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손지현,김영주,이혜선 한국미술교육학회 2023 美術敎育論叢 Vol.37 No.1

        This study reconceptualizes digital literacy from the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and suggests teachers’ digital literacy in art education. Digital literacy has been referred to as the ability to find, evaluate, and combine digital information, but gradually developed into a concept that emphasized critical thinking ethics and encompassed citizenship and participation.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we derived five categories such as ‘approach to digital texts and critical understanding’, ‘aesthetic appreciation and enjoyment of digital contents and works’, ‘creative production of digital contents and artworks’, ‘digital ethics and reflection’, and ‘digital visual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ve particip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Teachers’ digital literacy competency can be composed in terms of ‘technical proficiency’, ‘pedagogical application ability’, and ‘social awareness and participation’.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ponder what is the core value of art education in the digital age and refl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ur lives and art education.

      • KCI등재후보

        미술교육의 간학문적 연구에 관한 이론적 고찰

        손지현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6 미술교육연구논총 Vol.20 No.-

        본고는 미술교육에 있어서 간학문적 연구(interdisciplinary study)의 필요성과 인접 학문을 도입한 미술교육의 형태에 관하여 논하였다. 세계화, 포스트모더니즘, 시각문화로 이어지는 일련의 사회, 문화적 현상과 관련지어 간학문적 연구의 중요성과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실현을 위한 개념 정의와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각 학문 영역에서 분리된 지식을 강조하는 DBAE의 문제점을 논하였다. 다음으로는 인류학, 사회학, 페미니즘을 도입하여 미술교육의 간학문적 연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대중문화와 현대미술을 포함하는 시각문화로서의 미술교육의 견지에서 간학문적 연구는 시각적 상징으로서의 문화, 사회 현상의 연결, 나아가 현대 사회의 문제 의식과 이미지와 문화현상에 관한 비평적 관점을 기를 수 있다. There are growing needs for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art education. With the globalization, postmodernism, visual culture study, and other educational initiatives, the notion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s motivating art educators to reconsider current educational practice.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cepts and ways of interdisciplinary art education toward pedagogical practices. Then the author discussed the problems of teacher-oriented practice including Feldman's model and DBAE(Discipline Based Art Education). This study provides the framework for interdisciplinary study on art education with the perspectives of anthropology, sociology, and feminism. This article explores the expanding realms of visual culture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with the notion of visual symbol in everyday lives. It is significant for students to have critical thinking within integrated art education curriculum.

      • KCI등재

        시각적 사고 전략(VTS)의 효과와 교육적 활용방안 연구

        손지현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2 Global Creative Leader Vol.12 No.3

        Visual thinking strategies(VTS), which develops visual thinking skills through observing and discussing art, is an art appreciation education program created by Philip Yenawine and Abigail Housen in the 1990s. This study examines Vygotsky's social constructivism as a theoretical basis and educational method of VTS. The effects of VTS; were reviewed through appreciation education, critical thinking and transfer, and communication. Whereas the existing art appreciation education focused on information delivery and interpretation of works, VTS shared the meaning of works through constructive dialogue based on observations and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he viewers. There are three suggested ways to use VTS in education. First, through the discussion of VTS, artistic growth is possible that expands from artworks to images of various themes. Second, combining VTS and applying it to various subjects makes convergence education possible. By dealing with various images and linguistic texts as themes, creative inquiry centering on appreciation becomes possible. Third, educators can learn by participating in discussions and reflecting on their practice.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hrough the growth of a community of practice by developing professionalism together with teachers through discussion and reflecting on their implementation for schools and by participating in workshops. 현대 사회는 시각 이미지로 소통됨으로써, 시각적 사고력이 중요한 시대이다. 미술작품 감상을 통해 시각적 사고력을 기르고자 하는 VTS(Visual thinking strategies)는 1990년대 Philip Yenawine과 Abigail Housen이 개발한 미술감상교육 프로그램으로, 미국을 비롯한 많은 나라에서 활용되고 있는 교육 방법이다. 본고는 VTS의 개발 배경과 교육 방법을 고찰하고, 이론적 기반으로 Vygotsky의 사회적 구성주의를 검토하였다. VTS의 교육적 효과를 감상 교육의 측면, 비판적 사고와 전이의 측면과 의사소통의 측면에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미술 감상 교육이 정보 전달과 작품 해석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VTS는 감상자가 가지고 있는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작품을 충분한 시간 동안 관찰하고 발견한 것을 토대로 자유롭고 개방적인 대화를 통해 작품의 의미를 공동으로 탐구 한다. 이러한 사회적 구성주의적 토의를 통해 VTS의 교육적 활용방안으로 세 가지를 제시해 보았 다. 첫째, 미술작품에서 다양한 주제의 이미지로 확장되는 VTS 토의를 통한 예술적 성장이 가능하 다. 둘째, VTS를 결합하여 다양한 교과에 적용함으로써 융합교육이 가능하다. 다양한 이미지와 언어적 텍스트를 주제로 다룸으로써 감상을 중심으로 한 창의적 탐구가 가능해진다. 셋째, 교사교육을 통한 전문성 실천 방안이다. VTS에서 교사는 토의에 참여하고 실행을 숙고하며 배운다. 교사는 토의 진행기술을 발전시키고, 토의를 수업과 통합하고 워크숍에 참석하면서 다른 교사들과 함께 전문성을 개발하여 실천공동체로 성장할 수 있다.

      • KCI등재

        미술 감상 비평 교육의 교수법 비교 연구

        손지현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3 No.-

        Art criticism is advocated for many reasons, among them that art criticism may act as aids for visual literacy; that art criticism may encourage the exercise of cognitive and affective process for providing systematic approaches for artworks. Although art education literature available on the subject is expansive, it is limited to art criticism model of Feldman in Korea. However, its weaknesses of it as a formalist approach mainly to concern for visual elements and analysis are pointed out. This study addresses review of literature related to art criticism model of Feldman and other models adapting Feldman’s consisting description,analysis,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f artworks. Among the difficulties that might be ascribed to existing approaches is the lack of an explicit foundation upon which to build critical inquiry rather than just implementing talking and writing about artworks. Grounding art criticism upon pertinent field of inquiry, such as aesthetics and perception, could prepare students to defend critical decision and justify positions held, as well as a frame of reference for critical methods. Aesthetic approaches to art criticism methodology could be inquiry by Dewey and others. Phenomenological methods as aesthetic inquiry could be involving five components: receptiveness, orienting, bracketing, interpretive analysis,and synthesis. Geahigan proposes critical inquiry by translating Dewy’s idea on aesthetic experience into classroom instruction rather than art criticism as a procedure. Personal response activities, concept and skill activities, and student research activities are labeled for strategies teachers can employ to stimulate critical reflection. Finally this article addresses implications for Korean art educators to conceptualize art criticism pedagogy based on art criticism and education and to implement into classroom practice. 본 연구는 펠드먼의 미술 비평 모델을 비롯한 ‘단계’로서의 비평 교수법과 ‘탐구’로서의 미술 비평 교수법을 검토하고자 한다. 미술 비평의 기초인 기술, 해석, 평가의 요소들이 교수학습 상황에서 다양하게 적용된 연구들을 비교해 본다. 나아가 교실에서 수행되는 미술 비평 수업이 언어적 학습 활동으로 단순화되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듀이와일련의 미학적 접근을 기초로 지각과 사고력 중심의 탐구로 보는 관점들을 살펴본다. 이를 토대로 우리의 미술 비평 교수법 개발과 실천으로 연계되기 위한 고려해야 할 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미술교육에서 실행연구의 방향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손지현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5 미술교육연구논총 Vol.40 No.-

        본 연구는 실행연구의 개념과 역사를 살펴보고, 미술교육에서 실행연구의 특징을반성적 실천을 중심으로 교사교육의 인식론적, 교사전문성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미술교육에서 실행연구가 이루어온 성과를 기능적, 상호협력적, 그리고 비판적 실행연구로 나누어 분류하여 검토하였다. 나아가 미술교육 연구방법론에 예술적 특성을 도입한예술 기반 연구의 동향을 실행연구의 가능성으로 고찰하였다. 예술 창작 및 비평 과정을연구의 관점으로 접근하는 예술 기반 연구방법론으로 예술기반 교육연구(Arts-BasedEducational Research), 아토그래피(A/r/tography), 예술 실행(art practice)에서의 연구를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미술교육에서 실행연구는 첫째 반성적 사고를 중심으로 미술교사 전문성을 추구하는 공동체적 실행연구, 둘째 미술작품 제작과 교수활동에서 아이디어와 개념의 시각화를 통한 예술적 인식론, 셋째로 미술교사의 자아반영적내러티브 탐구로 예술가, 교사, 연구자로서의 다중적 정체성 추구로서 연구방법론을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 has been a recent development of action research in art educationdiscourses. The growing interests in action research manifest the increasedsocial demands for teaching art as professionalism. The study investigatesthe concrete ways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rt teachers in schoolreform movement. Cases of research purposes, the position of teacher asresearchers in the field and methodology are reported focusing on reflectivethinking as the key development and the strategies of action research. Inaddition, research methodology has broaden and diversified the concept ofwho art teachers are and how they become art teachers in qualitativeresearch paradigm. Art education researchers responded to these changingdemands and the search for adequate methods result in the new developmentof new research practice such as arts-based educational research, A/r/tographyas practice based research, and research acts in art practice. The authorsuggests new approaches to adapt arts-based educational research for actionresearch in art education. First, utilizing reflective thinking could help artteachers discover beliefs, knowledge, and ways of implementing theories andtheir teaching practice with collaboration with art educators in universities. Second, visualizing ideas and concepts of art teaching could support artisticinquiry process in methodology of arts-based educational research. Third,self-reflective narrative inquiry of art teachers as action researchers andartists could enhance the perspectives on art education field.

      • KCI등재

        다문화 미술교육의 접근 방안 연구

        손지현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1 No.-

        Multicultrualism is advocated by scholars and educators in most school subjects. Especially, Korea is turning to multicultural society in terms of demographic changes due to increasing international marriages and globalization. There are growing need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art classrooms. To provide educational tools for multicultural art, art textbooks should be a significant role for students and teachers. This study addresses review of literature related to multiculturlism and multicultural art education. 9 kinds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s and National Art Curriculums are analyzed. The researcher introduces the numbers of European and non-European artworks, the numbers of male artists and female artists for cultural diversity in middle school art textbooks. The study shows the growing numbers of artworks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but the textbooks need alternative approaches to making and interpreting artworks instead of the dominant European and male-artist perspectives. To help teachers develop multicutlrual art class, the author suggests that socio-anthropologist and social reconstructionist perspectives for pedagocial approaches to art education need to be implemented for teaching. It is critical that we need to shift the emphasis from the formal elements and principles of design to an investigation of the artists', ethnic, social, political, and artistic cultural roles and memberships. Therefore art educators should help our students to look at artworks and popular culture from diverse perspectives by recognizing our own assumptions and stereotypes of others.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미술교육의 실현을 위한 방안으로 미술과 교육과정과 현재 출판된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다문화 교육 관련 내용을 검토하여 미술과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학습 방법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다문화 미술교육의 이론과 교육과정의 접근 방안을 살펴보고 미술 교과서를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2007년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 교과서에 비해 다문화 관련 교육내용이 확대되었으나 서구권의 작품이 더 많으며 여성 작가의 작품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좀더 다양한 문화권의 작품선정과 아울러 문화적 편견감소와 협력을 추구하는 내용을 교과서에서 체계적으로 제시해줄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다문화 교육에서 제시하는 교육과정 접근방식의 개선과 다문화 미술교육 관련 연구에서 제시하는 인류학적, 사회재건주의적 접근 방식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의 실천방안으로 미술 작품을 통한 문화적․미적 다원성의 학습과 비판적 사고력 신장, 삶과 통합된 미술과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뇌졸중 환자들의 무기질 (칼륨, 마그네슘, 칼슘) 섭취와 식사의 질 및 대뇌 죽상경화증과의 상관성 연구

        손지현,최한샘,황지윤,송태진,장윤경,김용재,김유리 한국영양학회 2015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8 No.2

        뇌졸중은 국내 3대 사인 중 하나로 칼륨과 마그네슘, 칼슘의 섭취량이 뇌졸중 발병 및 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지만 연구 결과가 아직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뇌졸중 환자들에 있어 영양 상태는증상의 정도와 합병증 및 예후를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국내 뇌졸중 환자들의 DQI-I를이용한 식사의 질 평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85명의 뇌졸중 환자들의 칼륨과 마그네슘, 칼슘의 섭취량에 따라 4분위로 나누어 섭취량이가장 적은 Q1 그룹과 섭취량이 가장 많은 Q4 그룹의 식사의 질을 평가 비교하였고, 칼륨과 마그네슘, 칼슘의 섭취량과 대뇌 죽상경화증과의 상관성에 대해 분석하여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의 신체계측 및 생화학적 검사결과는 칼륨과 마그네슘, 칼슘의 섭취량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연령이 낮을수록 마그네슘의 섭취가 유의적으로 높았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칼륨의 섭취가 많았다. 그리고칼륨의 섭취가 많을수록 심방세동의 분포가 적었으며, 마그네슘의 섭취가 많을수록 대뇌 죽상경화증의 분포가 적음을 확인하였다. 2) 대상자들의 칼륨과 마그네슘, 칼슘의 섭취량과 한국인 영양섭취 기준28을 비교한 결과, Q1에서의 섭취 비율이Q4에서의 섭취 비율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특히 마그네슘의 경우, Q1 그룹과 Q4 그룹 모두 권장섭취량에 비해 부족하게 섭취하고 있었다. 그리고 식품군별 섭취량과 영양소별 섭취량 비교 결과, Q1 그룹의 평균 섭취량보다 Q4 그룹의 평균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많았다. 3) 대상자들의 식사의 질을 비교한 결과, 칼륨과 마그네슘, 칼슘의 섭취량이 많을수록 INQ와 MAR, 총 DQI-I의 점수가 높아 식사의 질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4) 대상자들의 칼륨과 마그네슘, 칼슘의 섭취량과 대뇌죽상경화증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마그네슘의 경우 보정을 하지 않았을 경우와나이, 성별, 교육수준, 흡연량, 심방세동의 유무, 총열량 섭취량을 보정한 경우, 섭취량이 많을수록 대뇌 죽상경화증의 발생률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칼륨과 마그네슘, 칼슘의 섭취량이 많을수록 전반적인 식사의 질이 좋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마그네슘의 경우 섭취량이 높을수록 대뇌 죽상경화증의 발생률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DQI-I의 절제성 항목과 균형성 항목에서 칼륨과 마그네슘, 칼슘의 섭취량이 많을수록 점수가 낮아진 점과 대뇌 죽상경화증 발생과의 유의적인 관계가 충분하지 않았던 결과를 보아 제한점들을보완하고 대상자수를 충분히 확보하여 지속적인 연구를수행한다면 환자 개인적 차원뿐만 아니라 국가적 보건 차원으로 뇌졸중의 합병증 감소 및 예방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intakes of potassium, magnesium, and calcium and diet quality in ischemic stroke patient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285 subjects recruited from February 2011 to August 2014 in Seoul, Korea. Nutrition intakes were obtained from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composed of 111 food item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by quartiles according to intakes of potassium, magnesium, and calcium.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Mean Adequacy Ratio (MAR), and DQI-International (DQI-I) were analyzed for assessment of diet quality. Results: We found a positive association of intakes of these three minerals with MAR and DQI-I after adjustment for age, sex, education level, smoking, atrial fibrillation, and total energy intake. However, total moderation of DQI-I score in the Q4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Q1 group. The age, sex, education level, and smoking, atrial fibrillation, and total energy intake-adjusted odds ratios of extensive cerebral atherosclerosis were inversely associated with intake of magnesium (Ptrend = 0.0204). However, this association did not exist with intakes of potassium and calcium. Conclusion: Potassium, magnesium, and calcium rich and high quality diet could be associated with decreased risk of ischemic stroke, in part, via effect on extensive cerebral atherosclerosis.

      • KCI등재

        자크 라캉 정신분석학의 미술교육적 함의

        손지현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7 미술교육연구논총 Vol.48 No.-

        본고는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이론을 적용하여 미술교육에서 학생의 정체성을 무의식과 정서적 영역으로 확장하여 시각적 경험과 학생의 자기이해를 탐구하고자 하는 기초연구이다. 라캉은 이미지를 보는 경험을 통해 자아의 의식이 생긴다는 거울단계를 비롯하여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의 정신세계의 구성요소를 기초로 주체성의 형성을 설명한다. 학생의 교육적 주체로서의 성장과 욕망 이론은 오늘날 우리가 경험하는 자아와 타자의 관계성과 자기성찰성에 대한 역동적 관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고는 라캉의 이론을 도입하여 환상을 통한 무의식의 세계와 응시의 문제를 미술작품을 통해 고찰한다. 본고는 언어적 상징체계의 한계를 설명한 라캉의 관점에 기초하여 학생들의 미술 창작 활동에서 주체 형성과 의미 만들기로서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미술 활동은 학생들이 현대 사회에서 겪는 욕망, 분열과 소외의 관계 속에서 자신을 주체로서 인식할 수 있는 교육적 성장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explore visual experience and student 's self - understanding by applying Jacques Lacan' s psychoanalytical theory to extend student 's identity to unconscious and emotional areas in art education. Lacan explains the formation of subjectivity based on the mirror stage that consciousness of self is created through experience of image, and the components of imaginary system, symbolic system, and spiritual world of real world. The growth and desire theory as a student 's educational subject provides a dynamic view of the relationship and self - reflection of the self and others we experience today. Through this process, I introduce Lacan 's theory and examine the problem of the unconscious world and the gazing through fantasy from the visual through art works. This article suggests the possibility of subject formation and meaning-making in students' artistic activities based on Lacan's point of view that explains the limitations of the linguistic symbol system. Art making can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for educational growth to recognize themselves as a subject in the relationship of desire, division and alienation that students experience in contemporary society.

      • KCI등재

        과학에 대한 인식 및 학교 밖 경험이 중학생의 과학 진로 희망에 미치는 영향

        손지현,송영욱,최혁준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科學敎育硏究誌 Vol.4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nder, science achievement, perceptions of science, and out-of-school experi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career aspiration. We conduced a survey on 181 middle school students and investigat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science and out-of-school experience according to science career aspiration, and derived the eight variables from survey items based 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we conducte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at explains the effects of eight derived variables, gender, and science achievement on science career aspiration.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only two factors such as 'interest and preference for science learning' and 'use of everyday tools' were significant to explain science career aspiration. It has thus been found that it is important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in and preferences for science learning and use of tools in everyday life in order to increase their science career aspiration.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성별, 과학 성적, 과학에 대한 인식, 학교 밖 경험이 과학 진로 희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181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과학 진로 희망 여부에 따라 과학에 대한 인식과 학교 밖 경험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고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도출한 8개의 변인과 성별, 과학 성적 등이 과학 관련 진로 희망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선호’와 ‘일상 도구 사용’ 변인만이 과학 진로 희망 여부를 유의미하게 설명할 수 있는 설명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과학 진로를 희망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선호를 높이고 일상생활에서 도구를 사용하는 경험을 늘리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우 암소와 씨수소의 도체형질을 이용한 유전적 개량량 추정

        손지현,구양모,정용호,김정일,차대협,김성진,최태정,박미나,이득환,이지홍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5 No.3

        This study was estimated annual genetic gains by using EBV of Hanwoo cow and sire, and the level of improvement of the current Hanwoo population group was identified and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future direction of Hanwoo improvement. For this study, 970,567 animals of slaughtered data in Korea Institute for Animal Products Quality Evaluation (KAPE) from Hanwoo farm No. 4,040 were selected as samples taken 10 times and animals raised and slaughtered in Hanwoo Farm from 2009 to 2019. The Korea Animal Improvement Association (KAIA) selected steers registered as pedigree to missing and abnormal values, excluded records other than 27 to 32 months of slaughter age from the analysis, and used 1,391,141 animals data for analysis. For the analysis of data, the carcass weight (CW), eye muscle area (EMA), backfat thickness (BF) and marbl ing score (MS) were used. As a resul t of the estimation, the regression coefficients for improvement trends of CW, EMA, BF, and MS averaged 0.44㎏, 0.197㎠, -0.051㎜, and 0.034 points per year in Data 1, and 0.35㎏, 0.22㎠, 0.06㎜, and 0.04 points in Data 2, respectively. In Data 2, the improvement trend of sire was 1.54㎏, 0.343㎠, -0.045㎜, and 0.050, while the cow and sire were 1.19㎏, 0.119㎠, -0.014㎜, and 0.010 points. The standard deviation of estimated breeding values was used to estimate genetic gain, and the selection strength of the cows was calculated from the progeny steer carcass trait data and frequency and ratio of the cow reported. The selection period of Hanwoo cows was divided into those based on before 3 parity and those based on after 4 parity, and the selection intensity was applied. As a result, the genetic gain per generation was 5.04㎏, 1.31㎠, 0.71㎜, 0.32 score, respectively, in CW, EMA, BF and MS when the cow was selected before the 3 parity. Annual genetic gain of cows above 4 parity were found to be 2.67㎏, 0.70㎠, 0.38㎜, 0.17 score, respectively, in CW, EMA, BF, M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believed that a breeding plan will be needed to estimate the exact breeding values in the current Hanwoo cow group and to increase the genetic gain. 본 연구에서는 한우 암소와 씨수소의 육종가를 기반으로 연도별 유전적 개량량을 추정하여 현재 한우 축군의 개량 정도를 파악하여향후 한우 개량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한우농가 4,040호에서 축산물품질평가원에도축된 970,567두의 도축자료를 이용하여 10번 반복되어 추출된 표본 자료와 한우농가에서 2009년부터 2019년까지 사육되고 도축된개체 중에서 한국종축개량협회에 혈통등록 되어 있는 거세우를 선별하여 결측치 및 이상치를 제거하고 도축월령이 27~32개월 이외의 기록은분석에서 제외한 후, 1,391,141두의 도체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이용된 형질은 도체중(Carcass Weight, CW), 등심단면적(Eye Muscle Area, EMA), 등지방두께(Backfat Thickness, BF) 및 근내지방도(Marbling Score, MS)의 4개 형질을 고려하였다. Random Sampling 10 반복되어 추출된 Data 1의 도체중,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및 근내지방도의 개량추세에 대한 회귀계수는 매년 평균 0.44㎏, 0.197㎠, -0.051㎜ 및 0.034점으로 나타났으며, 도축성적을 보유한 전체 개체의 자료로 구성된 Data 2에서는 각각 0.35㎏, 0.22㎠, 0.06㎜ 및 0.04점의개량추세를 보였다. Data 2에서 씨수소의 개량추세는 1.54㎏, 0.343㎠, -0.045㎜ 및 0.050점의 추세를 보였으며 암소와 씨수소 간에는1.19㎏, 0.119㎠, -0.014㎜ 및 0.010점의 차이를 보였다. 유전적 개량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육종가의 표준편차를 이용하였으며, 암소의선발강도는 본 연구에서 보고한 암소의 후대 거세우 기록 빈도 및 비율을 통해 계산하였다. 한우 암소의 선발 시기를 3산차 이전을 기준으로하는 것과 4산차 이후를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나눠서 선발강도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 암소의 선발 시기를 3산차 이전으로 했을 때세대당 유전적 개량량은 도체중,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및 근내지방도에서 각각 5.04㎏, 1.31㎠, 0.71㎜ 및 0.32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한우 암소집단에서 정확한 육종가를 추정하고, 유전적 개량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후대의 기록을 높이기 위한 육종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