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밀 삭힌풀의 푸새효과에 관한 연구

        백영미,권영숙 한국전통과학기술학회 1998 한국전통과학기술학회지 Vol.4 No.1

        In other to prove the scientific basis of traditional starch sizes,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starches were studied. When textile materials were starched by traditional procedures using the fermented starch sizes the effects of starching were studied. The following wer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ies: 1. The p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repared starches; 1) Twc types of starch flour, ISF-W (isolated starch flour, white) and ISF-B (isolated starch flour, light brown) were obtained. ISF-IN and ISF-B contain less crude ash and less crude protein than NWF. ISF-B contains more: crude: protein and more crude fat than ISF-V. 2) NWF had a low value for the initial pasting temperature. The peak viscosity of ISF-W was higher than ISF-B and NWF. ISF-B had a high value fox the cold paste viscosity. 3) As a result of microscpe observation, ISF-W showed perfect particles, but NWF showed many damaged particles. 2. The effects of starching; 1) ISF-W hacj the highest value of drape stiffness. 2) ISF-W had a low value of crease resistance. 3) ISF-W and ISF-B hacl high values of tensile strength in cotton but low values in ramie. 4) In tear strength, ISF-W had a low value while ISF-B had a high value. 5) Air Permeability of ISF-W and ISF-B were lower than the non-treated fabrics in cotton and ramie. 6) Whiteness of ISF-W was higher than that of non-treated fabrics. 7) Contamination of ISF-W was lower than that of non-treated fabrics.

      • KCI등재후보

        밀가루의 수침기간이 전분 및 배접용 풀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백영미,조경실,이영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9 보존과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배접용 밀가루 수침 풀의 수침기간에 따른 전분의 구조 및 풀의 접착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 결과이다. 본 연구는 향후 회화문화재의 보존처리용 천연접착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급표구(장황)에 사용하는 밀가루 풀의 수침기간이 2년8개월, 4년8개월, 7년인 세 가지 시료를 준비하여 총당함량, 아밀로오스 함량, 결정화도, 입자의 형태 및 크기, 호화특성, 점도, pH, 박리강도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수침기간이 길어질수록 총당함량, 결정화정도, 최고점도, 최저점도, 최종점도, 강하점도, 및 치반점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아밀로오스 함량, 호화온도,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접착강도는 줄어드는 경향이 있었으나 7년 삭힌 시료의 경우 오히려 박리강도가 증가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전 목달동 출토 여산송씨 출토복식의 세척

        백영미,권영숙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9 보존과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는 대전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초중기의 여산송씨가 출토복식을 보존처리함에 있어 출토복식의 세척처리 현황을 조사하고 본 출토복식의 세척과정을 보고하여 앞으로 출토복식의 세척방안에 대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산송씨 출토복식은 15세기의 남자복식과 16세기중후반의 남녀복식을 비교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출토유물은 모두 184점이 출토되었으며 면, 견, 마, 교직물 등 다양한 직물이 있었다. 여산송씨 출토복식의 세척은 직물의 상태와 오염을 분석한 후 진공흡입에 의한 고형오염을 충분히 제거하고 습식세척과 건식세척방법을 시행하였으며 1, 2차로 진행되었다. 습식세척의 경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LAS)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Triton X-100) 를 사용하였고 건식세척의 경우 n-hexane과 n-decane(4:6) 혼합용제 및 석유계 드라이클리닝용제를 사용하였다. 1차 세척 후 빠지지 않은 얼룩이 있는 면직물이나 마직물의 경우 표백처리를 실시하였으며 견직물 중 상태가 좋은 것은 유기용 제에 의한 건식세척을 재실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섬유문화재 보존에 활용하기 위한 천연보존제로 처리한 직물의 특성연구

        백영미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9 보존과학회지 Vol.25 No.2

        천연보존제는 주로 식물에서 추출된 항균물질로 만들어지며 부패되기 쉬운 식품의 보존제나 천연화장품, 약품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천연화장품의 보존제로 개발되어진 천연보존제를 직물에 처리하여 이것이 섬유문화재 보존에 적용이 가능한지를 탐색하고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천연보존제로 처리한 직물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천연보존제 1%로 처리한 면직물과 견직물에 대해 실험한 결과 색 및 인장강도의 변화가 극히 미약하고 중성 에 가까운 pH를 나타내었으며 우수한 항균성과 항곰팡이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견직물에 피해를 주는 Bacillus cereus에 대해서도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섬유문화재에 적용시키기 위한 예비실험으로 출토직물 편을 천연보존제 1%로 처리한 직물로 싸서 72시간 보관한 후 출토직물편의 미생물 실험결과 미생물의 증식이 확연히 준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천연염색포의 습식세척에 의한 색상변화

        백영미,後藤純子,齊藤昌子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2 보존과학회지 Vol.28 No.1

        조선시대 양반가의 장례시 매장방식은 회곽묘제를 사용하였으며, 그 유물들이 현대에 형태를 유지한 채로 출토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나 그 내부에서 발견되는 섬유유물들은 예전에는 염직물이었을 것으로 예상되나 오랫동안 시즙과 수분에 의해 오염되어 고유의 색상 및 물성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오염은 출토 후에도 계속적으로 유물의 변퇴색 및 열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적합한 세척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습식세척 후 출토염직물의 색변화를 최소화할 적합한 세정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적색계 7종, 청색계 1종, 황색계 6종, 녹색계 4종, 자색계 4종의 천연염색 염색포(견과 면)을 만들어서 이를 돈육과 함께 6개월간 냉장보관한 후 꺼내어 물, 음이온계면활성제(SDS), 비이온계면활성제(TritonX-100), 천연계면활성제(Saponin) 등 4종의 세정액를 이용하여 20℃와 40℃의 온도에서 습식세척하여 염직품들의 색상변화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색상의 변화는 세정온도, 섬유소재, 세정제, 이용한 염료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통밀 삭힌 풀로 푸새한 직물의 경시적 변화

        백영미,권영숙,이영희,Baek, Young-Mee,Kwon, Young-Suk,Lee, Young-Hee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8 보존과학회지 Vol.24 No.-

        본 연구에서는 전통풀의 하나인 밀가루 풀과 통밀 삭힌 풀로 푸새한 직물의 물성을 12년의 시차를 두고 비교 검토하여 경시적 변화를 고찰해 봄으로써 전통풀의 안정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12년 전후의 푸새직물의 비교에서는 통밀 삭힌 풀로 푸새한 직물이 삭히지 않은 밀가루풀로 푸새한 직물보다 인장강도, 백도는 증가하며, 강연성, 공기투과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통밀 삭힌 경우가 삭히지 않은 밀가루보다 탄수화물 함량도 많고 노화 전반에 관한 안정성이 높은데 기인하므로 삭혀서 풀을 만드는 선조들의 지혜가 과학적임을 증명할 수 있었다. 또한 삭히지 않은 밀가루 풀로 푸새한 직물의 경우에는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표면관찰 결과 직물조직 사이에 경화된 이물질이 발견되었으나 통밀을 삭힌 풀로 푸새한 경우는 발견되지 않아 통밀 삭힌 풀에 의한 푸새 직물의 경우가 경시적 변화가 적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ability of traditional starch sizes according to time. The properties of wheat flour and fermented whole-wheat flour were studied. And comparison of stiffness, tensile strength, air permeability, whiteness, and surface observation of cotton fabrics sized with wheat flour and fermented whole-wheat flour before and after 12-years were examined. The amylograph data indicated that ISF-W(Isolated starch flour- white) have good pasting properties than NWF(Natural wheat flour) and ISF-B(Isolated starch flour- light brown). The cotton fabrics sized with ISF-W had higher tensile strength and whiteness, and lower stiffness and air permeability than those of NWF as the time takes 12 years. We identified the stability of traditional starch size using scanning electronic micrograph.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