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탐색 - 중국 대학의 한국어 교사를 중심으로-

        배윤경 천진사범대학교 한국문화연구중심 2016 중한언어문화연구 Vol.11 No.-

        當前, 在韓國語敎學中, 文化敎學受到越來越多的關注。但中國大學的韓國語敎學側重于語言敎學, 却忽略了韓國文化敎學。爲了今后能更好地進行文化敎學, 敎師的專業水平?需提高。本文以敎師學科敎學知識(PCK)理論爲基礎, 進一步探討了韓語敎師在文化敎學中所需的學科敎學知識, 其中包括文化學科知識、文化敎學知識、文化情景知識。敎師學科敎學知識(PCK)理論一般被應用于敎師的敎學評价中。但本文提議將其應用于敎師進行自我評价的自我檢査表中, 爲此, 按照敎學進度, 制定了文化敎學的自我檢査表。

      • KCI등재

        환경특성을 반영한 잠재계층수단선택모형 개발

        배윤경,정진혁,김형진 한국지역학회 2011 지역연구 Vol.27 No.2

        Many researches about the relationship land use and mode choice has continuously investigated to understand traveler's environment and mode traits. Apart from individual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mode alternatives, traveler's built environment and land use have an important effects on mode choice. In this research,we analyze the impact on mode choice applying built environment and local public transport service level together. This study employed '2006 travel survey' and used Latent Class Choice Model(LCC)for choice model. We segmented classes which were represented mode choice individually using land use and infrastructure level. Latent class represent different land use patterns, therefore, they can be shown mode choice behavior.

      • KCI등재

        잠재계층분석에 따른 수단선택모형비교분석

        배윤경,정진혁,김형진 대한교통학회 2010 대한교통학회지 Vol.28 No.3

        Analyzing mode choice among transportation demand estimate procedures is complicated and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travelers is also difficult. Generally, it is well known that traveler choose mode considering psychometric factors and characteristic besides socio-demographic indicators. Accordingly, many researches has investigated on methodology that can be applied in mode choice to reflect psychometric factor or specific preference. Latent Class Analysis among various studies is recognized as the theoretically potential approach. This study focuses on class segmented using latent class cluster to analyze impact that included psychometric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n mode choice. It also provides evidence that mode choice model for each class and mode choice model not considering latent class are different. This study based on citizen's stated preference and revealed preference on a new transit on the Han river shows that latent class cluster analysis is the potential approach considering latent preference. 교통수요예측 과정 중 수단선택과정은 적용시 매우 복잡하여, 선택자의 특성을 이해하기도 매우 까다로운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수단 선택시 선택자의 사회경제적인 요소 외에도 심리적인 요인이나 특성들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심리적인 요인이나 특정한 선호도를 선택모형 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 중에서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는 이론적으로 매우 가능성이 있는 접근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인 요인과 특성들이 수단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cluster analysis)을 실시하여 계층을 분리하였다. 또한, 계층별로 나타나는 수단선택모형과 잠재 계층을 고려하지 않은 수단선택모형을 비교하여 잠재계층의 수단 선택 행태가 각기 다름을 보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강 수상교통도입에 대한 일반 시민의 선호도 조사와 SP자료를 바탕으로 분석되었으며, 잠재계층분석은 잠재 선호를 고려할 수 있는 가능성 높은 접근임을 보였다.

      • KCI등재

        The Significance of SDF-1α-CXCR4 Axis in in vivo Angiogenic Ability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Stem Cells

        배윤경,김지혜,이재천,서병무,주경민,이진,남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2017 Molecules and cells Vol.40 No.6

        Periodontal ligament stem cells (PDLSCs) are multipotent stem cells derived from periodontium and have mesenchymal stem cell (MSC)-like characteristics. Recently, the perivascular region was recognized as the developmental origin of MSCs, which suggests the in vivo angiogenic potential of PDLSC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PDLSCs could be a potential source of perivascular cells, which could contribute to in vivo angiogenesis. PDLSCs exhibited typical MSC-lik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expression pattern of surface markers (CD29, CD44, CD73, and CD105)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s (osteogenic and adipogenic differentiation). Moreover, PDLSCs expressed perivascular cell markers such as NG2, α-smooth muscle actin,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β, and CD146. We conducted an in vivo Matrigel plug assay to confirm the in vivo angiogenic potential of PDLSCs. We could not observe significant vessel-like structures with PDLSCs alone or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alone at day 7 after injection. However, when PDLSCs and HUVECs were co-injected, there were vessel-like structures containing red blood cells in the lumens, which suggested that anastomosis occurred between newly formed vessels and host circulatory system. To block the SDF-1α and CXCR4 axis between PDLSCs and HUVECs, AMD3100, a CXCR4 antagonist, was added into the Matrigel plug. After day 3 and day 7 after injec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vessel-like structures. In conclusion, we demonstrated the perivascular characteristics of PDLSCs and their contribution to in vivo angiogenesis, which might imply potential application of PDLSCs into the neovascularization of tissue engineering and vascular dis-eases.

      • KCI등재후보

        약제의 신규등재 절차와 급여기준 관리

        배윤경,유미영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23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JDCR) Vol.11 No.2

        우리나라는 전국민 건강보험을 실시하고 있으며,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질병, 부상, 출산 등에 대한 진찰, 검사, 약제, 치료재료 등의 요양급여를 적용하고 있다[1]. 신약 등 의약품의 건강보험 급여는 임상적으로 유용하면서 비용효과적인 약제를 선별하여 등재하는 선별등재제도(positive list)를 운영하고 있으며, 2023년 7월 기준 약 2만 3천여 개의 의약품이 급여되고 있다. 급여되는 의약품의 목록 및 약가는 보건복지부 고시(급여목록 및 급여상한금액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급여기준은 항암제가 아닌 약제(일반약제)는 보건복지부 고시로, 항암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장(심평원장) 공고로 정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의약품 급여와 관련된 제도를 설명하고, 약제의 신규등재 절차와 급여기준 관리에 대한 소개를 통해 약제의 건강보험 급여 절차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隋·唐代 禮樂 속 樂의 인식 변화

        裵允暻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8 동국사학 Vol.64 No.-

        예악은 수당시대를 기점으로 큰 변곡점을 가진다. 樂이 예악에 부속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음악 자체로 전문 영역으로 인식되고, 실질적으로 사용되었다고 보는 관점이다. 이는 隋·唐代에 다양한 음악이 공급되어 인식 전환의 배경을 마련했다고 보았다. 즉 隋·唐代에는 다양한 민족의 음악들이 들어오게 되고, 이를 받아들이는 황제의 인식이 이전과 달라졌다고 보았다. 이러한 변화는 예악 속에 부속된 관념적 음악이 아닌 음악 자체의 독립적 인식을 의미한다. 황제가 음악을 음악 자체로서 즐기고 향유하는 변화를 가져왔다고 보았다. 이러한 음악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예제와 악제의 분리로 나타났다. 이는 악제의 쇠퇴를 의미하지 않는다. 隋·唐代는 어느 시대보다 음악이 발달한 시기이다. 음악이라는 예술 분야로서의 독립적 행보를 보인 것으로 음악 자체로 발전한 시기를 말한다. 隋·唐代는 다양한 음악, 서역 음악인 호악을 비롯하여, 민간에서 전래된 음악, 그리고 종교 음악이 다양하게 공급되는 시기이다. 이러한 공급은 隋·唐代 황제들의 취향이라는 수요와 만나서 커다란 시너지를 발휘한다. 즉 음악에 대한 인식이 변하면서 음악이 예악적이고, 정치적 기능이 아닌 실제 감정을 표현하고 예술로서의 음악으로 향유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인식은 隋·唐代 비약적으로 발전한 음악 전문 서적의 저술로 이어지고, 실제로 다양한 국가의 다양한 악곡, 악무, 음악 연출로 나타나게 된다. 예는 고정적인 개념이고 그것을 지키는데 의의가 있다면, 음악은 인간의 감정을 기본으로 삼기에 그것을 고정적으로 묶어 둔다는 것은 처음부터 불가능했을지도 모른다. 수당시대는 예악 속 음악에 대한 인식의 전환으로 역사상 음악이 가장 발달하고 관념 속의 음악이 아닌 실제적 음악이 존재했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The rites and music changed greatly in the Sui and Tang Dynasties. The rites and music are independent from the ritual and music to the professional field. The emperor enjoyed the music, and the change began. This sentence separates the system of courtesy and music. This does not mean the decline of music. The Sui and Tang Dynasties are more developed than ever. Music is developed independently in the field of art. Sui and Tang Dynasties are Huyue, religious music and other performances are endless. Many kinds of music ar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ests of the Sui and Tang Dynasties. The understanding of music has changed. Music is no longer a political function. Having the function of music itself. This book inherits the works of the music books of the Communist Youth League.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kinds of music, music and dance, music performances. Courtesy is a fixed concept. It has the meaning of protecting it. But music may be based on human feelings, and it is bound to be impossible to bind it together. In the Sui and Tang Dynasties, the understanding of ritual music changed. So, music is the most developed in history. This period of time is not the music from the concept, but the period when the real music exi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