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노동자’라는 새로운 범주설정의 필요성 : 다큐멘터리 영화 <외박>을 중심으로

        배상미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4 여성학논집 Vol.31 No.1

        This thesis discussed the status of women workers as wage laborers and home laborers and the valid of a documentary movie for representing women laborers through a documentary movie, Weabak that revolved around Home-ever occupation strike leaded E-Land labor union at 30th June, 2007. Jobs for women labors got covered by the flow of flexibility with the policy of labor flexibility in South Korea during 1990s. The reasons that justify this trend are their position in the households, and their roles in working places are not very important because there are not required difficult skills. The mass dismissal which caused the E-Land strike also shared these ideologies. In Weabak, since women laborers were always expected to care for their family, they were need strikes in their home as well as their working place. However, a household is a basement for them to get the identity as a women laborer. It has two ambivalent meanings, as a protected area and disorder for them to pursue their life at the same time. Identity of Women laborers, domestic laborers as well as wage laborers, are very difficult to identify as a general noun, a laborer. Weabak is an important example to show us the possibility of a documentary as searching new realism for representing women laborers' story using their own perspective. 이 논문은 2007년 6월 30일에 발생했던 이랜드 노동조합의 상암 홈에버 매장 점거파업투쟁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외박>을 대상으로 이 영화에 재현된 여성노동자 형상을 통해 임금노동자이자 가사노동자이기도 한 ‘여성노동자’의 위상을 가늠해보고, 다큐멘터리라는 재현양식이 여성노동자 재현에 효과적인 측면을 논의하고자 했다. 1990년대 노동유연화 정책이 본격화되면서, 여성노동자들의 일자리가 우선적으로 유연화의 경향에 휩싸이게 되었다. 여성들은 본래 일터가 아닌 가정 안에 있어야 한다는 이데올로기와, 여성노동자들의 주요 직종은 숙련직이 아닌 비숙련직이므로 업무의 중요성이 낮다는 선입견은 이 경향을 정당화하는 근거였다. 이랜드 파업을 야기한 여성 비정규직의 대량해고 사태에도 이러한 선입견이 작용했었다. <외박>은 투쟁과정에서 ‘여성노동자’ 이기에 받는 차별과 파업현장에서도 끊임없이 엄마와 아내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그녀들의 고충을 통해 여성노동자들의 진정한 파업은 일터에서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의 파업이 수반되어야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가정은 여성노동자의 활동을 방해하는 대상이기도 하지만 여성노동자라는 정체성을 가지게 만든 원인이다. 지켜야 할 대상이자 방해물인 가족의 이중적인 의미는 그녀들이 놓인 삶의 조건인 것이다. 가사노동 전담자이자 임금노동자인 여성노동자들의 위상은 ‘노동자’라는 일반명사로 환원되거나 이론화되기 어려운 특성을 가진다. <외박>은 다큐멘터리라는 장르적 재현이 여성노동자들의 입장에서 그녀들의 계급투쟁을 다시 읽어낼 새로운 리얼리즘을 모색하는 하나의 방법이라는 것을 보여준 중요한 예이다.

      • KCI등재

        교차하는 계층질서가 만들어내는 ‘무지한 스승’의 급진적 서사 :강경애의 『인간문제』

        배상미 한국여성문학학회 2021 여성문학연구 Vol.54 No.-

        This paper examines the form of hierarchy in Kang Kyŏng-Ae’s novel Ingan Munje (Human Predicament, 1934) by following the approach presented in Caroline Levine’s Forms: Whole, Rhythm, Hierarchy, Network (2015).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how the forms of hierarchy works that seek to explain the women within the novels collide with each other, eventually developing into radical politics. Married or pseudo-married women, who have a different social statuses in the village as a wife of a landlord, a concubine of the landlord, and a widow of a servant of the landlord, suffer from similar disadvantages under patriarchal hierarchy; however, the other hierarchy that exists between them prevents them from organizing solidarity. The teenage girls destabilize the class hierarchy between them by using an informal communication style. However, unlike Sŏnbi and Kannani, Okchŏm does not make any solidarity with them to protect her status in Wŏnso. The solidarity between Sŏnbi and Kannani evolves into something that overthrows the previous order. Sŏnbi cultivates her own intellect and reaches a level of intellectual maturity above that of other people in the homogenousclass such as ch’ŏtch’ae. In the end, she suggests a new radical politics that disrupts the dichotomy of class and gender hierarchy. 이 연구는 캐롤라인 레빈의 『형식들: 문학도 사회도 문제는 형식이다』에서 소설에 나타난 형식들로 텍스트를 분석하는 방법 중 특히 계층질서에 주목하여 강경애 장편소설 『인간문제』를 살폈다. 소설 안의 여성 인물들을 설명하는 계층질서 형식들이 서로 충돌하면서 궁극적으로 급진적인 정치로 나아가는 과정은 이 연구가 밝히고자 하는 핵심이었다. 결혼한 여성 혹은 첩들은 공통적으로 가부장적 계층질서에서 열악한 위치에 있지만, 그녀들 사이에 존재하는 다른 계층질서가 그녀들의 연대를 가로막는다. 10대 여성들인 선비, 간난, 옥점이는 비격식체를사용하여 그들 사이의 계층질서를 불확실하게 만든다. 하지만 옥점이는 그녀의 특권을 보장해주는 원소의 계층질서에 천착하여, 기존의 질서를 전복하려는 의도를 가진 선비와 간난이의 연대에 참여하지 못한다. 마지막으로 선비는 스스로 깨우치고 스스로 가르치는 과정을 거쳐 자신이 첫째와 같은 동질적인 계급들보다 더 지적으로 성장하여, 이를 바탕으로 젠더와 자본주의의 계층질서를 방해하는 새로운 급진적 실천으로 나아간다.

      • KCI등재

        행복할 수 없는 그녀들의 목소리를 듣기 - 박완서 소설 속 미군의 아내들

        배상미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9 No.-

        This paper examines how the women who have romantic relationships with GIs cultivate their lives distant from the happiness norm in the society through Sara Ahmed's concept of ‘happiness’ in “A person who met at the Airport” and The Man's House by Park Wansuh. The GI brides in Park's literature confront the prejudice against their career working in a camptown. In addition, the brides chose to immigrate to the U.S. to protect their family members against the stigma against sex workers as well as their family and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policy between the 1950s and the 1980s, which removed interracial children in South Korea by the international adoption. Further, their time living in the U.S. provides them a chance to reflect on their internalized racial hierarchy. The two women decide to choose the new possibilities which do not exist in the script of happiness in society. The third-person narrator's point of view in the literature to describe the GI brides effectively portrays their distinct living ways following as their location of the subaltern. 이 논문은 박완서의 두 소설 「공항에서 만난 사람」(1978)과 『그 남자네 집』(2004)에 등장하는 미군의 아내들을 대상으로 사라 아메드의 ‘행복’론을 통해 사회가 강요하는 행복의 방식을 벗어나서 자신들의 삶의 방식을 개척해나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두 소설의 여성들은 사회가 미군 아내로서의, 혹은 성노동자로서의 그녀들에게 부여한 낙인에 대해 정면으로 맞서거나, 그녀들의 삶을 이해하는 사람을 만나 그 낙인의 무게를 이겨나간다. 또한, 이 여성들이 자신들의 가족들에 대한 애착은 그녀들이 가지고 있던, 그리고 사회에 존재하는 인종차별에 맞서는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이 여성들은 다양한 출신과 인종의 사람들을 가족으로 맞아들이면서 내면화한 인종차별을 지워나가고, 혼합인종 자녀들이 보다 존중받으며 자랄 수 있도록 미국으로의 이민을 결정한다. 이러한 여성들의 삶의 궤적과 방법은 행복 각본과는 달리 새로운 가능성으로 나아가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제3자의 시각에서 이 여성들을 관찰하는 박완서 소설의 시점은 서발턴으로서의 이 여성들의 성격을 놓치지 않으면서도, 이들이 개척해나가는 다른 삶의 방식을 효과적으로 재현한다.

      • KCI등재

        대형마트 여성 노동자 투쟁의 재현과 군사주의―드라마 <송곳>을 중심으로

        배상미 한국극예술학회 2018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60

        This article examines how militarism influences the representation of labor activism in the 2015 television series, Songkot. Militarism is the basis upon which the sexist division of civil rights in South Korea is constructed, and therefore provides an appropriate methodology to explain gender politics in South Korean society. Even though Songkot’s narrative derives from the struggles by real laborers at a South Korean large supermarket in 2003, its structure is solidified through the trope of militarism. This paper analyzes how militarism in Songkot appears in the drama through the focalization of a labor union organizer who previously served as a platoon commander in the military, including the description of conflicts among workers or between workers and management through anecdotes coming from the organizer’s service period. As a result, this method of portrayal enables the elision of differences between the military, which protects national interests, and the labor movement, which defends class interests, and affirms the pervasive military culture in South Korea. Whereas other recent works of visual media which treat similar struggles to those featured in Songkot represent women workers as equal and active subjects in the fight with the company, and articulate the centrality of gender to the labor movement, I suggest that the representational strategy of Songkot can be considered a backlash or reaction to such progressive reflections on the sexist division of labor and South Korean labor movement. 이 논문은 드라마 <송곳>의 재현전략인 군사주의가 노동운동의 재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군사주의는 한국에서 성차별적 시민권을 구축해온 대표적인 이데올로기로 논의되어왔다. <송곳>이 군사주의를 활용하여 대표적인 여성 노동자 투쟁인 2003년에 발생한 대형마트 여성 노동자 투쟁을 재현했다는 것은 모순적이므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이 논문은 <송곳>의 서사 전개 과정에서 군사주의가 활용되는 방식을 중간 관리자로서 하급 노동자들의 고용안정을 위해 노동운동에 뛰어든 특이한 전력의 노조 조직자를 설명하는 과정과, 노동자들과 사측의 갈등을 군대 일화에 비유하여 설명하는 과정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 같은 재현방식은 국가적 이익을 수호하는 군대와 계급적 이익에 입각하여 발생하는 노동운동의 차이를 뒤섞고, 한국에 만연한 군대 문화를 그대로 승인하는 효과를 낳았다. 반면, <송곳>처럼 대형마트 여성 노동자 투쟁을 소재로 다룬 영상 재현물들은 이 투쟁을 투쟁지도자가 아닌 여성 노동자들도 투쟁의 공동 주체로서 드러내고, 노동자들의 발언에 주목하여 노동과 노동운동 분석에 젠더를 중요한 요소로 고려해야할 필요성을 밝혀내었다. <송곳>의 노동운동 재현 방식은 대형마트 여성 노동자 투쟁을 다룬 재현물들이 달성한 노동 및 노동운동 안의 성차별주의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원점으로 되돌려놓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