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업용 서보모터의 통계적 가설검정을 이용한 모수 추정

        백주(Baek-Ju Sung),이성규(Sung-kyu Lee),무성(Mu-Seong Chang),김도식(Do-Sik Kim) 한국신뢰성학회 2019 신뢰성응용연구 Vol.19 No.2

        Purpose: In recent years, the drone industry has emergedas a future growth engine. Servomotor malfunction is one of the causes of falls during drone flight. In this paper, we address the causes of servomotor failure and verify the reliability of commercially available drones. Methods: The software application Minitab (Minitab, LLC) was used to select the lifetime distribution for servomotor life data analysis. The validity of the parameter estimate was verified using the statistical hypothesis test of the data corresponding to each test condition, and the guaranteed life was determined. Results: The shape parameter and the scale parameter of the servomotor were estimated to be 1.49 and 93.574 cycles, respectively, and the servomotor lifespan was estimated to be 117,602 cycles at the lower 95% confidence limit.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product remains reliable for a period shorter than the warranty period. Conclusion: The life tests of servomotors widely used in the industry reveale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s is poorer than expected. In particular, as the demand for drones increases, product reliability will become a very important factor.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manufacturers and users.

      • 냉난방용 밀폐식 팽창탱크의 수명 평가

        백주(Baek-Ju Sung),이성규(Sung-Kyu Lee),박태국(Tea-Kook Park),무성(Mu-Seong Chang) 대한기계학회 2013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3 No.12

        The closed expansion tank is installed in the pipe system which supplies heating and cooling water to the building. It prevents the pipe from corrosion or failure by completely sealing the pipe and stopping the airflow within the pipe. Also, the closed expansion tank gives stability to the piping system and solves the cool-down problems caused by air locking. However, after using the closed expansion tank for a long period, bladder damage appears due to accumulated fatigue and stress from inside of the pipe because of temperature change in the system water. This problem can cause serious piping system failure. In this paper, life test equipment of 2 sets expansion tank was designed through the field condition. And also, the shape parameters and life analysis results of the closed expansion tank which based on the life test data were suggested.

      • KCI등재

        미토콘드리아 Cytb 유전자를 이용한 잔가시고기의 신규 서식지 고령 회천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김강래,성무성,황유진,이명석,정주희,김희수,유정남 한국어류학회 2023 韓國魚類學會誌 Vol.35 No.4

        잔가시고기 Pungitius kaibarae의 신규 집단인 고령 (GR) 집단과 야생 집단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미토콘드리아 cytb 유전자 영역의 886 bp 서열을 이용 총 4개 집단 (경상북도 고령 (회천, GR), 포항 (곡강천, PH), 경산 (오목천, GYSA), 강원도 고성 (배봉천, GS))을 분석하였다. 고령 (GR) 집단에서 가장 낮은 haplotype 다양성을 나타냈고 (Hd=0.000), 고성 (GS) 집단에서 0.755로 가장 높은 haplotype 다양성을 확인하였다. Nucleotide 다양성은 고성 (GS) 집단에서 0.00291로 가장 높은 다양성을 나타냈으며, 고령 (GR) 집단에서 가장 0.00000로 가장 낮은 다양성을 보였다. 유전적 분화도에서 고령 (GR) 집단은 포항 (PH) 집단과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Haplotype 네트워크는 고령 (GR) 집단이 포항 (PH) 집단과 군집되어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 (GR) 집단은 계통발생학적 tree에서 높은지지도 (98%)의 값으로 포항 (PH) 집단과 군집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고령 (GR) 집단은 포항 (PH) 집단과 유사한 집단에서 유래됨을 추정하였다. The 886-bp sequence of the mitochondrial region encoding the cytb gene was used to identify the origin of the Goryeong (GR) population of Pungitius kaibarae and to characterize genetic diversity and structure among wild populations. The GR population showed the lowest haplotype diversity (Hd=0.000), while the highest haplotype diversity was confirmed at 0.755 among the Goseoung (GS) population. Nucleotide diversity ranged was the highest diversity at 0.00291 inthe GS population and the lowest diversity at 0.00000 in the GR population. The GR population was genetically closest to the Pohang (PH) population. The haplotype network confirmed that the GR population was most similar to the PH population. The GR population also clustered with the PH population with high bootstrap support (98%) in a phylogenetic tree. We thus conclude that the GR population is derived from a population similar to the PH population.

      • KCI등재

        국내 남부권역 주요 수계 농수로의 어류 군집 특성

        지성민,성무성,김정훈,박준휘,김현구,안광국,Ji, Sung-Min,Sung, Mu-Sung,Kim, Jeong-Hun,Park, Joon-Hwi,Kim, Hyun-Gu,An, Kwang-Guk 한국환경생물학회 2020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8 No.1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수계 중 만경강, 섬진강, 남해권 수계, 탐진강, 영산강, 동진강과 연결된 농수로 어류의 종 조성과 어류 길드 특성, 군집 특성을 분석하였다. 2017년 9월부터 2018년 8월까지 4회에 걸쳐 현지 조사를 시행한 결과, 어류는 농수로에서 6목 11과 53종 3,633개체가 출현하였고 본류에서 9목 15과 57종 7,108개체가 출현했다. 농수로의 우점종과 아우점종은 칼납자루(Tanakia koreensis)와 납자루(T. lanceolata)로 나타났으며, 납자루아과의 어종이 우점하는 지점이 10지점 중 6지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담수성 이매패류의 서식에 기인한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임실납자루(T. somjinensis)가 섬진강 수계의 농수로에서 출현했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큰줄납자루(Acheilognathus majusculus)와 꺽저기(Coreoperca kawamebari)가 각각 섬진강 수계, 섬진강과 탐진강 수계의 농수로에서 출현했다. 지점별로 어류 길드 분석 결과, 대체로 농수로가 본류보다 낮은 민감종의 비율을 나타냈다. 군집 분석 결과 하상 구조가 복잡하게 나타난 지점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군집을 보였으며, 환경적 변수에 따른 분석 결과 하상 구조가 복잡한 농수로 그룹이 높은 다양도 지수와 낮은 우점도 지수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농수로의 어류 서식 특성을 나타내고, 향후 연구와 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The objective of our study was to analyze the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fish species and their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agricultural waterways in the six water systems-Mankyung River, Seomjin River, Namhae Region, Tamjin River, Yeongsan River, and Dongjin River-during 2017-2018. Little is known about the distributions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the aquatic biota of agricultural waterways in Korea, even if the water bodies have important roles as spawning areas or habitats for fish. In this study, we identified 3,633 fish individuals in the waterways, belonging to 53 species, eleven families, and six orders (dominant species: Tanakia koreensis, T. lanceolate) and 7,108 fish individuals in the main rivers, belonging to 57 species, fifteen families, and nine orders. Moreover, three endangered wildlife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T. somjinensis, Acheilognathus majusculus and Coreoperca kawamebari-were found in the waterways. By fish guild analysis, we found that many waterways had a lower proportion of sensitive species and a higher proportion of omnivore species than those of the main rivers, which indicates a feature of a disturbed environment. In addition, by grouping with environmental variables, we found the group of waterways with high substrate complexity had a higher diversity index (Shannon index) and a lower dominance index (Simpson index) than that of simple substrate complexity. Overall, our study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fish habitats in agricultural waterways and suggests the need to manage them and study further.

      • KCI등재

        한강 지류 달천강에서 발견된 Acheilognathus sp. HR (Cypriniformes: Acheilognathidae)의 분류학적 위치

        김용휘,윤봉한,성무성,방인철 한국어류학회 2022 韓國魚類學會誌 Vol.34 No.4

        한강 지류인 달천에서 발견된 한국산 납자루과 1미기재종 Acheilognathus sp. HR의 분류학적 위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 자계통학적 및 형태학적 특성을 선행 연구와 비교 분석하였다. 분자계통학적 분석 결과에서 A. sp. HR은 Acheilognathus tabira의 5개 아종과 동일한 유전적 clade를 형성하면서도 고유한 유전자형을 기반으로 별도의 단계통군을 형성하여 A. tabira의 5개 아종과도 분명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형태학적 분석 결과에서 A. sp. HR은 수컷의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외연부는 볼록하게 둥글고, 각각 회색과 흰색을 띠는 점, 치어의 등지느러미 상에는 흑색 반점이 존재하나 암컷 성어의 등지느러미 상에는 흑색 반점이 존재하지 않는 점, 등지느러미 분기 연조 수가 12~13개로 그 범위가 중복되지 않을 정도로 많은 점, 입수염 길이가 짧고, 체고가 높은 점 등에서 A. tabira를 구성하는 5개 아종과 잘 구분되었다. 따라서, A. sp. HR은 A. tabira의 5개 아종과 분자계통학적, 형태학적 및 제한적 분포 특성에 의하여 서로 구별되는 별도의 종 수준에 있다고 판단된다. To investigate the taxonomic status of undescribed species Acheilognathus sp. HR from Korean Acheilognathidae discovered from the Dalcheon River, a tributary of the Hangang River, molecular phylogenetic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A. sp. HR formed the same genetic clade as the five subspecies of Acheilognathus tabira, but formed a separate monophyletic group based on the unique genotype, showing clear differences. As a result of morphological analyses, the dorsal fin color in males is grayish and the nuptial coloration of the outer edge of the anal fin is white. The outer edges of the dorsal and anal fins are convexly rounded. A black blotch is present on the dorsal fin of the juvenile, but there is a black blotch absent on the dorsal fin of the small adult female. In the counts, the number of branched dorsal rays is 12~13. In the measurements, the length of the barbels is short and the body depth is deep. Therefore, the A. sp. HR of Hangang River is considered at the level of a distinct specie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the five subspecies of A. tabira by molecular phylogenetic, morphological, and limited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First Record of the Japanese Fluvial Sculpin, Cottus pollux (Scorpaeniformes: Cottidae) from Korea

        윤봉한,김용휘,성무성,방인철 한국어류학회 2022 韓國魚類學會誌 Vol.34 No.4

        Two sculpin specimens (79.3~100.8 mm standard length) were collected from the upper reach of Deokdongcheon Stream, a tributary of the Hyeongsangang River, in Korea. They were identified as Cottus pollux by characteristics such as the absence of palatine teeth, 12~13 unbranched pectoral fin rays, pelvic fins without obvious bands or spots, and the absence of a blackish band on the head or anterior part of the body. A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the nuclearITS1 gene and mitochondrial cytb gene indicated that the specimens formed a clade with Japanese C. pollux, supporting the morphological species identification. We propose a new Korean name for the species: “Min-mu-nui-dug-jung-gae”

      • KCI등재

        멸종위기어류 퉁사리의 환경 DNA 분석을 위한 종 특이 마커 개발

        윤봉한,김용휘,성무성,한호섭,한정호,방인철 한국어류학회 2022 韓國魚類學會誌 Vol.34 No.3

        We wanted to develop a real-time PCR assay capable of detecting Liobagrus obesus in environmental DNA (eDNA) extracted from freshwater samples using a pair of species-specific primers and probe for the endangered fish, L. obesus. The species-specific primers and probe wer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between 65 freshwater fish living in the Republic of Korea within the cytochrome b (cytb) gene of mitochondrial DNA. The species-specific primers and probe, in the real-time PCR assay, showed high specificity as only the L. obesus genomic DNA (gDNA) was found to be positive in the specificity verification using 65 species gDNA of freshwater fish in the Republic of Korea. In addition, in the detection limit analysis using the serial dilution concentrations of L. obesus gDNA, it was found that it was possible to detect up to 0.2 pg, showing high sensitivity. Afterwards, using the species-specific primers and probe, real-time PCR assay was performed on freshwater samples obtained from 8 stations in the mid-upper basin of Geum River. As a result, the cytb gene of L. obesus was detected in total 5 stations including all 3 stations where this species was collected at the time of field survey. Therefore, the species-specific primers and probe developed in present study, and the real-time PCR assay using them, can accurately detect the cytb gene of L. obesus from eDNA samples, which can be utilized to monitor the existing habitats of this species and to discover potential new habitats. 멸종위기어류 퉁사리 Liobagrus obesus를 대상으로 종 특이 프라이머 한 쌍과 프로브를 제작하여 하천수 시료에서 추출된 환경 DNA로부터 퉁사리를 검출할 수 있는 실시간 PCR 분석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퉁사리 종 특이 프라이머와 프로 브는 미토콘드리아 DNA의 cytochrome b (cytb) 유전자 영역내에서 국내에 서식하는 65종의 담수어류 간에 단일염기다형성 부위를 고려하여 비교한 후 제작하였다. 실시간 PCR 분석에서 제작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는 국내에 서식하는 65종의 담수어류 gDNA를 이용한 특이성 검증 결과, 퉁사리 gDNA에서만 양성으로 나타나 높은 특이성을 보였다. 퉁사리 gDNA의 연속 희석 농도를 이용한 검출한계 분석에서는 0.2 pg까지 검출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높은 감도를 보였다. 이후, 제작 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를 사용하여 금강 중·상류 유역의 8개 지점에서 확보한 하천수 시료를 대상으로 실시간 PCR 분석을 수행한 결과, 5개 지점에서 퉁사리의 cytb 유전자가 검출되었으며, 해당 검출 지점들은 현장 조사 당시에 퉁사리가 채집된 3개 지점을 모두 포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퉁사리의 종 특이 프라이머와 프로브를 이용한 실시간 PCR 분석 방법은 하천수 채수로 확보한 환경 DNA로부터 퉁사리의 cytb 유전자를 검출할 수 있어 기존 서식지 모니터링과 더불어 잠재적인 신규 서식지 발굴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