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인공관절 치환물 주위 골절의 위험인자

        신주용 ( Ju Young Shin ),김형준 ( Hyung Jun Kim ),차승한 ( Seung Han Cha ),김동헌 ( Dong Heon Kim ) 대한골절학회 2012 대한골절학회지 Vol.25 No.1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인공관절 치환물 주위 골절의 발생률과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부터 2006년까지 퇴행성 슬관절염으로 슬관절 전치환술 시행 후 36개월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596명 951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인공관절 치환물 주위 골절이 발생한 군을 I군, 대조군을 II군으로 나누어 술 전, 술 중, 술 후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슬관절 전치환술 후 인공관절 치환물 주위 골절의 발생률은 2.25%이었고 남자 3예 (14.28%), 여자 18예 (85.72%)였다. 술 전 인자는 고령 (p<0.01, odd ratio=1.14), 골다공증 (p=0.01, odd ratio=4.74), 재치환술 (p=0.01, odd ratio=7.46), 뇌혈관질환(p=0.02,odd ratio=8.55), 알코올 중독 (p=0.03,odd ratio=44.54)이, 술 중 인자는 대퇴 전방절흔 (p<0.01, odd ratio=11.74)이, 술 후 인자는 중노동 (p<0.01, odd ratio=8.14)이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 대퇴골 원위부 인공관절 치환물 주위 골절의 위험인자로 고령, 골다공증, 재치환술, 실족과 낙상에 영향을 주는 동반질환과 대퇴전방절흔, 술 후 중노동의 지속으로 나타났다. Purpose: To evaluate the incidence rate and risk factors for periprosthetic fracture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TKR). Materials and Methods: We carried out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of 596 patients (951 knees) who underwent TKR between 1999 and 2006 and who were followed up over 36 months. We classified patients into group I (study group) and group II (control group). We subdivided risk factors as pre-operative,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factors. Age, osteoporosis, revision arthroplasty, CVA, and alcohol dependence were categorized as pre-operative factors; anterior femoral notching and prosthetic types (mobile, fixed, and load-bearing) were considered intra-operative factors; and post-operative activity level was classified as a post-operative factor. We obtained information from the patients` charts, X-ray film, and telephone interviews. Results: The overall incidence rate was 2.25%; 3 patients were male, and 18 were female (14.28% and 85.72%, respectively). Old age (p<0.01, odds ratio=1.14), osteoporosis (p=0.01, odds ratio=4.74), revision arthroplasty (p=0.01, odds ratio=7.46), CVA (p=0.02, odds ratio=8.55), and alcohol dependence (p=0.03, odds ratio=44.54)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pre-operative factors. Among the intra-operative factors, anterior femoral notching (p<0.01, odds ratio=11.74) was significant, and continued heavy labor (p<0.01, odds ratio=8.14) was significant among the post-operative factors.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old age, osteoporosis, revision arthroplasty, comorbidity related with falling down, anterior femoral notching, and continued heavy labor were associated with periprosthetic fracture after TKR.

      • MEMS 가속도 센서를 사용한 지진 관측망 운영 사례

        신주용(Shin Ju Yong),황의홍(Hwang Eui Hong),이장수(Lee Jang Soo),권영우(Kwon Young-Woo)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6

        CrowdQuake는 MEMS 가속도 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지진 관측망으로, 약 1년 동안 운영되며 지진을 관측하였다. 시스템에 사용 중인 2300여 개 가속도 센서에서 5일간 매일 자정 한 시간 데이터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약 1.5%에 해당하는 34개의 센서를 제외한 거의 모든 센서가 정상 동작함을 파악하였다. 실제 지진을 분석한 결과로는 2월 15일군산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은 실제 진앙과 근사한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4월 19일 흑산도 인근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은 현재 시스템이 진앙을 추정하는 방식의 문제로 인해 진앙지 결정이 어렵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로 가속도 센서를 활용한 시스템에서 정확한 진앙지 추정을 할 수 있는 알고리즘에 대해 연구하고 적용하여 CrowdQuake의 지진 감지 성능을 향상하고자 한다.

      • 전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김동헌,김영훈,신주용 건국대학교 의과학연구소 1994 건국의과학학술지 Vol.4 No.-

        Features of the forearm bone are common and results from severe trauma, accompained with many associated injuris. Authors analysed 49cases who had received operative treatment at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from Feb. 1989 to Feb.1994. The most common cause of injury was a traffic accident and average age was 29.6 years,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28 to 16cases. We treated these fractures surgically in most cases and obtained satisfactory result. Injured patients were admitted and treated b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using plates(36cases) and IM nailing(8 cases) The average time of bone union in the closed fracture was 15.8 weeks in the radius. The complications were delayed union in 10 cases non-union in 2 cases and nerve injury in 9 cases. We caused obtain good results by accurate understanding to the fracture complexity before operation.

      • 도시의 불규칙적 확장을 통해서 본 신도시 개발에 관한 연구 : 렘쿨하스의 Urban Sprawl과 목동, 일산시, 연수구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Focused on the Rem Koolhaas' theory of Urban Sprawl and the Case Study of Mokdong, Ilsan City and Yeonsu District

        신주용,구영민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o review the particular phenomena in the new cities developed during last decades through Rem Koolhaas' theory in the Urban Sprawl. The study thus attempts to analyze the urban sprawl through newly developed cities, to investigate new urban policy occurred in Korea, and to examine any social and cultural changes and the fundamental causes of such changes. To support this study, three examples such as Mokdong, Ilsan-gu and Yeonsu-gu are argued based on their peculiarities. Problems, and future directions.

      • 고령의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 골절시 대퇴거 대치형 주대를 이용한 양극성 고관절 반치환술

        고덕환,김규현,신주용,임신우,김동현 대한골절학회 2003 대한골절학회지 Vol.16 No.1

        목 적 : 고령의 대퇴골 전자간 불안정성 분쇄골절시 대퇴거 대치형 주대를 사용하여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후 수술 시간, 보행 시기, 및 그 기능적 결과와 합병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 8월부터 2001년 1월까지 본원에서 대퇴 전자간 불안정성 분쇄골절로 수술받은 75세 이상 환자중 대퇴거 대치형 주대를 이용한 양극성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받은 후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환자 2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 수술 시간은 평균 45분이었고, 임상적 결과 분석에서 Harris Hip Score는 평균 84.7점이었다. 사각보행의 시기는 평균 8일이었으며, 전체중 부하는 평균 6.9주였다. 합병증으로 수술부위 감염 2례, 고도의 대퇴부 동통 1례 및 탈구 1례가 발생하였다. 결 론 : 고령의 환자에서 발생한 대퇴 전자간 불안정성 분쇄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대퇴거 대치형 주대를 이용한 양극성 고관절 반치환술은 비교적 조기 체중부하와 기능적 회복이 가능하고 낮은 합병증으로 좋은 치료법의 하나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operating time, timing of ambulation, functional results and complications using the calcar replacement stem for the severely comminuted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in the eldertl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 From August 1991 through January 2001, 20 elderly patients over the 75 year old patients had undergone bipolar hemiarthroplasty with calcar replacement stem for the treatment of unstable intertrichanteric fractures. Results : The mean operating time was 45 minutes and mean Harris Hip Score was 84.7. Ambulation with walker was started at post-operative 8 days and full weight bearing was 6.9 weeks, each. Complications were 2 cases of wound infection, 1 case of severe thigh pain and 1 case of dislocation. Conclusion : Early ambulation, functional restoration and decrease of the complications with bipolar hemiarthroplasty using calcar replacement stem for severely comminuted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in elderly patients, therefore this methods seems to be one of the effective treat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