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Early Gstric Cancer-Like Advanced Gastric Cancer versus Advanced Gastric Cancer-Like Early Gastric Cancer

        박현식,이선영,홍성노,김정환,성인경,박형석,심찬섭,진춘조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3 Clinical Endoscopy Vol.46 No.2

        Background/Aims: Improvements in the endoscopic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gastric cancer have made it possible to determine the depth of invasion during endoscopic examin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differences between early gastric cancer (EGC) that resembles advanced gastric cancer (AGC) and AGC that resembles EGC. Methods: We retrieved cases of EGC-like AGC and AGC-like EGC from consecutive gastric cancers that had been completely resected. The endoscopic diagnoses and clinicopathological findings were analyzed. Results: AGC-like EGCs were located mainly in the distal part of the stomach, whereas EGC-like AGCs were located mainly in the proximal part of the stomach (p<0.001). Sixty percent of AGC-like EGCs were moderately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s, while 64% of EGC-like AGCs were poorly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s (p=0.015). According to Lauren’s classification, 68% of AGC-like EGCs were intestinal type, whereas 71% of EGC-like AGCs were diffuse type (p=0.020). Conclusions: AGC-like EGCs predominate in the distal part of the stomach, while EGC-like AGCs predominate in the proximal part. When evaluating the depth of a gastric cancer, care should be taken not to underestimate measurements in proximal gastric cancers since they tend to be poorly-differentiated adenocarcinomas, in Laurens’s diffuse type, and invade deeper than their endoscopic appearance might suggest.

      • KCI등재

        MAJOR THERMAL-HYDRAULIC PHENOMENA FOUND DURING ATLAS LBLOCA REFLOOD TESTS FOR AN ADVANCED PRESSURIZED WATER REACTOR APR1400

        박현식,최기용,조석,강경호,김연식 한국원자력학회 2011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43 No.3

        A set of reflood tests has been performed using ATLAS, which is a thermal-hydraulic integral effect test facility for the pressurized water reactors of APR1400 and OPR1000. Several important phenomena were observed during the ATLAS LBLOCA reflood tests, including core quenching, down-comer boiling, ECC bypass, and steam binding. The present paper discusses those four topics based on the LB-CL-11 test, which is a best-estimate simulation of the LBLOCA reflood phase for APR1400 using ATLAS. Both homogeneous bottom quenching and inhomogeneous top quenching were observed for a uniform radial power profile during the LB-CL-11 test. From the observation of the down-comer boiling phenomena during the LB-CL-11 test, it was found that the measured void fraction in the lower down-comer region wa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estimated from the RELAP5 code, which predicted an unrealistically higher void generation and magnified the downcomer boiling effect for APR1400. The direct ECC bypass was the dominant ECC bypass mechanism throughout the test even though sweep-out occurred during the earlier period. The ECC bypass fractions were between 0.2 and 0.6 during the later test period. The steam binding phenomena was observed, and its effect on the collapsed water levels of the core and down-comer was discussed.

      • 원주상권 활성화를 위한 유통 정책

        박현식 한국유통학회 2007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 No.-

        본 연구는 갈수록 설 자리를 잃어 가는 지역 상권에 있어서 최근 10년여 기간 동안 원주시에서 지속적으로 정치ㆍ경제적, 사회적 이슈로 제기되어 왔던 문제는 지하상가 상권의 침체와 활성화 문제라 할 수 있다. 원주 지하상가는 정부의 요구에 의하여 민방공 대피시설로 생겼으며, 각종 연구보고서나 학술세미나의 정책주제로 지하상가 도심 활성화 문제가 거론되고 있다. 특히 매번 지방선거에서는 지하상가 상권 활성화를 선거공약으로 제시하지 않은 후보가 없었을 정도였다는 것을 우리는 기억하고 있다. 그만큼 지하상가의 문제가 심각하다는 의미이며, 지하상가의 활성화를 통한 도시개발은 원주시민 공동의 과제라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역사회의 요청에 따라 그동안 수많은 개선안들이 원주시 차원에서 추진되었다. 지하상가 주변에 특화거리를 지정ㆍ조성하는 ‘특화거리 조성사업’에서부터, 주차문제 해결을 위한 ‘공영주차장 건설사업’, ‘재래시장 현대화사업’, ‘주거환경개선사업’, ‘하상도로 건설사업’, ‘지하상가 리모델링사업’ 등 단기 및 중장기 사업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앞으로 계속 우리가 깊은 관심을 갖고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그러나 최근 원일프라자 준공을 전후하여 지하상가는 조금씩 변화의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도심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성급한 판단을 내리기도 한다. 원주시는 미약하나마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전반적으로 도심이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고 있는 인상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과연 도심이 활성화되고 있는 징후로 볼 것인가? 특히 이러한 변화의 조짐이 원일프라자의 준공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갖고 있는가? 몇가지 변화의 사례를 가지고 간단하게 판단할 수는 없다. 그러나 윈일프라자의 준공은 도심지역의 개발ㆍ정비를 예정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도심 활성화의 중요한 동인이 될 수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제에서는 이와 같은 상황적 변화를 전제로 하여 지하상가 리모델링을 통한 도심활성화와 선진사례를 받아들임으로 지역상권 활성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