Seong-Wan Kim),이예현(Ye-Hyun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4

        통풍은 관절의 급성 또는 만성 통증을 일으키는 흔한 원인 중의 하나로 요산 나트륨의 결정이 관절 주위 및 연부조직에 침착되어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단에 결정적인 요산 결절은 주로 족무지의 중족 족지 관절에서 시작되며 그 외에도 족근관절, 수근관절 등에도 침착 가능하다. 하지만 슬개건 내에 발생한 결절성 통풍에 대하여 국내에 보고된 경우는 없으며, 저자들은 봉와직염으로 생각하고 며칠 간 항생제 치료를 시행한 뒤 증상의 호전이 없던 환자에 대해 자기 공명 영상 검사 후 슬개건 내에 자리잡은 낭종성 병변을 절개를 통해 육안적으로 통풍 결절을 관찰, 병리검사에서 확진한 경우를 증례보고하고자 한다. Gout is characterized by recurrent attacks of arthralgia, and deposition of monosodium urate crystals in and around the joints of the extremities and soft tissues. Monosodium urate crystals are observed most frequently at the 1st metatarsophalangeal joint and usually presented in the ankle and wrist joint. However, no case of an intratendinous tophus in the patellar tendon has been reported in Korean literature. In this report, we found monosodium urate crystals in the patellar tendon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images and intratendinous tophus were visible to the naked eye by excision. We reported on the case of a patient who experienced an unusual intratendinous tophus in the patellar tend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