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대실태 분석을 통한 건설기계경비 산정시스템 개발

        안방률,태용호,서상욱,허영기,Ahn, Bang-Ryul,Tae, Yong-Ho,Suh, Sang-Wook,Huh, Young-Ki 한국건설관리학회 2012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3 No.6

        건설공사 예정가격을 산정하는데 사용되는 표준품셈의 기계경비산정시스템은 종합건설업자가 직접 장비를 보유하여 운영한 60년대초에 기계손료 및 운전경비를 근거로 산정토록 제정되어, 대부분의 건설기계가 시공업체의 직접운영 보다는 장비임대업체를 통하여 임대 형태로 현장에 투입되고 있는 현재의 건설산업 운영실태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현장에서 운용되고 있는 건설기계의 임대단가를 실적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용자 편익을 고려한 현실적인 건설기계경비 산정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건설기계 7기종 9규격(굴삭기 무한궤도($0.2m^3$), 굴삭기 타이어($1.0m^3$), 덤프트럭(15ton, 25ton), 진동롤러(자주식 4.4ton), 크레인 무한궤도(50ton, 300ton), 아스팔트피니셔(3m), 콘크리트펌프카($80m^3/hr$))을 선정하고 전국 217개 임대사업체 및 건축 토목현장 11곳을 대상으로 지역별 및 임대유형별 임대료를 현장방문 및 면담을 통해 조사 분석하였다. 임대기반 건설기계경비 산정시스템은 사용자가 건설기계의 종류, 규격 및 임대유형을 선택하여 해당 기계의 전체지역 평균 임대료 및 각 지역별 임대료를 편리하게 열람 할 수 있도록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건설공사 예정가격산정기준 및 관련 연구의 기초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current estimation system of construction equipment cost was first introduced in 1960's when general contractors had ownership of equipment. However, most of construction equipment in construction sites has been rented from equipment leasing company these days.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current cost estimation system is therefore inevitable in order to advanc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This study is aimed to suggest the improved system by analyzing nationwide market rental rates of major construction equipment. A user friendly prototype of actual database grounded on actual market rental rates collected from over 200 leasing companies in the nation was proposed. The database includes various rates and statistics analyzed by different form of contract as well as different region. Using the collected data, "The Cost Estimate System in Construction Equipment Database" was developed by using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s). The system makes users convenient to utilize the rental rates by choosing equipment and region, and various types of contract.

      • KCI등재

        건설기계 시간당작업량(Q) 산정 개선방안 -펌프준설선 작업효율(E)을 중심으로-

        안방률,태용호,서상욱,Ahn, Bang-Ryul,Tae, Yong-Ho,Suh, Sang-Wook 한국건설관리학회 2010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1 No.3

        국내 공공건설공사 예정가격작성기준에서 제시하는 건설기계의 시간당 작업량(Q)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작업효율(E)은 현장여건 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적용기준이 명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기준은 정성적인 표현이 사용되며, 이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 또한 포괄적이고 모호하여 설계자의 주관적이고 자의적인 판단에 따라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펌프준설선을 대상으로 국내 외 관련 문헌조사 및 현장실사를 통하여 합리적인 작업효율(E) 제시방법을 제안하고 이로 인해 건설기계의 시간당 작업량 산정방법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국내기준 또한 일본기준의 형태로 작업효율(E)을 공사구분별, 흙두께, 평면형상, 단면형상, 해상조건 등으로 세분화 시킬 것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도 객관화 시킬 수 있는 형태로 개선되어야 할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장조사를 통해 얻어진 산출량을 일본의 예정가격작성기준을 적용하여 계산된 산출량과 비교하여 일본기준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펌프준설선 (4,476kW)은 배송거리 3,600~6,000m의 시간당 준설량(Q)을 실측하여 표준값인 전동환산(q)을 비교하여, 일본대비 102.3% 수준으로 거의 유사한 결과값을 얻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각종 자료 및 수치들은 건설기계와 기술의 급속한 발전을 예정가격작성기준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가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관련 연구의 토대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Although work-efficiency of construction machinery is a critical factor for estimating its workable-quantity perunit time, the efficiency figure table presented in the Poom-Sam that is used for Construction Cost Estimation of public sectors in Korea is very subjective for practical usage. In order to suggest objective work-efficiency table for a Pump-Dredger, domestic and overseas documentary records were investigated and on-going construction sites were also visited. Moreover, actual work quantities collected from the site visits were compared with the ones calculated based on the Standard Measurement Methods used in Japan. The research found that the table can be revised by means of detailing down by several factors, namely project type, depth of soil, undersea-site shape, and condition on the sea for better estimation of its workable-quantity. The research will be the foundation for applying the rapid development of Construction Equipment and technology to the appropriate cost estimations and the ground work of related studies.

      • KCI등재

        건설공사 품질관리비 신출기준 개선방안

        김균태,안방률,박형근,김경주,Kim Kyoon-Tai,Ahn Bang-Ryul,Park Hyeong-Geun,Kim Kyong-Ju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3 No.3

        1997년 건설교통부는 건설기술관리법 개정을 통해 국내 품질관리체계를 정립하였다. 개정된 법제도하에서는 발주자가 건설공사비에 품질관리비용을 계상하여야 한다. 그러나 국내 법제도 및 관련규정들 간에 품질관리원의 역할 책임 등에 다소 차이가 있어 비용계상의 대상업무 범위가 불분명한 실정이며, 이로 인하여 규정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비용 계상에도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법에서 요구하고 있는 품질관리원의 역할을 해석하고, 이러한 해석을 바탕으로 품질관리비 산출기준(안)을 제시하였다. Korea government established a domestic quality management system under the Law for Construction Technology Management, which was revised in 1997. This Law prescribes that the owner has to assign quality management cost into the construction project budget However, there are some conflicts among internal regulations and prescriptions on the scope of quality management engineer's roles was not specific.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research identifies proper scope of quality management engineer's roles and suggests an approach for an improved estimating guideline for construction quality management cost.

      • KCI등재

        표준품셈의 기계경비 산정 현실화를 위한 자료 조사.분석 -불도우저와 로우더를 중심으로-

        허영기,김경아,안방률,태용호,박희성,김창완,Huh, Young-Ki,Kim, Kyung-A,Ahn, Bang-Ryul,Tae, Yong-Ho,Park, Hee-Sung,Kim, Chang-Wan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9 No.1

        건설공사 표준품셈 기계경비 부분은 1960년대 초 일본 및 미국의 자료를 근간으로 하여 제정된 이후, 극히 부분적으로만 제 개정되었을 뿐 그 동안의 건설기계와 공법의 발전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합리적인 기계경비 산출을 위해 불도우저와 로우더를 중심으로 국내 외 문헌조사, 건설현장 16개소 실사, 그리고 건설기계장비 임대업체 20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와 현행 표준품셈의 기계경비 산출에 적용되는 수치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관리비는 금리와 보험료를 고려하여 6종건설기계와 일반기계를 구분하여 현실적인 수치를 제시하였으며; 운전경비는 조수를 삭제하는 것이 현실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연료 및 잡재료는 현행수준이 적정하지만 장비가격은 상향조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각종 자료 및 수치들은 건설기계와 기술의 급속한 발전을 예정가격산정의 기준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가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관련 연구의 토대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Equipment Expenses section of the Poom-Saem that is used for Construction Cost Estimation of public sectors in Korea has been rarely revised, and so does not reflect changes of Construction Equipment technology and construction methods, since it was established based on data from Japan and the U.S in the early 1960s. In order to make reasonable estimation of equipment expenses for a bulldozer and a loader, the domestic and overseas documentary records were investigated. Further, 16 construction sites were visited, and 20 Construction Equipment leasing services were surveyed. The optimum level of each item which consists of equipment costs was reveal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figures of equipment costs calculation from the Poom-Saem and the collected data. The research will be the foundation for applying the rapid development of Construction Equipment and technology to the appropriate cost estimations and the ground work of related studies.

      • KCI등재

        방수공사 현장시공실태에 따른 공사비산정기준 개정요인에 관한 연구

        오재훈(Oh Jae Hoon),안방률(Ahn Bang Ryul)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10

        다양한 재료와 신기술의 개발로 방수공사 시공방법이 변화되고 현장에 적용되고 있으나, 공사비산정기준은 현장실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사비산정기준을 개정하기 위해 시방기준분석과 현장실태 조사를 통한 주요개정내용 및 결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현재 공사비산정기준에서 정하는 각 항목들을 분석하여 현장조사를 통한 실태와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조사 내용으로는 현장의 바탕면 품질수준 향상으로 바탕처리 난이도가 감소하였으며, 재료의 기능향상으로 시공시간 단축과 다양한 시공방 법이 적용되고 있었다. 또한, 두 가지 이상의 재료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복합방수공법의 적용이 늘어나고 있었으며, 시공장소, 부위에 따라 생산성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방수항목을 세분화하여 복합공법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재료별, 시공방법별 투입 품을 차별화 하였다. 시공부위에 따라 구분된 기준을 제시하며, 적용성이 떨어지는 항목은 삭제하여 시방기준에 적합하고 현장시공실태를 반영한 개정으로 공사비산정기준의 적정성이 확보되었다. 향후 시방기준과 현장의 실태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세부화된 공사비산정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major contents and results of revision through an analysis of the specifications and the field survey to revise the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criteria. The result of the survey found that the background processing difficulty was reduced due to an improvement of the quality level of the field floor, and the enhancement of the material"s function brought a decrease in construction time and the application of various construction methods.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combined waterproofing methods using more than one material was increasing and the productivity differed according to the site and lo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waterproof items were subdivided and applied to the composite construction method, and the input items we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material and construction method. The adequacy of the construction calculation criteria was ensured by presenting the criteria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area, and deleting the items that are not applicable and amending them to make them suitable for the specifications by reflecting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construction on the site.

      • 건설기계 시공능력 산정에 관한 연구 : 작업효율 중심으로

        박희성(Pakr Hee-Sung),한예령(Han Ye Lyeong),허영기(Huh Youngki),안방률(Ahn Bang Ryul)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8 No.1D

        건설기계는 건설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중요한 요인이다. 그리고 건설기계에 소요되는 비용이 건설공사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따라서 건설기계 비용의 산정은 건설계획 단계에서 중요한 업무이다. 이를 위해서 우리나라는 표준 품셈에 제시된 건설기계 시공능력 산정식을 이용하여 건설기계의 시간당 작업량을 계산하는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기계의 성능은 개선되고 있으나 시공능력 산정식에서 활용되고 있는 작업효율은 이를 반영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압식 백호, 로우더, 덤프트럭을 대상으로 현장실사를 통해 작업효율을 실측하였다. 그 결과 백호와 로우더는 현재 활용중인 작업효율보다 현장실사 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텀프트럭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건설기계의 작업효율 표준 산정식에 대한 정의가 수립되어야 하며,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조사를 거쳐 작업효율의 개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Heavy equipment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successful construction implementation. Also, the cost for heavy equipment is a major part of construction cost. Therefore, the estimation of equipment cost is a critical job in the construction planning phase. A formula for production rates shown in 'Standard Unit Labor' has been used to estimate construction equipment capability per hour and cost. Although the performance of equipment has been improved, the efficiency rates in the formula are not updated lately. Therefore, this research performed several site visits to measure construction equipment working time and then calculates the efficiency rates for hydraulic backhoe, loader, and dump truck. The results show that the measured efficiencies of backhoe and loader are higher than current ones and vice versa for dump truck. This research proposes the needs for a standardized calculation formula and systematic and long-term data collection and measurement for updating efficiency rates for heavy equipment.

      • 건설공사 품질관리비용 산출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김균태,안방률,박형근,이준복 대한건축학회 200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1 No.2

        Korea government established a domestic quality management system under the Law for Construction Technology Management, which was revised in 1997. This Law prescribes that the owner has to assign quality management cost into the construction project budget. However, there are some conflicts among internal regulations and prescriptions on the scope of quality management engineer's role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defines appropriate scope of quality management engineer's roles, and suggests an approach to an improved estimating guidelines for construction quality management co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