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의 위기 대응을 위한 혁신역량의 역할:코로나19 전후 비교

        신기윤,오윤환,황성호 한국혁신학회 2023 한국혁신학회지 Vol.18 No.4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등의 글로벌 대전환과 함께 미·중 무역분쟁, 코로나19 등 기업 활동의 불확실성을 가중시키는 위기가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복합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 기업은 혁신역량을 축적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꾸준한 혁신활동을 통하여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라는 위기 이후 기업의 상태 변화에 대한 혁신역량의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위기에 대응하고 기업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위기 이전의 혁신역량 축적의 중요성을 정량적으로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혁신역량을 설비투자 기반의 생산역량과 연구개발 투자 기반의 기술역량으로 구분하고, 각 역량의 평균적인 축적 정도와 함께 연도별 투자의 변화 정도를 통해 역량의 질적 요소를 함께 고려하였다. 또한, 기업의 상태에 대해서는 외부감사대상기업 포함 여부를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이전 기술역량과 생산역량의 양적 측면은 모두 코로나19 이후 기업의 외부감사대상기업 유지 확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도별 연구개발 및 신규설비 투자의 표준편차를 통해 확인한 혁신역량의 질적 측면의 경우 생산역량은 투자의 변동성이 심할수록 기업의 외부감사대상기업 유지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반면, 기술역량의 투자 변동성은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의 불확실성의 확대 속에서 대응역량을 갖추기 위해서는 꾸준한 혁신역량 축적활동이 기초체력 확보의 관점에서 중요함을 확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연구개발 투자 뿐 아니라 설비투자의 경우에도 기업의 경영지표 변화와 관계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연구개발과 사업화, 상용화를 연결하는 기업 활동 전반에 대한 전략적·정책적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Along with the global transformation of green and digital transformation, crises such as the US-China trade dispute and COVID-19 continue to emerge, adding uncertainty to business activities. To respond to these complex crises, firms need to accumulate innovation capabilities, which can be secured through continuous innovation activities.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innovation capabilities on the status of firms after the COVID-19 crisis and quantitatively confirm the importance of accumulating innovation capabilities before the crisis. Specifically, this study categorizes innovation capabilities into production capabilities based on facility investment 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based on R&D investment, and considers the average accumulation of each capability, as well as the qualitative factors of capabilities through the degree of change in investment over the years. In addition, the status of firms was checked through the inclusion of firms subject to external audi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both the quantitative aspects of pre-COVID-19 technical capabilities and production capabilitie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probability of retaining the status of the firm subject to external audit after COVID-19. On the other hand, the more volatile the investment in production capabilities, the more negatively it affects a company's likelihood of retaining the status of the firm subject to external audit, while the investment volatility of technology capabilities does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These results confirm the importance of steadily accumulating innovative capabilities to be able to respond to the recent expansion of uncertainty from the perspective of securing basic capacity. In addition, not only R&D investments but also physical capital investments were found to be related to changes in corporate management indicators, suggesting that strategic and policy considerations should be given to the overall activities linking R&D and commercialization.

      • KCI등재

        ICT 융합 산업의 기술혁신과 규제갈등 사례 연구

        신기윤,여영준,김지현,이정동 한국혁신학회 2018 한국혁신학회지 Vol.13 No.1

        With the entry into the knowledge-based society, the voices of the transition to a leading-edge, innovative industrial structure that fosters new markets and creative talent are increasing. The ICT convergence industry is expected to play a role as a new growth engine by combining innovative technologies and new business models in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the industrial structure. However, Korean regulatory system does not support the role of ICT convergence industry in sustainable economic growth, even rather, it serves as an impediment to industrial development. This study present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gulation and the investment and growth of the ICT convergence industry. It also classifies the types of existing ICT convergence regulations and points out the problems of the current regulatory framework for developing ICT convergence industries. In addition, from qualitative analysis using causal loop diagram and stock-flow diagram, this study draws the policy implication on the way of improvement of regulatory regime in each c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appropriate regulatory system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ICT convergence industries and business models. 지식기반사회로의 진입과 함께 신시장의 발굴과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는 선도형, 혁신형 산업구조로의 전환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ICT 융합 산업은 이러한 산업구조 재편 과정에서 혁신적인 기술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결합으로 신 성장동력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규제 체계는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에 있어서의 ICT 융합 산업의 역할을 지원하지 못하고, 오히려 산업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규제가 ICT 융합 산업의 투자와 성장에 미치는 요인을 정리하여 그 인과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현존하는 ICT 융합 산업 관련 규제의 유형을 분류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각 ICT 융합 산업 발전에 대한 현 규제 체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규제갈등 해소를 위한 규제 개선의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다양한 ICT 융합 산업 및 비즈니스 모델의 발전에 발맞춘 적절한 규제 체계의 대응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며, 추후 연구를 통하여 규제 체계의 변화에 의한 정책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 KCI등재

        디지털 전환에 따른 경제 및 노동시장 파급효과: 산업연관 및 사회계정행렬 분석을 중심으로

        신기윤(Kiyoon Shin),여영준(Yeongjun Yeo),이정동(Jeong-Dong Lee) 한국혁신학회 2020 한국혁신학회지 Vol.15 No.3

        디지털 전환의 개념적 정의와 발현 양상을 고려하였을 때, 디지털 전환 파급효과 분석은 산업 및 제도 부문 간 연관관계를 고려하여 이뤄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표 및 사회계정행렬 수립을 바탕으로, 디지털 전환이 한국의 산업 및 경제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 전환 중심 산업은 1990년 이후 타 산업에서 중간재로 활용되는 정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경제 내 중요한 부문으로 자리잡았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디지털 전환 중심 산업에 대한 투자 확대 효과를 분석한 결과, 산업별 영향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했으며, 요소소득 분배구조에 대한 분석을 통해 디지털 전환 확산이 자본편향적, 숙련편향적 기술진보의 특성을 보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의 개별 기술에 집중하지 않고, 디지털 전환의 확대에 의한 산업 및 경제구조의 변화를 경제 체계 내 주체들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살펴보았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디지털 전환 확산에 따른 생산요소 시장 내 분배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디지털 전환에 대응한 시의적절한 산업별, 노동 수준별 정책이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ocioeconomic effects of digital transformation on Korean industrial structure through input-output (I-O) table and social accounting matrix (SAM). The result shows that other industries has increased the intermediate goods from digital transformation sector since 1990. By investigating the impact of investment expansion in digital transformation sector, the degree of production expansion effect is different from each industry. Moreover, analysis on distribution structure of production factor income confirms that the diffus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has a characteristics of capitaland 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 This study has implication that it investigates the impact of digital transformation on industrial structure with interactions among agents in the economic system not by focusing on specific technology. In addition, by considering distribution structure of production factor, this study strengthens the needs for proper and timely industrial and labor policies to respond the diffus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 KCI등재

        정보통신기술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 분석

        이정원,신기윤,김홍범 한국경영공학회 2024 한국경영공학회지 Vol.29 No.1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efficiency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rojects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by categorizing them into the type of the R&D project and the actors of R&D project. Methods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R&D projects, this study uses data envelopment analysis that is useful in dealing with multiple inputs and outpus, Result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R&D project, the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shows higher efficiency than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gram. Also, in terms of the actors, the highest efficiency is exhibited when performed by large or medium-sized enterprises. Conclusion Based on the estimation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more efficient government-funded ICT R&D projects.

      • KCI등재

        기업의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과 생산성 간 관계 연구: 절대적 수준과 상대적 위치

        이승민,신기윤,이정동 한국혁신학회 2022 한국혁신학회지 Vol.17 No.3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the technology related to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total factor productivity in the firms in terms of absolute level and relative position of productivity. This study constructs the dataset from managerial and general information of the firms and business activity survey from 2016 to 2019 which had questions on the applic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related technology. The values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of the firms in 2016 were divided into quintiles for least-squares regression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pplic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related technology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 enhancement. In addition, those in 2019 were also divided into quintiles to investigate whether the firms which applied the technology related to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related to the productivity of the firms to be included in the specific quintile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technology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absolute productivity level for the firms with relatively low productivity before. 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the relative position of productivity, the applic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related technology reduces the probability of the firm falling into the bottom quintile of productivity and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being included in the top quintile. This study is important in that the impac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firm productivity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absolute and relative positions. This study draws an implication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a managerial judgment on the application of technologie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m and to take policy considerations related to the diffus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private sector. 본 연구는 기업에 있어서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의 도입이 총요소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생산성의 절대적 수준과 상대적 위치의 관점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16~2019년 조사된 기업활동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의 도입 여부 및 기업 특성 변수를 종합하여 2016년 총요소생산성을 5분위로 나누어 분위별 최소자승법 회귀분석을 수행하고, 2019년 총요소생산성 역시 5분위로 나누어 해당 분위에 포함될 확률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의 도입은 기존의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기업에 대해서 절대적인 생산성 수준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생산성의 상대적 위치와 관련하여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의 도입은 기술 도입 이후 기업이 생산성 하위 20%에 속하게 되는 확률을 줄이고, 생산성 상위 20%에 포함될 확률은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기업 생산성 영향을 절대적 수준과 상대적 위치로 나누어 분석하였다는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의 이전 생산성 등 기업 특성을 고려한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도입의 경영적 판단 및 4차 산업혁명 확산과 관련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할 수 있다.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군집 분석을 활용한 한국의 데이터 관련 정책사업 분석

        최성준,신기윤,오윤환 한국산업정보학회 2023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8 No.6

        본 연구는 우리나라 데이터 관련 정책사업에 대한 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군집 분석을 통해 유사한 사업들을 분류하고 유형화하였다. 이를 위해 2022년에 우리나라에서 추진된 데이터 관련 재정사업 설명자료를 수집하고 사업 내용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 TF-IDF로 각 사업간 유사도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정책사업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이후 정책사업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고, 네트워크 군집 분석을 통해 유사한 정책사업들을 군집화하여 유형화하였다. 총 97개의 사업을 분석한 결과, 7개의 주요 군집이 식별되었으며, 이를 통해 비슷한 주제나 목표를 가진 사업들이 응용 분야 혹은 데이터가 활용되는 서비스 관점에서 유형화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우리나라 데이터 관련 정책사업의 현황을 보여줌과 동시에 향후 국가데이터전략 수립 및 사업 기획에 있어서 전략적 접근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며 증거기반 정책 확립에 기여한다. This study endeavors to classify and categorize similar policy programs through network clustering analysis, using textual information from data-related policy programs in Korea. To achieve this, descriptions of data-related budgetary programs in South Korea in 2022 were collected, and keywords from the program contents were extracted. Subsequently, the similarity between each program was derived using TF-IDF, and policy program network was constructed accordingly. Following thi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were analyzed, and similar policy programs were clustered and categorized through network clustering. Upon analyzing a total of 97 programs, 7 major clusters were identified, signifying that programs with analogous themes or objectives were categorized based on application area or services utilizing data.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lluminate the current status of data-related policy programs in Korea, providing policy implications for a strategic approach to planning future national data strategies and programs, and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evidence-based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