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국의 역사와 식민지 경험을 기억하는 영국의 성찰 -제국사를 대하는 영국 학계의 동향 분석-

        신동경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3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84

        21세기에 영국 제국주의 담론을 고찰하면서 주목해야 할 사실 중 하나는 영연방(the Commonwealth)의 존재일 것이다. 영연방은 과거 영 제국 식민지가 해방 이후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현재 56개 독립 국가의 연합체로, 영 제국이 해체되고 영연방으로 전환한 독특한 역사를 보여왔다. 영 제국의 역사와 식민지의 경험이 지금까지 지구상의 많은 부분에서 공유되고 있다는 사실에서 역사적 연속성(historical continuity)의 힘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제국주의, 식민주의, 탈식민화, 후기식민주의 등은 여전히 현대 사회를 이해하는 중요한 키워드이고 영국 및 영연방 그리고 세계를 이해하는 데 주요 담론이다. 하지만, 결국 자국 중심주의를 위해 브렉시트를 단행한 영국이 전 세계 해외 영토로 진출하던 제국의 세계관으로 회귀할 수 있을지 영 제국사를 연구하는 역사가로서 필자는 매우 회의적이며 실제로 영국 학계에서도 분분한 반론이 제기되었다. 더군다나 영연방 국가들이 더 이상 자신들의 소득 없이 영국의 일방적인 외교정책을 받아들일 이유가 없는 건 당연한 현실이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다음 세 가지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영국은 제국의 역사를 언제부터 또 어떻게 기록하고 있을까? 영 제국의 해체과정과 학계의 연구 동향은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을까? 그리고 영국 사회가 제국의 역사를 마주하고 성찰하는 데 학계는 어떤 역할을 하고 있을까? 먼저 영 제국의 해체과정에서 나타난 주요 사건들과 역사학계의 제국주의 연구 변화를 시기별로 살펴보고, 영국에서 현재 진행 중인 탈식민 쟁점을 소개하고, 제국주의를 성찰하는 학계의 노력에 관한 순서로 발표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영국 학계는 제국의 정치적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연구 경향을 보이면서, 현대 영국 사회가 제국의 역사를 마주하는 성찰의 방향성을 제시하여, 영연방과 함께하는 ‘제국 이후의 삶(Afterlife of Empire)’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을 밝힌다. In examining the discourse of British Imperialism in the 21th century, one thing we need to pay attention to is the existence of the Commonwealth. The Commonwealth is a voluntary association of the former British Empire colonies, now 56 independent nations, that has shown a unique history of transition from the dissolution of the British Empire to the Commonwealth of Nations. The power of historical continuity can be seen in the fact that the history of the British Empire and the experiences of its colonies are still shared by many parts of the planet. In this sense, imperialism, colonialism, decolonization, and postcolonialism are still important keywords for understanding contemporary society and key discourses for understanding the UK, the Commonwealth, and the world. However, as a historian in British imperial history, I am highly skeptical that Britain that made the nationalistic decision for Brexit, would eventually return to an imperial/global outlook towards to the wider world. Moreover, it is clear that the Commonwealth countries no longer have any reason to accept Britain’s unilateral foreign policy without their own income.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aims to answer three questions: Since when and how has Britain been writing its imperial history? How did the demise of the British Empire interact with research trends in academia, and what role does academia play in helping British society confront and reflect on its imperial history? The article starts with a chronological overview of key events in the demise of the British Empire and transformations in the study of imperialism in historical scholarship. It introduces ongoing decolonization issues in the UK, and then a discussion of academic efforts to reflect on imperialism. Ultimately, it will demonstrate that British academics play an important role in supporting the ‘Afterlife of Empire’ with the Commonwealth by showing research trends that vary according to the political changes of empire, and by providing directions for reflection on the history of empire in contemporary British society.

      • KCI등재

        런던대학교와 식민지 대학의 ‘특별한 관계’, 1947-1968

        신동경 영국사학회 2022 영국연구 Vol.48 No.-

        Under the British empire’s wartime plan for opening new colonial universities, five colonial university colleges were established in Africa and the West Indies by 1948. Through the Special Relation scheme, the University of London designed their academic curricula and awarded its own degrees to colonial students, acting as a ‘mother university’. By 1968, the eight African and the West Indian University Colleges participated in the Special Relation, and later transferred to the independent Universitie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University of London’s imperial activities reflecting a decolonizational perspective rather than sticking to top-down approach. It suggests African and the Caribbean people were not passive in the process of the empire’s university colonization. By taking a part of the Special Relations scheme, the University of London intended to make its institutional reputation and influence better and higher, and the colonial institutions also took advantages of receiving the University of London degrees for their students’ careers and developments for upcoming independency. Thus, the University of London and the colonial societies mutual agreed with this academic partnership for their own purposes. In doing so, this research sheds light on Britain’s on-going educational influence in its overseas territories during the decolonization, and its meaning in shaping and keeping networks between Britain and the Commonwealth countries. 2차 세계대전 중 계획된 영제국의 식민지 대학 설립 계획 따라 1948년까지 아프리카와 서인도제도에 새로운 대학이 개교하였다. ‘특별한 관계’ 제도를 통해, 런던대학교는 이들의 교육과정 설계, 학위 수여를 담당하며 학문적 발전을 지도하는 ‘어머니 대학’ 역할을 하였다. 1968년까지 여덟 개의 아프리카 대학과 서인도제도 대학이 이 ‘특별한 관계’에 참여한 후 런던대학교로부터 독립하여 독자적 대학교로 전환하였다. 이 논문은 그동안 ‘위로부터의’ 역사연구 관점으로 이해되어온 런던대학교의 제국주의적 활동에 대하여 탈식민 관점을 반영하여 설명하려는 시도로서, 아프리카인과 카리브해인이 영제국의 대학교육 식민화 과정에서 수동적 방관자가 아니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특별한 관계’를 통해 런던대학교는 영제국 안팎으로 기관의 명성과 교육적 영향력을 높이고자 하였고, 식민지 대학은 런던대학교의 학위를 부여함으로써 학생의 커리어와 다가올 독립국가 발전에 이득을 취하고자 하였다. 즉, 런던대학교와 식민지 대학은 각자의 목적 달성을 위해 상호 호혜적으로 ‘특별한 관계’에 참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탈식민화시기에 영국의 교육적 영향력이 해외영토에서 확대되었고, 이것이 영국과 영연방 국가와의 지속적인 교류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고찰한다.

      • KCI등재

        미국 재단의 제3세계 대학 개발과 아프리카의 기회

        신동경 한국서양사연구회 2023 서양사연구 Vol.- No.68

        This articles aims to offer a vivid story of the intertwined processes of decolonization and the Cold War by focusing on the participation of American foundations in developing new universities in Anglophone Africa.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World War II and Détente, Britain succeeded in transforming its colonies to the current members of the Commonwealth under the diplomatic umbrella of ‘Special Relationship’ with America. In doing so, these two liberal power countries cooperated and protected the Third World countries from the Soviet’s occupation and influence.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the British development of universities in Nigeria and Ghana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big three American foundations such as the Carnegie Corporation of New York, the Rockefeller Foundation and the Ford Foundation in the Cold War context. Opening colonial universities in Africa and the Caribbean was part of British Empire’s post-war policies for shaping partnership with colonies. Two British institutions, the Inter-University Council and the University of London guided the creation and academic growth of new overseas universities. However, with political and institutional decolonization, new African universities needed more amount of academic and financial source for nurturing their manpower for independence and national industrialization. American foundations promptly joined the British-designed university development and took over its hegemony in developing universities in the Third World. In the existing scholarly works by British side, American foundations’ activities in African universities is not fully analyzed, not clearly examining their initiative and their different philanthropical and diplomatic activities. At the same time, African universities and people were not just passive receivers of Anglo-American polices for their university expansion, but active players who could take advantage of the competitive and complicated situation of the Cold War and decolonization. By utilizing archival sources from American foundations and African universities, this articles suggests th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became the important stage for competing America, Britain and Soviet Union during the Cold War era. As this articles argues, this overlapping process of decolonization and the Cold War could functioned as a novel chance for African universities for acquiring what they needed for their nation-building.

      • KCI등재

        영 제국 경영의 마지막 통치 카드 : ‘식민지 개발 및 복지 법’, 1929-1945

        신동경 대구사학회 2023 대구사학 Vol.152 No.-

        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는 국제 개발 사업을 전개해오고 있다. 자기 나라의 발전 사업이 아니라 다른 지역을 개발하는 사업을 국가 주도로 처음으로 시행한 주체는 영 제국의 식민부였다. 본 논문은 영 제국의 ‘식민지 개발 및 복지 법’ 제정의 의도와 시기에 따라 달라지는 사업의 추이를 분석한다. 영국 의회는 ‘1929년 식민지 개발 법’을 제정하고, 영국 시민의 세금을 해외 식민지 개발 자금으로 사용할 것을 법제화하면서 제국 운영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 법안은 2차 세계대전의 발발과 더불어 ‘1940년 식민지 개발 및 복지 법’으로 개정되었고, 특히 식민지 복지 정책을 개발 사업과 함께 추진되었다. 이후 영 제국은 전후 식민지 재건 사업의 일환으로 ‘1945년 식민지 개발 및 복지 법’을 제정하고 대대적인 예산 증액과 다양한 개발 및 복지 사업을 특히 아프리카 식민지를 중심으로 시행했다. 하지만, 이 ‘위로부터의’ 개발 사업은 식민지 현실에 대한 이해 부족과 경제 성장 효과 미약 및 영국의 이익을 대변하는 데 급급했다는 이유로 실패했다는 역사적 평가를 받아 왔다. 본 논문은 선행 연구에서 간과된 ‘1945년 식민지 개발 및 복지 법’의 식민지 대학 설립 아젠다에 주목하여, 영국은 탈식민화 시기에 교육 · 문화적 소프트파워를 해외 영토에 자리매김하고, 이후 영국과 영연방 국가 및 대학 사이의 지속적인 교류를 유지하는 데 이바지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영국이 제국 해체 이후 영연방 성립이라는 비교적 성공적인 탈식민 과정을 보여준 배경에는 식민지 개발 및 복지 법의 제정과 해외 개발 사업이라는 제국 경영의 마지막 통치 카드를 잘 활용했기 때문이라고 평가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국을 시작으로 하여 서구 사회가 주도하고 있는 해외 식민지 개발 협력 사업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사적 배경과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initiative and progress of the Colonial Development and Welfare Acts of the British Empire. Historically, the Colonial Office of the British Empire was the very first agency which started the state-led overseas development for different regions or countries in the world. The Parliament passed ‘the Colonial Development Act’ in 1929, which legitimated for spending British taxpayers’ money on development of colonial societies. It brought out a big change of British imperial policies. With the outbreak of the Second World War, ‘the Colonial Development and Welfare Act’ was passed in 1940, putting the ‘welfare’ and ‘development’ together in colonial policies. As a part of Britain’s postwar recovery projects, the Act was updated in 1945, allowing the huge amount of budget for colonial developments, and particularly focusing on Africa. However, this ‘top-down’ development projects have been widely criticized by historians because there were little understanding of colonial reality or no significant economic growth. More importantly, the colonial development was planned to serving for Britain’s own financial and imperial purposes rather than colonial people’s needs. This research pays attention to one agenda for developing colonial universities planned by the 1945 Colonial Development and Welfare Act, which has been largely neglected by previous researchers. With this new university project, Britain exported its educational and cultural influence as soft power to overseas territories and then contributed to on-going networks between university institutions in Britain and the Commonwealth countries. Therefore, this paper argues that the Colonial Development and Welfare programs functioned as Britain’s the ‘Last Card’ for governing its declining empire, which worked out for shaping the Commonwealth association after the end of empire. In doing so, this articles will gives new insight into understanding a historical origin of Western-led international development in the current world.

      • KCI등재

        영국 역사교육에서 생태환경을 통합하려는 시도와 양상: A-Level 교과서를 중심으로

        신동경 한국역사교육학회 2024 역사교육연구 Vol.0 No.48

        본 연구는 영국의 역사교육 현장에서 환경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생태환경 내용을 역사교육 현장에서 통합하기 위한 시도와 역사 교과서에 서술된 현황을 소개한다. 최근 영국에서는 생태환경 교육을 모든 학생에게 필수 과목으로 제공하기 사회운동과 법제화 과정이 중요한 사회적 이슈이다. 따라서 영국 역사 수업 현장과 교과서에서 환경 관련 내용을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교과서 자유발행제를 실시하고 교과서 사용률이 현저히 낮은 영국에서는 현장 교사들의 역량과 수업자료 개발 과정에 환경교육을 접목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환경교육을 실천할 수 있도록 제안한 이론서들은 환경에 ‘대한(about)’, ‘위한(for)’, ‘통한(through)’ 또는 ‘안에서(in)’ 교육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이러한 방식이 교과서 서술 방식에 나타난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서 학생들이 국가시험이나 대학 입시에 필독서로 여기는 GCSE와 A-Level 교과서의 내용 서술을 분석했다. 이들 교과서에서 환경 관련 내용을 서술하는 방식은 환경을 단순히 언급하거나, 환경주의 및 환경의 역사에 ‘대한’ 상세한 서술을 보이거나,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대중과 정치계의 변화 등에 주목한다. 또 내용 면에서는 환경 문제가 나타나기 시작한 현대사 교과서가 가장 환경을 ‘통한’ 역사 교과서 서술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유의미한 내용구성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현재까지 영국의 역사 교과서의 내용구성이나 서술 방식은 상대적으로 환경교육 전문학자들이 제안한 세 가지 방식을 반영하지 못했고, 영국 사회가 생태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요구하는 수준에는 도달하지 못했다고 평가한다. 본 연구는 환경교육을 다루는 세계적 흐름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교육에서 환경교육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과 아이디어를 소개한 점에 의의를 두면서 마친다. This stud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history education in the United Kingdom and introduces the current situation of attempts to integrate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content in history textbooks. Recently, the social movement and legislation to make environmental education a compulsory subject for all students has been an important social issue in the U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environmental issues are represented in British history classrooms and textbooks. In the UK, the use of textbooks is significantly low at schools,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capacity of teachers in the field and how to incorporate environmental education into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Some educational experts suggest ways of teaching ‘about’, ‘for’, ‘through’ or ‘in’ the environment for history classes. In this cotext, this articles analyzes the content narratives of GCSE and A-Level textbooks that students consider essential reading for national exams and university entrance. The ways in which these textbooks present environmental content include simple references to environments, detailed narratives ‘ about’ environmentalism and the history of environments, and attention to changes in public and political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s. In terms of content, modern history textbook is the best to present history textbooks ‘ through’ the environment. However, this study concludes that until now the content and narrative methods of British history textbooks have not reached the level required by British society to address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issues.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global trends in environmental education to the British society and students, and to introduce different perspectives and ideas on environmental education to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