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날뫼북춤의 철학적 의미 고찰

        백현순 한국무용연구학회 2011 한국무용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대구지방문화재 제 2호인 날뫼북춤의 유래와 함께 춤사위 연희과정을 짚어보고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철학적 의미를 고찰 해 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이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모신앙의 무속적 의미가 들어 있었다. ‘날뫼’의 지명은 우리나라 상고의 신모신앙에 근원하고 있으며 날뫼북춤은 하늘과 땅, 그리고 인간의 질서 속에서 서로 근원 회귀하여 화합을 이루려는 신모신앙의 무속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둘째, 원융사상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날뫼북춤속의 강강술래는 원을 그리는 원무로 춤을 추는 사람이 출발에서부터 끝으로 연결되어 원으로 귀착되어 지는데 이러한 원은 원융사상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무위자연의 정신을 함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날뫼북춤의 여섯째 마당인 ‘허허굿’에서는 한발을 들고 뛰면서 북을 둥둥 치는데 그 소리와 함께 춤꾼들은 입으로 ‘허허’라는 말을 하는 것이다. 이는 인간내부의 자연적인 자발성으로 허허라는 소리를 내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도가에서는 무위자연이라 부른다. 따라서 허허굿의 ‘허허’라는 춤의 말속에는 북과 하나가 되어 무위자연의 경지에 복귀하려는 삶의 철학이 들어 있다고 보여 진다. 넷째, 날뫼북춤의 일곱째마당은 ‘오방진’이라 하여 동서남북과 중앙을 뜻하는 다섯 방위에 대형을 형성하여 화평과 강녕을 비는 춤판이 추어진다. 이때의 오방은 음양오행사상에 기반하여 우주와 자연의 섭리를 깨우쳐 조화되지 못한 모든 부조화를 상생상극의 원리로 순조롭게 살아가자는 의미의 소원을 담고 있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rigin of Nalmoe Drum Dance, the 2nd Daegu cultural properties, the movement process of the dance, and philosophical implication in the motion; the origin and the process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and books ,depending on literature research. Then,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 of the drum dance is generally discussed, based on Eastern philosophy books, aesthetics and the shaman history of exorcis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some shaman meaning on mother-goddess religion. The area of "Nalmoe" has the root of the Korean ancient religion and the drum dance includes shaman implication of pursuing the harmony, in the providence between nature and human. Second, thought of wonyoong is immanent. Wonyoong can be defined as "overall communication" and Kangkangsullae in the drum dance has the formation of a circle; the circle seems to have thought of wonyoong. Third, there is an idea of "letting be nature". In the "Haha exorcism", the sixth episode of the drum dance, the dancers hit the drum, jump with one foot and say haha, with a laugh. it is called "letting be nature" in Taoism. In other words, the word "haha" in the Haha exorcism appears to have the implication of coming back to "leaving nature as it is". Finally, Obangjin, the 7th episode of the drum dance, has the stage of praying for the peace and well-being, forming some arrays from all directions; through the realization of provision of nature, it involves changing all existing incongruity into the harmonious life.

      • KCI등재

        살풀이춤과 한(恨)의 철학적 해석

        백현순 한국무용연구회 2009 한국무용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한국적 정서로서 살풀이춤의 내용이나 표현에 춤의 특성으로 표상화 되어온 `한(恨)`이 무엇인가를 철학적 관점에서 조명해 보고자 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살풀이춤의 원류라 할 수 있는 굿으로 거슬러 올라가 본 무속 살풀이춤에서는 `한`의 정서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때의 `한`은 비(非) 대상을 향한 감정으로 원한이나 한탄의 의미보다는 춤을 통한 좌절의 회복, 즉 염원이나 소망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현행 살풀이춤에서는 `한`의 정서를 찾아보기 힘들었는데 왜냐하면 오늘날의 살풀이춤에는 종교적 의미나 상징의식이 전혀 없으며 기방 예인들에 의해 갈고 닦여졌던 민속무가 한성준에 의해 독특한 예술작품으로 승화된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한`은 한국문화의 정신적 전통으로 한국인이면 누구에게나 있는 일상적인 정서임을 감안하고 또한 살풀이춤의 음악이 살풀이 장단임을 볼 때 현행 살풀이춤을 출 때에도 `한`의 정서를 표현함이 맞다고 본다. 단지 `한`을 표현할 때 `한`의 부정적인 속성을 살풀이 춤동작을 통한 `삭임`이라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질적인 변화를 이룩해 나감으로써 살풀이춤 속에서의 `한`은 마침내 다른 곳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고유한 속성으로 진취성과 미래지향성을 갖는 긍정의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hans' represented as a character of Sal-pu-ri da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evident that the hans existed in a shaman Sal-pu-ri-dance, dating back to the exorcism; the feeling should be the one for the unspecified individuals and viewed as the recovery of frustration(i.e. wishes or desire) than grudge or regret. Second, it is not easy to discover the emotion in the current Sal-pu-ri dance because of the absence of the religious meanings and symbolic rituals of the dance; folk dances cultivated by some artists became a distinct art work by Han sung Jun. Finally, the hans is said to be the source of Korean culture and can be regarded as Korean's everyday emotion. Considering that the music of Sal-pu-ri dance involves giving vent to the misfortune, the hans should be in the dance. Through the process of the mitigation of the mind, the hans in the dance comes to have the unique future-oriented meaning.

      • KCI등재

        온라인 무용수업 경험 및 무용공연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백현순,김양희 한국무용연구학회 2022 한국무용연구 Vol.40 No.4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online practical classes conducted after COVID-19 on students' perceptions of classes and performance experiences. Methods: Considering the 'appropriateness' and 'sufficiency' of the study, 10 college students from the dance department in downtown Seoul who are expected to honestly state their experiences were selected. These students participated in online classes for at least two years, and the research method was Colaizzi phenomenology. Colaizzi phenomenology is a study that focuses on revealing the empirical nature of a phenomenon through research such as in-dept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stating experiences with research participant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four steps suggested by Kim Bun-Han et al. (1999). Result: The meaning of online class experience was meaninglessness, sympathy, and low motivation. In addition, there were 9 themes such as burden, college life, poor concentration, physical contact, fear, co-workers, distraction, anxiety, and practical skill difference. The meaning composition of the online performance experience was practice room performance, communication, emotion and understanding, audience, comfortable viewing, and lack of sense of presence. Conclusion: In the case of practical subjects, the burden and inconvenience of non-face-to-face online video classes, and the ineffectiveness of education, sympathized with the necessity of field performanc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 19 이후 진행된 온라인 실기수업이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과 공연 경험에 어떠한 심리적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의 ‘적절성’과 ‘충분성’을 고려해 자신의 경험을 솔직하게 진술해 줄 것으로예상되는 서울 시내 소재 대학 무용학과 대학생 10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은 최소 2년정도의 온라인 수업에 참가한 학생들로 연구방법은 Colaizzi현상학을 사용하였다. Colaizzi 현상학은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 및 체험을 진술하는 질문지 등의연구를 통해 현상의 경험적 본질을 밝히는데 중점을 둔 연구로 본 연구의 설계는 김분한 외(1999)가 제시하는 4가지 단계를 거쳐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참여자들이 느끼는 온라인 수업경험의 의미구성은 무의미함, 교감, 의욕저하 등 3개로 범주화하였으며 부담감, 대학생활, 집중력저하, 신체접촉, 두려움, 동료, 산만함, 불안감, 실기차이 등 9개의 주제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이 느끼는 온라인 공연경험의 의미구성은공연효과와 대중성 등 2개의 범주로 나누었으며 연습실 공연, 소통, 감동 및 이해, 관객, 편안한 관람, 현장감 부족 등 6개의 주제로 나타났다. 결론: 실기교과의 경우 비대면 온라인 영상 수업의 부담감과 불편함, 그리고 교육의 효과면에서 무익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공연 역시 온라인 공연보다 직접 공연장에서 직접 관객들과 만나는 현장공연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었다.

      • KCI등재

        한국무형문화재 춤 웹사이트 콘텐츠 유형 탐색

        백현순 한국무용연구학회 2019 한국무용연구 Vol.37 No.1

        This study analyzed 8 sites related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order to search contents type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web site in internet based knowledge base society. This finding shows that on the website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 the directory should be classified with a view to searching for dance, according to its forms and characteristics. The website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as to be modified so that relevant material can be built up, depending on the type of dance. The website of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does not cover dance information of south Korean cities and provinces and five northern Korean provinces, so the dance needed to be categorized. For on the website of the encyclopedia of Korean local culture, dance information by different criteria based on region has been offered. For each dance, dissimilar authors are involved, leading to inconsistency of dance content. The website of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need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have insight into diverse dance. In case of the website of encyclopedia of Korean folklore, som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which has to be included in the dance division is found in the improper area, which reveals that division of dance should be systematized. On the website of encyclopedia of Korean traditional festivals, definition of traditional festivals ought be reestablished and in-depth aesthetic discussion is to be carried out. The website of culture content has to deal with whole knowledge of one dance. 본 연구는 인터넷이라는 지식기반 사회에서 무형문화재 춤 웹사이트 콘텐츠 유형을 탐색하기 위하여 무형문화재 관련 8개의 사이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가문화유산 포털 웹사이트에서는 춤의 유형 혹은 춤이 가진 속성에 따라 춤을 검색할 수 있도록 디렉토리를 세분화 함이 좋겠고, 문화재청 웹사이트는 춤 관련 정보가 총체적 혹은 유형별로 검색되지 않으므로 종목에 따라 자료가 구축될 수 있도록 최적화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국립무형유산원의 웹사이트에서는 시·도무형문화재와 이북5도 무형문화재 춤 정보가 전혀 탐색되지 않으므로 이들 춤도 유형화하여 무용, 놀이, 의식 등에 포함되어 있는 춤 콘텐츠를 총체적으로 콘텐츠화 하여야 한다. 향토문화전자대전의 웹사이트는 지역별로 다른 기준에 의해 춤 정보가 제공되고 있으며, 또한 각 춤별로 집필자들이 서로 달라 춤 내용에 따른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이를 고르게 서술함이 좋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웹사이트는 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어려운 것이 단점이므로 이를 보완하여 춤을 다양하게 통찰을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여야 한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웹사이트는 무용에 포함되어야 할 국가무형문화재가 다른 분야에 속해 있는 오류가 있으므로 이를 바로 잡아 춤의 분류체계를 구분할 필요가 있으며, 한국전통연희사전 웹사이트는 무용학적 측면에서 전통연희의 개념을 새롭게 정리하여 분류체계를 확립하고, 미학적 측면의 논의를 따로 분류하여 층차적으로 콘텐츠화 하는 것이 좋겠으며, 문화콘텐츠닷컴 웹사이트는 한가지의 춤을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내용을 정리함이 좋겠다는 생각이다.

      • KCI등재

        한국무형문화재 춤 웹사이트 구축을 위한 CMS 및 화면 레이아웃(layout) 구현

        백현순,김양희 한국무용연구학회 2019 한국무용연구 Vol.3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subsequent researchers by implementing CMS and website screen layout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nce website. Therefore, we have effectively implemented the layout to search the information of Kore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n each page of CMS and website and to confirm the location and function of the menu.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CMS, a data page for data manager, consists of main page, registration and modification of dance content DB, detailed search and deletion of dance content, and registration and deletion of media content. In addition, the search box, index by list, tags, etc., can be used to search for various dance items. Second, the website screen, which is a data page for data users, consists of menus of 'Map Dance Search', 'Text Dance Search', 'Media', and 'Introduction of Research'. In addition, the search for dance items was search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region, designation period, tag, media, etc. of Kore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ttached. 본 연구는 한국무형문화재 춤 웹사이트 개발을 위하여 CMS와 웹사이트 화면 레이아웃을 구현함으로써 후속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CMS와 웹사이트 각각의 페이지에서 한국무형문화재 춤 정보를 탐색하고, 메뉴의 위치 및 기능을 확인할 수 있는 배치도를 효과적으로 구현하였다. 이에 따라 첫째, 데이터 관리자용 웹페이지인 CMS에서는 크게 메인 페이지, 춤 콘텐츠 DB 등록 및 수정, 춤 콘텐츠 상세조회 및 삭제, 미디어 콘텐츠 등록 및 삭제 기능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검색창, 목록별 색인, 태그 등을 통해 춤 종목을 다양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데이터 사용자용 웹페이지인 웹사이트 화면에서는 크게 ‘지도 춤 검색’, ‘텍스트 춤 검색’, ‘미디어’, ‘연구 소개’의 메뉴로 구성되었다. 춤 종목 검색은 한국무형문화재 춤의 분류, 지역, 지정시기, 태그, 미디어 등에 따라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고, 후속 연구의 촉발을 위해 웹사이트가 구축되기까지의 연구 성과와 연구원들에 대한 정보 메뉴를 첨부하였다.

      • KCI등재

        東海 別神굿춤 硏究 : 宋 東淑氏를 중심으로

        白鉉順 大韓舞踊學會 1986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8 No.-

        Mudang Dancing of the Easters Coast, a special Mudang Dancing Ritual of a village co-operation has a great deal of popularity with entertainment , is held by uncommon heritage dancing groups, and has more shaman songs than another Mludang Dancing ritual. This study describes an unique function and aspect of Byeolshin Gud, studies the names and terms of Dancing movement and is going to understand our traditional Dudang Dancing righ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our traditional spirit of art by analysing the theolgical psycholosical and artical functions that have Mudang Dancing of Byeolshin Gud. Thus, the result of this examination and study is as follows. 1) Impression and power of persuasion to audiance are more strong than another Dancing . Because the procedure of sacrificial rite of Byeolshin Gud consists of human being's ardent passion longing for abundance in fishes and health. 2) The characteristics of procedure of sacrificial rite are as follows . 1. Each shaman song is used by similar Dancing Sawee, has more more variety than another province in sort. 2. Shaman songs are danced with Poonuri in the beginning and with Geomu Dancing in the end. 3. The lines of Mudang Dancing are beautiful delicabe and calm. 4. Graceful Monk Dancing and Bara Dancing are danced in See Jon Gud and dramatic Mask Dancing is danced in Mask Gud. 3) The result of seeing Byeolshin Gud as the fection of Dancing, Mudang Dancing of Byeolshin Gud has been included in shaman art with shaman songs has affected traditional Dancing (Syeung Mu, Bara Dancing) , traditional Drama (Ha Hoe Mask drama) , and traditional nori thief catching in See Jon Gud.

      • KCI등재

        생활 한국춤과 활인(活人)

        백현순 한국무용연구회 2009 한국무용연구 Vol.27 No.2

        본 논문은 퇴계의 활인심방에 들어있는 `소리에 신비한 힘이 있다`는 `거병연수육자결(去病延壽六字訣)`을 바탕으로 생활 한국춤을 만들고자 한 것이다. 거병연수육자결은 병을 없애고 수명을 연장하는 6가지 소리를 말하는데 이 소리와 함께 한국춤 동작을 만들어 일반인들이 누구나 쉽게 생활무용으로서 한국춤을 출 수 있게 하고자 한 것이다. 즉, 여섯가지 소리와 한국춤이 어울려 사람의 오장육부를 운동시킴으로써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는 생활 한국춤을 개발하고자 한 것이다. 거병연수육자결의 6가지 소리는 휴, 훠, 후, 쓰, 취, 히 로 낸다. <휴>는 간의 기능을 좋게 하고 <훠>는 심장의 기능을 좋게 한다. <후>는 비장의 기능을 좋게 하고 <쓰>는 허파의 기능을 좋게 한다. <취>는 신장의 기능을 좋게 하며 <히>는 삼초를 좋게 한다. 그리고 <하하 호호>등의 소리는 마무리 동작과 함께 즐겁게 활짝 웃음으로서 생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이다. 이상의 퇴계의 건강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춤 동작을 만들어 소리를 내면서 춤을 추는 소리비법춤을 만들어 보았는데 춤동작의 특징은 호흡과 몸의 굴신운동을 통해 천지의 기운이 온 몸에 골고루 퍼지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it possible for the public to have an access to the movement of korean daily dance, based on Kyoebungyounsuyukjakyeol that has the idea that the sound in Toegye`s Hwalinshimbang has a mysterious power. In other words, this paper aims to develop Korean daily dance which helps one`s longevity, by making the five viscera and the six entrails activate, by a mixture of six sounds and Korean dance. Kyoebungyounsuyukjakyeol says that six sounds which cure the illness and extend one`s lives are the secret way to make the five viscera and the six entrails function well; they as Whu(휴), Huhoe(훠), Hoo(후), Thu(쓰), Chui(취), and Hee(히); Whu makes the liver function well, Huhoe does the heart, Hoo does the visceral, Thu does the lungs, Chui does the kidney, and Hee does the chest, the abdomen and abdominal region; The sound such as Haha Hoho is made to lead to happy life with bright smile when the final movement is progressing. Finally, I have created the dance of sound, using the action of Korean dance; it features the universal spirit`s spread over the whole body, by dint of the motion of bending legs.

      • KCI등재

        경상도 지역 덧배기춤의 연행과정과 의미

        백현순 한국무용연구학회 2022 한국무용연구 Vol.40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덧배기춤을 바탕으로 경상도 지역을 내륙지역과 해안지역으로분류하여 그 지역별 덧배기춤에 대한 연행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 속에 내재되어 있는 덧배기춤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덧배기춤의 경계를 송석하의 지역적 구분에 따라 내륙지역과 해안지역으로 구분하여 선행 연구된 연구물과 문헌을 통한 분석연구이다. 결과: 첫째, 안동하회별신굿탈놀이는 탈을 쓰고 노는 놀이로 덧배기의 ‘덧’에 해당되는 내용이 ‘탈’의 의미를 지니며 탈놀이 속에는 마을굿과 제의성이들어있다. 따라서 덧배기춤의 의미는 탈과 탈놀이의 연행목적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밀양백중놀이에서 덧배기춤의 의미는 명칭의 변화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연행과정에 덧배기나 자진 덧배기 장단에 맞춰 덧배기춤을 추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덧배기춤이 허튼춤 계열의 들놀이임을 상기하면 야류가 들놀이이므로 동래야류에서추어지는 춤은 덧배기춤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넷째, 고성오광대는 탈놀이로 덧배기춤이 탈춤이나 들놀이의 허튼춤, 북춤 등에 그 기원이 있듯이 역시 덧배기춤을 추고있다. 다섯째, 덧배기춤은 내륙지역은 마을굿의 의미와 제의문화를 띠고 있으며 해안지역은 들놀음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결론: 덧배기춤의 의미는 탈, 제의, 마을놀이, 들놀이, 탈놀이 등으로 추론할 수 있으며 연행절차는 연행목적에 따라 조금씩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