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단계 집락추출에서의 표본크기에 대한 연구

        송종호,제해성,박민규,Song, Jong-Ho,Jea, Hea-Sung,Park, Min-Gue 한국통계학회 2011 응용통계연구 Vol.24 No.2

        조사비용과 시간과 같은 현실적인 제약하에서 관측단위 (observation unit)의 집합인 집락(cluster)율 추출하는 집락추출법은 대부분의 대형조사(large scale survey) 에서 흔히 사용된다. 특별히 집락내의 관측단위가 매우 유사한 경우, 집락 내의 모든 관측치를 조사하는 대신 일부를 추출하여 조사하는 이단계 집락 추출법이 선호된다. 이단계 집락추출법의 적용시 집락인 1차추출단위 (Primary Sampling Unit; PSU)와 관측단위인 2차추출단위(Secondary Sampling Unit; SSU)의 표본수 결정은 주어진 비용과 표본으로부터 계산되어지는 통계량의 정도에 의존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1차추출단위의 크기가 동일하다는 가정하에서 유도된 최적 PSU와 SSU 표본크기 산출과정을 일반화하여 1차추출단위의 크기가 같지 않을 경우의 최적 표본크기를 유도하고 그 결과를 제 4차 퇴원환자조사를 위한 표본추출 방안에 적용하여 기존방법과 비교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제 7차 퇴원환자조사를 위한 표본크기를 제안하였다. In a large scale survey, cluster sampling design in which a set of observation units called clusters are selected is often used to satisfy practical restrictions on time and cost. Especially, a two stage cluster sampling design is preferred when a strong intra-class correlation exists among observation units. The sample Primary Sampling Unit(PSU) and Secondary Sampling Unit(SSU) size for a two stage cluster sample is determined by the survey cost and precision of the estimator calculated. For this study, we derive the optimal sample PSU and SSU size when the population SSU size across the PSU are di erent by extending the result obtained under the assumption that all PSU have the same number of SSU. The results on the sample size are then applied to the $4^{th}$ Korea Hospital Discharge results and i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We also propose the optimal sample SSU (discharged patients) size for the $7^{th}$ Korea Hospital Discharge Survey.

      • KCI등재SCOPUS

        국방연구개발 연구원들의 정보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송종호,오동근,Song, Jong-Ho,Oh, Dong-Geun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08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39 No.2

        본 연구는 A연구소에서 국방연구개발 및 시험평가 업무에 종사하는 연구원들의 수행업무나 직급 등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정보이용 행태에 대한 차이분석을 통해 정보서비스를 개선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문헌연구와 더불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원들의 정보수집 빈도는 연구/업무 수행 중 발생한 현안 문제해결을 위한 정보수집이 가장 많고, 정보수집시 정보의 정확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수집시 큰 어려움은 느끼지 않았지만 일부 연구원의 경우 정보검색 및 정보자료 소재파악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이용중인 정보자료의 형태별 비율은 전자자료(67%), 인쇄자료(26%), 비 도서자료(6%) 순이었다. 정보원별 이용빈도 및 의존도는 인터넷, 연구소내 전자도서관, 연구소내 Web자료의 순으로 높았고, 만족도는 인터넷, 연구소내 전자도서관, 도서관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r behavior of defense development and test researchers working for A research institute to provide advanced library services. Based on the prior studies about the subject, survey through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and the data analyzed using SPSS 12.0.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The researchers generally gathered information 2 to 3 times per month. The major reason for information gathering was to solve problems and do their tasks. They considered accuracy of information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they gather information. Finding and selecting information sources were the most difficult task for them in retrieving, acquiring and using information. They have most frequently used digital materials (67%), printed materials next (26%), and non-book materials (6%). Internet was both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most satisfied information source for the researchers.

      • KCI등재

        연구논문 : 순환표본의 결합을 위한 가중치 산출에 대한 연구

        송종호 ( Jong Ho Song ),박진우 ( Jin Woo Park ),변종석 ( Jong Seok Byun ),박민규 ( Min Gue Park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0 조사연구 Vol.11 No.1

        순환표본조사를 시행할 경우 매 순환주기별로 적절한 통계적 신뢰도를 가진 전체 모집단 특성이 추정될 수 있는 반면에, 작은 표본크기로 인하여 통계적 신뢰도가 높은 소지역 추정량의 산출은 어렵다. 따라서 소지역 추정량은 일반적으로 일정 주기 후 혹은 전체조사가 마무리된 후 독립적인 순환표본들을 결합하여 얻어진 최종표본을 통해 산출된다. 본 연구에서는 순환표본을 결합하여 추정량을 만들 때 필요한 가중치 산출의 문제를 고려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이 각 조사에 따른 경험을 바탕으로 조사별로 가능한 순환표본 결합 가중치를 정의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모든 가능한 관심변수에 적용 가능하도록 표본설계변수에만 의존하는 모형을 설정하고 주어진 모형하에서의 최량선형불편예측치(Best Linear Unbiased Predictor: BLUP)를 고려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각 모형 하에서 정의되는 여러 BLUP을 비교하여 모형변화에 강건한 추정량을 제안하고 그 결과를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적용하였다. Although it is possible to provide statistically reliable estimators of the entire population parameters based on each independent rolling sample, estimators of the small areas may not have the required statistical efficiency. Thus, in general, small area estimators are calculated based on the combined rolling sample after entire rolling sample survey is finished. In this study, we considered the construction of weights that is necessary in the analysis of the combined rolling sample. Unlike the past studies that provided the empirical results for the corresponding specific rolling sample survey, we considered linear models that depends only on design variables and rolling period and provided the corresponding Best Linear Unbiased Predictor(BLUP). Through a simulation study, we proposed the estimators for the population parameters that are robust to model failure and the BLUP under the assumed model. The results are applied to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SCOPUSKCI등재

        청미래덩굴 뿌리에서 추출한 순차분획물의 항균활성과 성분 분석

        송종호(Jong-Ho Song),권혁동(Hyuk-Dong Kwon),이원구(Won-Koo Lee),박인호(In-Ho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7 No.4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의 뿌리에서 추출한 methanol, chloroform, ethylacetate, butanol 및 수용성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A. rhizogenes, A. tumefaciens, C. utilis, S. cerevisiae, B. megaterium. B. subtilis, E. coli에 대하여 disc diffusion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뿌리에서 얻은 methanol 추출물은 B. megaterium과 B. subtilis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나타났고, chloroform 추출물은 A. tumefaciens, B. megaterium, B. subtilis에 대하여, ethylacetate 추출물은 A. rhizogenes, A. tumefaciens, B. megaterium 및 B. subtilis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또한, butanol 추출물은 A. rhizogenes와 B. subtilis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존재하였으며, 수용성 추출물은 B. subtilis에서만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GC/MSD에 의한 각 추출물의 분석 결과, methanol 추출물은 phenol성 화합물이 8.86%, furan계 화합물이 16.04%, alcohol류가 0.83%, acid류가 36.10%, ketone류가 13.07%, aldehyde류가 0.20%의 함량으로 존재하고, chloroform 추출물에는 phenol성 화합물이 29.13%, furan계 화합물이 1.96%, alcohol류가 8.23%, acid류가 7.22%, ketone류가 4.40%%, aldehyde류가 1.75%, benzene류가 10.17% 존재하였다. Ethylacetate 추출물에 함유된 화합물은 phenol성 화합물이 45.99%, furan계 화합물이 4.03% alcohol류가 1.17%, acid류가 27.80%, ketone류가 44.21%존재하였다. Butanol 추출물은 phenol성 화합물이 18.9%, acid류가 4.88%, ketone류가 3.84%, alkane류가 3.51%, sterol류가 7.27%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청미래덩굴 뿌리 순차분획 추출물의 phenol성 화합물 함량은 항균활성의 정도와 비례함을 알 수 있었다. Methanol 추출물의 경우에는 B. megaterium과 B. subtilis에 대하여, chloroform 추출물은 A. tumefaciens, B. megaterium과 B. subtilis 등에 대하여, ethylacetate 추출물은 A. rhizogenes, A. tumefaciens, B. megaterium 및 B. subtilis 등의 4가지 미생물에 대하여, butanol 추출물은 A. rhizogenes와 B. subtilis의 2가지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며, 각 추출물을 GC/MSD로 분석한 결과 각 추출물에 함유된 phenol성 화합물의 함량은 ethylacetate(45.99%), chloroform(29.13%), butanol(18.96%) 및 methanol(8.86%)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미래덩굴 뿌리에서 얻은 각 순차분획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이들에 존재하는 phenol성 화합물의 함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Antimicrobial activities, extraction yields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extracts from the powder of vacuum dried Smilax china root on various solvents were investigat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A rhizogenes, A. tumefaciens, C utilis, S. cerevisiae, B. megateriurn, B. subtilis and E. coli were measured by disc diffusion method. Methanol, chloroform, ethylacetate and butanol extracts exhibited potent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B. megaterium and B. subtilis. Also, methanol, ethylacetate and butanol extracts had the activities against A. rhizogenes, and chloroform and ethylacetate extracts against A. tumefacciens. The extraction yields were 13.10%, 8.71%, 2.73%, 0.83%, 0.54% and 0.20% in methanol, aqueuos, butanol, ethylacetate, hexane and chloroform fractions, respectively.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their extracts were very different according to the kinds of solvents. The main chemical groups of ethylacetate, methanol, chloroform and butanol extracts were 45.99% phenolics, 36.10% acids, 29.13% phenolics and 18.96% phenolics, respectively.

      • KCI등재

        무라이 쇼스케(村井章介)의 <왜구=경계인>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송종호 ( Song Jong Ho ) 역사교육학회 2017 역사교육논집 Vol.63 No.-

        The logical framework of Mr. Shosuke Murai`s Marginal Man theory of Wakou (倭寇; Japanese pirates) is as follows: (i) the core members of Wakou were Wajin (倭人), the Japanese, only from the Three Islands which were Tsushima, Iki and Hakata, not from the other regions of Japan; (ii) among them, Wakou were only commoners, not warlords; (iii) based on the anti-governmental nature of Wakou activities, Koreans should have participated in Wakou; and (iv) Korean captives, Cheju Islanders and Hwacheok and Jaein (who were butchers and other lower-class people in medieval Korea) consisted of the same `Marginal Man` group together with Wakou. With respect to his arguments (i) and (ii), there are a lot of historical sources against the above Marginal Man theory. Also, some inconsistent and contradictory arguments have been found in his own book in relation to his arguments (i) and (ii). On the other hand, we have several sources supporting that some Japanese warlords participated in, and even led, the Wakou group. With respect to the argument (iii), Mr. Murai`s argument for the anti-governmental nature of Wakou activities is based on the hidden premise that Koreans participated in Wakou from the earlier period of the second half of the 14th century, which has no ground, either from relevant sources or in theories. Then, the anti-governmental nature of Wakou activities has been used for his conclusion for the Koreans` participation in Wakou, which may seem a tautology or a circular logic. Moreover, his logical flow seems to confuse the purpose (or nature) and the agents of Wakou activities. With respect to the argument (iv) setting forth possible Korean agents in Wakou, he ignored Wakou`s harsh coercion over Korean captives, and missed several important aspects in his study on Cheju Islanders. Also, there are several improper citations of historical sources regarding Korean captives, Cheju Islanders, and Hwacheok and Jaein. In addition, his conclusion for the participation of some Korean people in Wakou activities as Marginal Man seems not consistent in his book. Based on the problems in his logical flows, improper citations and the inconsistencies in his arguments, his Marginal Man theory of Wakou would not be acceptable, without further elabo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