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재단의 제3세계 대학 개발과 아프리카의 기회

        신동경 한국서양사연구회 2023 서양사연구 Vol.- No.68

        This articles aims to offer a vivid story of the intertwined processes of decolonization and the Cold War by focusing on the participation of American foundations in developing new universities in Anglophone Africa.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World War II and Détente, Britain succeeded in transforming its colonies to the current members of the Commonwealth under the diplomatic umbrella of ‘Special Relationship’ with America. In doing so, these two liberal power countries cooperated and protected the Third World countries from the Soviet’s occupation and influence.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the British development of universities in Nigeria and Ghana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big three American foundations such as the Carnegie Corporation of New York, the Rockefeller Foundation and the Ford Foundation in the Cold War context. Opening colonial universities in Africa and the Caribbean was part of British Empire’s post-war policies for shaping partnership with colonies. Two British institutions, the Inter-University Council and the University of London guided the creation and academic growth of new overseas universities. However, with political and institutional decolonization, new African universities needed more amount of academic and financial source for nurturing their manpower for independence and national industrialization. American foundations promptly joined the British-designed university development and took over its hegemony in developing universities in the Third World. In the existing scholarly works by British side, American foundations’ activities in African universities is not fully analyzed, not clearly examining their initiative and their different philanthropical and diplomatic activities. At the same time, African universities and people were not just passive receivers of Anglo-American polices for their university expansion, but active players who could take advantage of the competitive and complicated situation of the Cold War and decolonization. By utilizing archival sources from American foundations and African universities, this articles suggests th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became the important stage for competing America, Britain and Soviet Union during the Cold War era. As this articles argues, this overlapping process of decolonization and the Cold War could functioned as a novel chance for African universities for acquiring what they needed for their nation-building.

      • KCI등재

        영국 ‘윈드러쉬 세대’와 그 ‘스캔들’―제국의 시민에서 불법 이민자가 된 노동자들

        신동경 역사문제연구소 2024 역사비평 Vol.- No.146

        최근 영국에서는 ‘윈드러쉬 스캔들’로 인해 ‘윈드러쉬 세대’가 대중의 주목을 받게 되었고, 이들을 기억하기 위한 수많은 문헌과 미디어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영국 대중 사회가 이 식민지 이주노동자의 경험을 기억하고 기념하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입니다. 그러나 역사학이 아닌 대중매체 주도로 기록된 ‘윈드러쉬 세대’를 향한 공공의 역사는 몇 가지 문제점을 드러낸다. 이 글은 ‘윈드러쉬 세대’에 대한 담론이 인종과 이주노동자 차별 문제에 집중하고, 영국이 탈식민화 과정에서 (과거) 식민지인의 노동력을 본국에 유리하게 이용하고 이들의 국적을 제대로 보장하지 않은 방식에 대한 역사적 분석이 부족하다고 주장한다. 이 글은 영국 국립문서고의 공식 문서를 활용하여 영국이 탈식민 전후에 식민지 노동이주자들을 어떻게 관리하고 기억해 왔는지를 영제국사의 맥락에서 분석한다. 따라서 ‘윈드러시 스캔들’은 명백하게 영제국의 부정적 유산이며 여전히 제국주의적인 영국의 이민 정책이 드러난 사건이다. ‘윈드러쉬 스캔들’의 교훈을 바탕으로 더 이상 이민자와 난민 관리에서 잘못을 되풀이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Britain’s Windrush Scandal has brought the Windrush Generation to the forefront of public attention, sparking a flurry of literature and media to remember them. It is welcome that British society celebrates their experiences in their public memory. However, the public history of the Windrush Generation documented by popular media rather than historians reveals some problems. This article argues that discourse on the Windrush Generation has focused heavily on issues of race and migrant labor discrimination, and has lacked historical analysis of the ways in which Britain used the labor of its (former) colonies to its own advantage during the decolonization process, while failing to properly secure their nationality. By utilizing the governmental documents, this article sheds light on how Britain managed and remembered colonial labor migrants before and after decolonization in the context of British imperial history. Therefore, the Windrush Scandal is a negative legacy of the British empire and exposes Britain’s imperialist immigration policies. Lessons from the Windrush Scandal should ensure the current British society not to repeat its mistakes in managements of immigrants and refugees.

      • KCI등재

        제국의 역사와 식민지 경험을 기억하는 영국의 성찰 -제국사를 대하는 영국 학계의 동향 분석-

        신동경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3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84

        21세기에 영국 제국주의 담론을 고찰하면서 주목해야 할 사실 중 하나는 영연방(the Commonwealth)의 존재일 것이다. 영연방은 과거 영 제국 식민지가 해방 이후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현재 56개 독립 국가의 연합체로, 영 제국이 해체되고 영연방으로 전환한 독특한 역사를 보여왔다. 영 제국의 역사와 식민지의 경험이 지금까지 지구상의 많은 부분에서 공유되고 있다는 사실에서 역사적 연속성(historical continuity)의 힘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제국주의, 식민주의, 탈식민화, 후기식민주의 등은 여전히 현대 사회를 이해하는 중요한 키워드이고 영국 및 영연방 그리고 세계를 이해하는 데 주요 담론이다. 하지만, 결국 자국 중심주의를 위해 브렉시트를 단행한 영국이 전 세계 해외 영토로 진출하던 제국의 세계관으로 회귀할 수 있을지 영 제국사를 연구하는 역사가로서 필자는 매우 회의적이며 실제로 영국 학계에서도 분분한 반론이 제기되었다. 더군다나 영연방 국가들이 더 이상 자신들의 소득 없이 영국의 일방적인 외교정책을 받아들일 이유가 없는 건 당연한 현실이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다음 세 가지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영국은 제국의 역사를 언제부터 또 어떻게 기록하고 있을까? 영 제국의 해체과정과 학계의 연구 동향은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을까? 그리고 영국 사회가 제국의 역사를 마주하고 성찰하는 데 학계는 어떤 역할을 하고 있을까? 먼저 영 제국의 해체과정에서 나타난 주요 사건들과 역사학계의 제국주의 연구 변화를 시기별로 살펴보고, 영국에서 현재 진행 중인 탈식민 쟁점을 소개하고, 제국주의를 성찰하는 학계의 노력에 관한 순서로 발표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영국 학계는 제국의 정치적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연구 경향을 보이면서, 현대 영국 사회가 제국의 역사를 마주하는 성찰의 방향성을 제시하여, 영연방과 함께하는 ‘제국 이후의 삶(Afterlife of Empire)’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을 밝힌다. In examining the discourse of British Imperialism in the 21th century, one thing we need to pay attention to is the existence of the Commonwealth. The Commonwealth is a voluntary association of the former British Empire colonies, now 56 independent nations, that has shown a unique history of transition from the dissolution of the British Empire to the Commonwealth of Nations. The power of historical continuity can be seen in the fact that the history of the British Empire and the experiences of its colonies are still shared by many parts of the planet. In this sense, imperialism, colonialism, decolonization, and postcolonialism are still important keywords for understanding contemporary society and key discourses for understanding the UK, the Commonwealth, and the world. However, as a historian in British imperial history, I am highly skeptical that Britain that made the nationalistic decision for Brexit, would eventually return to an imperial/global outlook towards to the wider world. Moreover, it is clear that the Commonwealth countries no longer have any reason to accept Britain’s unilateral foreign policy without their own income.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aims to answer three questions: Since when and how has Britain been writing its imperial history? How did the demise of the British Empire interact with research trends in academia, and what role does academia play in helping British society confront and reflect on its imperial history? The article starts with a chronological overview of key events in the demise of the British Empire and transformations in the study of imperialism in historical scholarship. It introduces ongoing decolonization issues in the UK, and then a discussion of academic efforts to reflect on imperialism. Ultimately, it will demonstrate that British academics play an important role in supporting the ‘Afterlife of Empire’ with the Commonwealth by showing research trends that vary according to the political changes of empire, and by providing directions for reflection on the history of empire in contemporary British society.

      • KCI등재

        역사교육을 탈식민화하는 것의 역사적 의미 - 영연방 대학을 중심으로 -

        신동경 역사교육연구회 2024 역사교육 Vol.171 No.-

        본 논문은 영 제국이 2차 세계대전 이후 전개한 식민지 대학 개발(Development) 사업을 통해서, 영국 대학과 (과거) 식민지 대학 사이의 교육 식민화와 탈식민화 네트워크 연구한다. 이를 바탕으로 영국과 신(新) 영연방 국가의 대학 사이에 이루어진 역사교육의 탈식민화 상호작용 사례들을 바탕으로 영연방에서 이루어진 역사교육의 탈식민화 양상과 의미를 되짚어본다. 식민 지배하에서 개교한 식민지 대학이 런던대학교와 맺은 ‘특별한 관계’ 속에서 탈식민화된 역사교육을 제공하기는 상당히 어려웠다. 1950년대 후반부터 식민지 대학의 사학과 교수진들이 지역 학자들과 학술적으로 교류하고, 그 국가나 지역 단위의 역사 교재 출판 사업이 활발해졌다. 이는 공식화되어 가던 식민지의 독립 일정과 탈식민화의 맥락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탈식민화 이후 영국을 포함한 영연방 국가 대학의 역사교육에서 과거 식민지적 연구와 교육을 탈식민화하는 데에는 현지화된 지역학 연구가 부상하고, 아프리카연구소를 발족하여 새로운 관점의 학문 풍토를 제공하여 사학과와 인접 학문의 탈식민화를 촉진했다. 하지만 식민화되어 이어 온 역사교육은 독립 이후에도 탈식민화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독립한 영연방 대학들은 현지화된 관점의 역사 연구와 아프리카연구소 설립과 같이 과거 제국의 ‘아래로부터’ 변화를 도모했고, 이는 영국 대학교와 학계가 탈식민화된 연구 변화를 끌어내는 데 영향을 끼쳤다. 이 사실은 영 제국사와 역사교육학 연구에서 그 의의가 크다. 그럼에도 여전히 영국 중심의 사고와 학계의 연구 방향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현재 영국과 영연방에서 진행되고 있는 ‘왜 내가 배우는 과목이 백인 위주인가?’와 같은 비판적 질문과 실천적 변화가 역사교육에서 더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educational colonization and decolonization networks between British universities and (former) colonial universities through the colonial university development projects undertaken by the British Empire. Based on this analysis, it seeks to explore the patterns and significance of the decolonization of history education within the Commonwealth by investigating the academic interactions in history education between British and Commonwealth universities. There were colonial efforts of African and Caribbean universities to adapt history education to their local contexts, particularly since the late 1950s, when faculty members began collaborating with local scholars and publishing national history textbooks. However, the political and economic context of colonization heavily influenced these efforts for localizing history education. With the political independence, African universities could expand their academic scope such as opening the Institute of African Studies. It also helped to decolonize studies in British universities and academia. Nonetheless, decolonizing history education is a complex task, especially given the deeply ingrained British academic structures. In order to overcome this, critical questions such as “Why my curriculum is so white?” and practical changes in history education, such as those currently underway in the UK and Commonwealth, will need to be more widely practiced.

      • KCI등재

        영 제국 경영의 마지막 통치 카드 : ‘식민지 개발 및 복지 법’, 1929-1945

        신동경 대구사학회 2023 대구사학 Vol.152 No.-

        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는 국제 개발 사업을 전개해오고 있다. 자기 나라의 발전 사업이 아니라 다른 지역을 개발하는 사업을 국가 주도로 처음으로 시행한 주체는 영 제국의 식민부였다. 본 논문은 영 제국의 ‘식민지 개발 및 복지 법’ 제정의 의도와 시기에 따라 달라지는 사업의 추이를 분석한다. 영국 의회는 ‘1929년 식민지 개발 법’을 제정하고, 영국 시민의 세금을 해외 식민지 개발 자금으로 사용할 것을 법제화하면서 제국 운영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 법안은 2차 세계대전의 발발과 더불어 ‘1940년 식민지 개발 및 복지 법’으로 개정되었고, 특히 식민지 복지 정책을 개발 사업과 함께 추진되었다. 이후 영 제국은 전후 식민지 재건 사업의 일환으로 ‘1945년 식민지 개발 및 복지 법’을 제정하고 대대적인 예산 증액과 다양한 개발 및 복지 사업을 특히 아프리카 식민지를 중심으로 시행했다. 하지만, 이 ‘위로부터의’ 개발 사업은 식민지 현실에 대한 이해 부족과 경제 성장 효과 미약 및 영국의 이익을 대변하는 데 급급했다는 이유로 실패했다는 역사적 평가를 받아 왔다. 본 논문은 선행 연구에서 간과된 ‘1945년 식민지 개발 및 복지 법’의 식민지 대학 설립 아젠다에 주목하여, 영국은 탈식민화 시기에 교육 · 문화적 소프트파워를 해외 영토에 자리매김하고, 이후 영국과 영연방 국가 및 대학 사이의 지속적인 교류를 유지하는 데 이바지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영국이 제국 해체 이후 영연방 성립이라는 비교적 성공적인 탈식민 과정을 보여준 배경에는 식민지 개발 및 복지 법의 제정과 해외 개발 사업이라는 제국 경영의 마지막 통치 카드를 잘 활용했기 때문이라고 평가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국을 시작으로 하여 서구 사회가 주도하고 있는 해외 식민지 개발 협력 사업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사적 배경과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initiative and progress of the Colonial Development and Welfare Acts of the British Empire. Historically, the Colonial Office of the British Empire was the very first agency which started the state-led overseas development for different regions or countries in the world. The Parliament passed ‘the Colonial Development Act’ in 1929, which legitimated for spending British taxpayers’ money on development of colonial societies. It brought out a big change of British imperial policies. With the outbreak of the Second World War, ‘the Colonial Development and Welfare Act’ was passed in 1940, putting the ‘welfare’ and ‘development’ together in colonial policies. As a part of Britain’s postwar recovery projects, the Act was updated in 1945, allowing the huge amount of budget for colonial developments, and particularly focusing on Africa. However, this ‘top-down’ development projects have been widely criticized by historians because there were little understanding of colonial reality or no significant economic growth. More importantly, the colonial development was planned to serving for Britain’s own financial and imperial purposes rather than colonial people’s needs. This research pays attention to one agenda for developing colonial universities planned by the 1945 Colonial Development and Welfare Act, which has been largely neglected by previous researchers. With this new university project, Britain exported its educational and cultural influence as soft power to overseas territories and then contributed to on-going networks between university institutions in Britain and the Commonwealth countries. Therefore, this paper argues that the Colonial Development and Welfare programs functioned as Britain’s the ‘Last Card’ for governing its declining empire, which worked out for shaping the Commonwealth association after the end of empire. In doing so, this articles will gives new insight into understanding a historical origin of Western-led international development in the current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