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립적 검사 방법으로서의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검사

        신희정,이수현,문우경 대한영상의학회 2021 대한영상의학회지 Vol.82 No.1

        Diffusion-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DW MRI) is a fast unenhanced technique that shows promise as a stand-alone modality for cancer screening and characterization. Currently, DW MRI may have lower sensitivity than that of dynamic contrast-enhanced MRI as a standalone modality for breast cancer detection but superior to that of mammography, which may provide a useful alternative for supplemental screening. Standardized acquisition and interpretation of DW MRI can improve the image quality and reduce the variability of the results. Furthermore, high-resolution DW MRI, with advanced techniques and postprocessing, will facilitate better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ubcentimeter cancers and reduce false-negatives and false-positives. Future results from ongoing prospective multicenter clinical trials using standardized and optimized protocols will facilitate the use of DW MRI as a stand-alone modality. 확산강조영상은 유방암의 진단과 스크리닝에 있어 독립적 검사 방법으로서의 기대되는 결과를 보여주는 빠른 비조영증강 검사 방법이다.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 유방암 진단에 있어 독립적 검사 방법으로서 확산강조영상의 민감도는 역동적 조영증강 검사보다는 낮으나 유방촬영술보다는 높으며, 이로써 유방암 스크리닝에 대한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확산강조영상의 표준화된 영상 획득과 판독을 통해 영상 화질이 개선될 수 있고, 판독 결과의 다양성도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최신 기법과 후처리 기법을 사용한 고해상도확산강조영상을 시행함으로써 1 cm 미만의 작은 암의 발견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가음성 및가양성 결과를 감소시킬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한국에서 진행 중인 고위험군 여성에서의 확산강조영상 스크리닝에 대한 다기관 연구 결과가 나온다면 독립적 검사로서의 확산강조영상의사용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의 일관성이 이익예측치의 정보성에 미치는 영향: 국내자본시장에 대한 실증분석

        신희정,나종길 이화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2016 신산업경영저널 Vol.34 No.2

        Hilary and Hsu(2013)(Hereafter, HH) report that analysts’ forecast informativeness is higher when the analysts’ forecast error is more consistent. This study examines that whether analysts’ forecast consistenc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forecast informativeness in Korean stock market(i.e., KSE). Using financial data and analysts’ earnings forecasts from 2001 to 2012, we find evidence that the higher analysts’ forecast consistency is, the more informative analysts’ earnings forecast is, similar to HH. Moreover, we show that the effect of analysts’ forecast consistency on the forecast informativeness is higher than that of analysts’ forecast accuracy. Our results indicate that since analysts’ forecast consistency can be a primary characteristic of analysts, future research on analysts forecast behavior need to expand previous literatures by considering analysts’ forecasts consistenc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practical field by suggesting investors take analysts’ forecast consistency into account in utilizing analysts’ earnings forecast for firm valuation. Hilary and Hsu(2013)는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의 일관성(consistency)이 높을수록 이익예측치의 정보성이 높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재무분석가 예측 일관성과 이익예측치의 정보성 사이에 나타나는 양(+)의 관계가 국내 자본시장에서도 유사하게 발견되는지 검증한다. 2001년부터 2012년까지 유가증권상장기업 중 비금융업 및 12월 결산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국내에서도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의 일관성은 이익예측치의 정보성과 양(+)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금까지 재무분석가 성과 변수로 여겨져 온 예측 정확성(accuracy)를 통제한 결과이며, 또한 예측 일관성이 이익예측 정보성에 미치는 영향은 예측 정확성이 이익예측 정보성에 미치는 영향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Hilary and Hsu(2013)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국내자본시장에서도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일관성이 재무분석가의 주요한 특성 변수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재무분석가의 예측 활동과 관련되는 연구에 있어서는 예측의 일관성 측면에서 기존 연구의 확장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익예측치를 활용한 투자의사결정 시 사전적으로 재무분석가의 예측 일관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시함으로써 실무적으로도 공헌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목표주가괴리율을 활용한 투자전략과 AFS기본변수의 정보성

        신희정,최수영 한국회계학회 2022 회계저널 Vol.31 No.6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FS (Aggregate Fundamental Score), a summary measure of accounting information on financial statements, is useful in identifying valuation errors implicit in stock price targets of financial analysts. AFS is measured as a single score by aggregating the information of key accounting items (i.e., returns on net operating assets, growth of net operating assets, changes in asset turnover or profit margins, etc.) which have predictive power on future earnings. Prior literature documents that AFS is superior in the ability to predict future returns over that of financial analysts. Nonetheless, in practice, investors tend to make an investment decision by using analysts’ forecasts information, not based on financial statement information, and to experience corporate valuation errors in various forms. This motivates the study to verify the usefulness of AFS even in a certain practical investment strategy.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AFS has a different information from future price expectation based on target stock prices. Specifically, when an investment strategy is implemented using information based on the gap between the target stock price and the current stock price as a practical situation, the forecast errors are examined in comparison to the strategy based on AFS. In addition, the analysis is conducted to see if investment performance can be improved when AFS’s informativeness is additionally considered to stock price targets-based investment strategy. That is, postulating that the high target stock price gap rate where stock price targets are overestimated but markets perceive a current stock to be under-valued contains noise that distorts corporate value, the study examines whether such valuation error can be captured by AFS information. However, whether the AFS and the target stock price gap rate has differential information about the future stock price and returns is an empirical question. Thus, this study established a null hypothesis that the performance of the investment strategy based on the target stock price gap rate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the investment strategy that additionally considers AFS information. To test the hypothesis, this study conducts regression analysis as well as portfolio test using 3,053 firm-year observations listed on the securities market (i.e., KSE) from 2005 to 2019. The results show that the target stock price gap rate and AFS have differential information a certain degree about the future return. The portfolio analysis reveals that the higher (lower) the level of AFS within the same group is, the higher (lower) the excess returns are. And, the result of hedging the portfolio with conflicting information of AFS shows the positive (+) excess returns. Furthermore, the results of investment using portfolios that match the direction (increase/decrease) of future returns implied by both AFS and target stock price gap show a positive (+) excess returns as well.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nd are maintained even in the case of analyzing excess returns after 3 or 5 years in long term perspective. And, those findings hold even after the endogeneity problem or cross-sectional and time-series correlations of data that could lead to distortion of estimates are controlled. This means that AFS has a different information from future price expectation based on target stock prices and the investment performance can be improved when AFS’s informativeness is additionally considered. In other words, AFS can help identify ex-ante valuation errors inherent in the target stock price, and that if used in practical investment strategies, it can achieve higher investment performance by providing supplementary information in predicting future returns. This study has several contributions by showing that the usefulness of the AFS variable, which has been dealt with from an academi... 본 연구는 재무분석가의 목표주가 예측치에 내재되어 있는 기업가치평가오류를 식별하는 수단으로서 회계정보의 요약치인 AFS의유용성을 검증한다. AFS는 미래이익을 예측하는 핵심적인 회계항목들의 정보성을 종합하여 단일변수화한 것으로서 미래수익률을 예측하는 능력에 있어서 재무분석가 예측치보다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실무적 투자의사결정에 있어서 시장은 회계정보에근거하기 보다는 재무분석가의 예측치정보를 활용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나며 여러 가지 형태로 기업가치평가오류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무적 상황으로서 재무분석가 목표주가와 현재주가의 괴리율(이하, 목표주가괴리율)에 근거하여 투자전략을 실행하는경우 AFS 회계정보가 미래수익률 예측에 있어서 목표주가와 차별적인 정보성을 지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AFS의 정보성을추가적으로 고려하는 경우 투자성과가 향상될 수 있는지 실증분석한다. 이는 특히 목표주가가 과대추정되어 나타나는 높은 목표주가괴리율이 기업가치를 왜곡하는 잡음(noise)을 내포하는 경우 AFS 정보성을 이용하여 이를 가려낼 수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9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연도 3,053개를 대상으로 포트폴리오 분석 및 회귀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목표주가괴리율과 AFS는 각각 미래수익률에 대해서 서로 차별적인 정보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트폴리오 분석 결과, 목표주가괴리율이 동일한 그룹 내에서 AFS의 수준이 높을수록(낮을수록) 상대적으로 더 높은(낮은) 매입보유초과수익률이 나타났으며, AFS의정보성이 상반되는 포트폴리오를 헷지(hedge)한 결과 양(+)의 초과수익률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가치평가에 있어서 AFS와목표주가괴리율이 함의하는 미래수익률에 대한 방향성(증가/감소)이 일치하는 포트폴리오들을 이용하여 헷지(hedge)한 결과에서도 양(+)의 초과수익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회귀분석 결과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났으며, 장기적 관점에서 3년 또는5년 후의 매입보유초과수익률을 분석하거나 추정치의 왜곡을 가져올 수 있는 내생성(endogeneity) 문제나 데이터의 횡단면 및 시계열적상관관계를 통제한 경우에도 유지되었다. 이는 AFS가 사전적으로 목표주가에 내재된 기업가치평가오류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있으며 실무적 투자전략에 활용한다면 미래수익률 예측에 보충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높은 투자성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시사한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재무제표 상 회계정보의 기능을 통해 자본시장의 정보효율성을 높이고 시장의 합리적인 자원배분활동이 가능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아울러 지금까지 학술적 관점에서만 다루어져 왔던 AFS의 실무적 유용성을 제시함으로써자본시장에서 회계정보의 가치를 제고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자동유방초음파

        신희정,김학희,차주희 대한초음파의학회 2011 ULTRASONOGRAPHY Vol.30 No.3

        Breast US is currently considered to be a first-line examination with a role for both the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reast lesions, and breast US has helped significantly improve breast cancer detection compared with mammography alone. However, the issue of the operator dependence of hand-held ultrasound (HHUS) is a major concern when considering the wide-spread use of whole-breast US. Automated breast ultrasound (ABUS) has several advantages over HHUS: it is more reproducible, it has 3D capability through multiplanar reconstruction, it allows delayed interpretation and it offers the potential for complete documentation. In addition, several studies have shown similar results for the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esions as compared with that of HHUS. Thus, ABUS will serve as a supplemental tool to mammographic screening and especially for women with dense breast tissue. This review provides a summary of the current state of ABUS and it describes the method of ABUS and the potential clinical applications for breast imaging. 최근 유방암 발생률이 증가하였고, 유방 검사에 대한 인식이증가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와 같이 치밀유방조직을 가진 여성이 많은 경우 유방초음파 검사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수동 유방초음파 검사는 검사자에 대한 의존도가높고, 재현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위양성률이 높다는 단점이있었으나 이에 비하여 자동초음파 검사는 검사자에 대한 의존도가 낮고, 재현성이 높고, 검사 전체를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수동초음파검사와 비슷한 정도의 병변 발견률과 특성화를 보인다는 연구들이 있어 앞으로치밀유방조직을 가진 여성에서 선별검사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본 종설은 유방의 자동초음파영상에 대한 연구를 기술하였고, 자동초음파 검사의 기본적인 검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임상연구 결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 KCI등재

        북한이탈여성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탐색적 연구: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신희정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7 다문화사회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urther understanding of experiences and needs of North Korean Female Defector and service provider. The Qualitative research were conducted with 6 North Korean Female Defector and 3 service provider in Chung Nam. As a result, 2 theme clusters, 8 themes were identified for the experiences in North Korean F emale Defec tor. A t heme c lusters, ‘North K orean Female Defector’s needs of mental health’ were consisted of 4 themes. Themes were ‘A pain t hat does n ot d isappear’, ‘Powerlessness a nd v igilanc e stemming from noth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Negative perception of mental health’. And the other theme clusters,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experiences about mental health’ were consisted of 4 themes. too. Themes were ‘My emotional expression and acceptance experience’, ‘LifeLinked Services Experience’, ‘Experience with services related to their child’, and ‘Healing experience’.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service for improving life of North Korean Female Defector. 본 연구는 충청남도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여성 및 관련 서비스 제공자에게 그들의 정신건강의 경험과 그에 따른 서비스 요구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에거주하는 북한이탈여성 6명과 서비스 제공자 3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북한이탈여성의 경험은 2개의 주제와 8개의 부주제로 구조화되었다. ‘북한이탈여성의 정신건강 관련 욕구’라는 주제는 ‘사라지지 않는 아픔’, ‘무(無)에서 시작되는 무력감과 경계심’, ‘편견과 차별 경험’, ‘정신건강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등의 부주제로 구성되었고, ‘북한이탈여성의 정신건강 관련 경험’이라는 주제는 ‘나의 감정표출과 수용경험’, ‘삶에 밀착된 서비스 연계 경험’, ‘자녀와 관련된 서비스 경험’, ‘힐링 경험’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북한이탈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유용한 서비스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치밀유방조직을 가진 한국여성에서의 유방암 검진

        신희정,고은숙,이안 대한영상의학회 2015 대한영상의학회지 Vol.73 No.5

        Asian women, including Korean, have a relatively higher incidence of dense breast tissue, compared with western women. Dense breast tissue has a lower sensitivity for the detection of breast cancer and a higher relative risk for breast cancer, compared with fatty breast tissue. Thus, there were limitations in the mammographic screening for women with dense breast tissue, and many studies for the supplemental screening methods. This review included appropriate screening methods for Korean women with dense breasts. We also reviewed the application and limitation of supplemental screening methods, including breast ultrasound, digital breast tomosynthesis, and breast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furthermore investigated the guidelines, as well as the study results. 서양여성과 비교하여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여성은 상대적으로 치밀유방조직을 갖는 경우가 많다. 치밀유방인 경우 유방암 발견에 있어 유방촬영술의 민감도가 떨어지며, 지방형 유방에 비하여 유방암의 상대위험도가 증가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치밀유방인 여성에서 유방촬영술만으로 검진을 시행하는 것에 제한이 있으며, 추가로 시행 가능한 검진 방법에 대한 연구들이 있었다. 이 종설에서는 치밀유방을 갖는 한국여성에 적합한 검진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추가 검진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유방초음파 검사, 디지털 단층촬영술, 자기공명영상검사에 대한 적용과 제한점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대한 연구 결과와 가이드라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초기불교에 나타난 ‘붓다 대화법’의 사례와 특징 - 문답법을 중심으로 -

        신희정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6

        본 연구는 붓다의 가르침 측면을 중심 논의로 삼았다. 붓다는 인류의 으뜸이 되는 대화교육을 이끈 교육자이다. 연구자는 교육자로서 붓다를 ‘붓다 대화법’으로 더욱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붓다 대화법이란 스스로 깨달음에 이른 스승 붓다가 자신과 동일한 깨달음이 제자들에게도 실현될 수 있도록 각각의 능력과 상황에 맞는 가르침을 펼친 붓다의 마음 그 자체이다. 붓다 대화법은 단순한 대화 기술이 아닌 실천적 대화이다. 법은 현대의 통념상의 뜻인 ‘방법’으로 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붓다 대화법은 내용과 방법의 일치를 핵심 원리로 한다. 이러한 특징은 외도 수행자와의 문답 과정을 통해 보다 잘 드러난다. 문답을 실천하는 붓다는 가르치고 이해시키고 신념을 갖게 만들고, 궁극에 가서는 실천하게 하는 선생이었다. 붓다 대화법은 모든 사람들에게 이성적으로 대화에 참여하는 자세를 가르쳐 준다. 붓다 대화법에서 문답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붓다는 상대방의 어떠한 주장에도 논리적 전제가 있음을 밝힌다. 둘째, 문답 과정에서 붓다는 상대방이 잘못된 견해를 가지고 있음을 스스로 깨칠 수 있도록 질문을 사용한다. 셋째, 문답 과정에서 겉으로 나타나는 붓다의 깨달음은 가르치고자 하는 자의 귀감이 된다.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teaching aspects of Buddha. The Buddha is an educator who has led the conversation education that is the best of humanity. I made the appearance of Buddha as an educator even more by using ‘Buddha’s Dialogue’. Buddha’s Dialogue is Buddha’s mind itself. As Buddha attained full enlightenment, he gave his disciples lessons considering each one’s capability and circumstances so that they can also reach perfect enlightenment. Buddha’s Dialogue is not simple technical skill but practical dialogue. Dhamma(法) don’t just mean methods that is a modern conception of the ideas. It is not good to divide Buddha’s Dialogue into its contents and methods or contents and forms. These characteristics are revealed better through the process of dialogue with the person who be taught by other masters. Buddha practiced the question and answer. Through this, Buddha was a teacher who taught, made to understand, made to have faith, and ultimately to practice. Buddha’s Dialogue teaches everyone a rational attitude to engage in conversation. The question and answer method features : First, Buddha reveals that any argument made by the other party has a logical premise. Second, in the question and answer process, Buddha uses questions so that he or she can realize that the other person has the wrong opinion. Third, the enlightenment of Buddha in the question and answer process becomes an example of those who want to teach.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윤리교과서에 나타난 불교 서술체재 및 내용 분석

        신희정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9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3

        This study discusses two points of view about the Buddhist narrative in eleven kinds of high school ethics textbook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irst, I sought to explore how the contents related to Buddhism were described in high school ethics textbooks. Second, I critically analyzed the contents of Buddhism and Buddhist ethics described by textbook writers. Two analytical criteria were used in this work. One is whether Buddhism is ultimately understood by students. The other is whether Buddhist ethics is helpful to wisely solve the problematic situations that students are facing. At this time, Buddhist ethics should be described without error so as to conform to the nature and purpose of ethical subject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rrors of Buddhist contents through this analysis, suggesting a Buddhist narrative that conforms to ethics education helpful to students' life.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윤리교과서 11종에 나타난 불교 관련 서술을 중심으로 두 가지 사항에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첫째는 고등학교 윤리교과서에서 불교는 어떤 내용을 어떤 방식으로 서술되고 있는가를 탐구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둘째는 교과서 집필진들이 서술한 불교와 불교윤리와 관련된 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이다. 분석 기준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불교가 학생들에게 궁극적으로 이해되는가이다. 다른 하나는 불교윤리가 학생들이 겪고 있는 문제 상황을 지혜롭게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가이다. 이때 불교윤리는 윤리과 교육의 성격과 목적에 맞게 오류 없이 서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분석 과정을 통해서 불교 관련 내용오류를 점검하고, 학생들의 삶에 도움이 되는 윤리과 교육에 부합하는 불교 서술 안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