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학업중단 예방 사업 운영 현황 분석 : 사업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박하나,김영지,서보람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for policy improvement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drop prevention policies and projects being operated at school sites. To achieve this objectiv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the nationwide school drop prevention projects. A total of 1,575 people responded to the surve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chool members’ perceptions of the school drop prevention projects, the current status of business operations, difficulties, and areas for improvement were analyzed as follows. First, the designation of the school drop prevention projects and the operation of the deliberation systems are concentrated at the high school level. Considering the accumulated situations of the academic discontinuation, it is necessary to activate projects in both elementary school and high school level. Second, the operation of alternative classrooms in schools was in the order of middle school (39.8%), elementary school (6.4%), and high school (27.3%).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in operating alternative classrooms in elementary school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way to overcome stigmas and prejudices, and a plan to link the curriculum of alternative classrooms in high schools. Third,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the study regarding the school drop prevention projects were found in the order of providing emotional stability (4.08 points), providing time and space for rest (4.07 points), helping with school adjustment (3.94 points), and providing customized education (3.92 poi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grams and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solve problems according to their situation. Fourth, the difficulties of the school drop prevention project were derived from the overload of the person in charge, the lack of connection to external organizations, and formal and superficial work procedur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policies such as assigning one or more professional counselors to schools, providing incentives for those in charge, support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for linking external instructors with local community organizations, and discovering and expanding entrusted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alternative education with expertise.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중단 예방 정책과 사업이 학교 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현황을 파악하여 정책 개선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학업중단 예방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교의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575명의 응답을 통해 사업에 대한 학교 구성원 인식, 제도 운영 실태와 어려움, 개선 요구사항 등을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방사업 지정 및 숙려제 운영이 고등학교급에 집중되어 있다. 학업중단 사유가 누적되어 옴을 고려할 때 향후 초·중학교급의 사업 활성화가 필요하다. 둘째, 학교 내 대안교실은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활성화되어 있었고, 초등학교는 상대적으로 적게 활성화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초등학교급에서 대안교실 운영의 어려움을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낙인 및 편견 우려 극복 방안, 고등학교 대안교실의 교육과정 연계 방안 등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업중단 예방 사업의 의의와 필요성은 정서 안정감 제공(4.08점), 쉼의 시공간 제공(4.07점), 학교 적응에 도움(3.94점), 맞춤형 교육 제공(3.92점) 순으로 나타났다(5점 기준). 궁극적으로 학생들이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기회를 제공하는 방향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넷째, 제도 운영의 어려움으로 담당자 업무 과중, 맞춤형 지원을 위한 외부기관 연계 필요, 형식적이고 피상적인 업무 절차 등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학교 내 전문상담(교)사 1인 이상 배치, 담당자 인센티브 제공, 교육(지원)청의 외부강사 및 지역사회 기관 연계 지원, 전문성을 갖춘 대안교육 위탁교육기관 발굴 및 확대 등의 정책 개선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 초등학생의 블랙아웃(대정전)에 대한 개념 형성 과정 분석

        박하나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3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blackout on electric energy education so that teachers teaching the subject can be clear with how to teach. Ultimately, it tries to provide teachers with the basis on which they can build their lessons. Electric energy education relate to our life, so it is very important to cultivate electricity energy saving attitude in schools. Through analyze the concept of students' blackout,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ing blackout is required in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학교중단 위기 초등학생 지원방안 탐색을 위한 질적사례연구: 학교 내 대안교실 참여 아동과 부모의 경험을 중심으로

        박하나,김영지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3 한국초등교육 Vol.34 No.1

        본 연구는 학교적응에 어려움이 있는 학교 내 대안교실 참여 초등학생과 그 부모의 경험을 통해, 학교중단 위기의 아동에 대한 공교육의 지원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학생 2명과 그 부모 2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사례연구를 수행하였고, 사유(어려움), 과정(지원 경험), 요구사항을 중심으로 심층면담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교중단 위기 초등학생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영역의지원(생활영역의 기본생활습관 형성, 학습영역의 기초학습능력 함양, 관계영역의 또래경험 제공)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효과적인 지원을 위해서는 부모-교사 협력(아동과 상호작용하는 학교 안팎의 주체들이 모두 연결)을 통해 학교생활을 지지해야 하며, 지자체-학교 협력(영유아기 조기발견, 발달지원과 취학 후 학교적응 지원)으로 연계적 대응이 필요하며, 학교-지역사회 기관 협력으로정확한 진단과 전문적 치료/대응이 필요하다. 셋째, 보호요인 강화를 위한 방안이 도출되었다. 아동의학교생활 즐거움과 또래 관계 개선을 위한 놀이⋅체험 중심 교육활동 강화 방안, 자녀양육에 대한 죄책감과 학교중단에 대한 불안에 시달리는 부모를 지지하는 부모 상담 프로그램의 운영, 학교중단 위기 아동을 지원하는 종합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여 각종 프로그램이 학교생활 전반에 녹아들어 갈 수있도록 하고, 학교에 대한 신뢰를 쌓을 수 있도록 한다. 제도적으로는 지역교육청을 중심으로 학업중단 예방 사업을 기초학력보장 사업, 교육복지안전망 사업과 연계하여 운영한다. 대안교실을 확대하고, 다중지원팀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상담교사와 협력교사 등 인력을 보충해야 한다.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의료비지원제도 등 경제적 비용 지원도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 신선청과물 유통규모 및 경로추정

        박하나,김동환 韓國食品流通學會 2013 한국식품유통학회 학술대회 Vol.- No.동계

        ? 국내 농산물의 유통경로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하여 신선청과물을 대상으로 유통단계별 규모와 매/출입경로를 분석하였다. ? 이 연구의 의미는 금액, 물량 기준으로 국내 신선청과물의 유통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제시하는 것이며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향후 보다 정확한 연구를 위한 초석을 다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반면 이 연구의 한계는 세부경로에 대한 자료부족으로 다양한 추정을 사용하였으며, 금액을 물량으로 환산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였고 단계별 구매, 판매경로에 통계자료 등이 부족하여 경향성을 보여주는데 그쳤다는 것이다. ? 조사방법은 유통단계를 세분화하고 유통단계별 사업규모를 확인한 후 신선청과 물의 실적 또는 비율추정을 통해 유통단계별 신선청과물 취급액을 산출하였다. 이후 단계별 단가를 계산하여 금액을 물량으로 환산하였으며 유통단계별 구매 또는 판매비중을 조사, 분석하여 해당 단계 또는 경로에서 다음단계 또는 경로로 이어지는 흐름을 나타내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 조사 및 인용한 자료가 매우 많아 우선순위를 두고 적용하였다. 가장 우선적으로 적용한 자료는 국가 통계자료이며, 유통업체 연감 등 통계에 준하는 연차별연감, 실적 자료, 사업자의 실적자료, 연구자료, 전문가 의견 순으로 반영하였다. ? 연구결과는 유통의 흐름은 하단(공급)에서 상단(소비)로 흐르는 방향으로 정리 하였으며, 좌측은 도매시장이 중심이 되는 경로이며 우측은 직거래 비중이 높은 경로 위주로 배치하였고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규모에 따라 단계의 크기를 바꾸는 등의 도식화하였다. ? 국내 신선청과물의 유통흐름을 금액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가장 핵심적인 경로는 생산자 - 산지유통조직 - 도매시장 - 식자재 유통업체 - 외식, 대형유통업체의 경로로 나타났다. - 대량수요처는 외식, 소매단계는 대형유통업체 경로가 가장 규모가 컸다. ? 소비자가 직접 구입하는 금액(소매단계 매출액)이 대량수요처 소비되는 매입액 보다 1/3정도 많았으며, 소매 단계에서는 대형유통업체에 이어 전통시장의 취급액이 가장 많았다. 중소슈퍼마켓과 농협판매조직은 1조 5천억 수준으로 유사하였다. ? 전통시장, 중소슈퍼마켓, 과일채소 소매점 등 소규모 영세 경로도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소매 단계의 23.6%를 점유하고 있으며, 전자상거래 및 직거래장터의 비중은 아직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 전반적으로 농협은 산지역량에 비해 도매, 소매의 역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농협 경제사업 발전을 위해 도, 소매의 시장 점유율 상승을 위한 전략이 필수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대형마트 부문에서는 민간 대비 농협종합유통센터의 취급물량 비중이 19.6%에 불과하여 특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협판매조직 상당부분이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회원농협 하나로 마트인 것을 감안하면 소매단계에서의 농협판매조직의 경쟁력이 대형유통업체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볼 수 있다. ? 유통공사 유통경로와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유통공사 유통경로는 조사 대상이 소수이고 우수 업체 중심으로 조사되었기 때문에 대형 마트 등 위주로 편향되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An Unusual Case with Membranous Lipodystrophy in a Hypertensive Patient with Transepidermal Elimination

        박하나,이진욱,안형진,황상민,최응호,이승헌,안성구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06 Yonsei medical journal Vol.47 No.3

        Membranous lipodystrophy represents a peculiar type of fat necrosis that is present in patients with various types of skin disease. It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microcysts and macrocysts and is lined by amorphous eosinophilic material with a crenelated arabesque appearance. These findings have been associated with lupus erythematosus, diabetes mellitus, erythema nodosum, trauma, etc. We report a case of a 43-year- old woman who had a red to purple asymptomatic indurated plaque, approximately seven cm in diameter and on the left arm. She was a chronic hepatitis B antigen carrier and had hypertension for four years. Histopathology of the biopsied lesion showed transepidermal elimination of altered collagen and elastic fibers, as well as membranous lipodystrophy changes. There were hypertensive vascular changes including lymphohistiocytic infiltration around the vascular wall, swelling of endothelial cells, increased thickness of the vascular walls, and narrowing of the lumen. We report a case showing transepidermal elimination with membranous lipodystrophy. We carefully suggest that the secondary phenomenon of transepidermal elimination was associated with membranous lipodystrophy and degenerate connective tissues.

      • KCI등재

        A Corpus-Based Analysis of Inflectional and Periphrastic Comparatives in English Disyllabic Adjectives

        박하나,전문기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011 영어교육연구 Vol.23 No.1

        This study investigated comparative forms of English disyllabic adjectives which alternate between inflectional (-er) and periphrastic (more + Adjective) forms in order to determine what features explain actual usage based on two large-scale corpora. The corpora used in the current study consisted of the 1,000,000-word Brown Corpus of Standard American English and the 12,000,000-word TASA (Touchstone Applied Science Associates) corpu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occurrences of 30 disyllabic adjectives selected for the frequency of their appearance in recent grammar books. Our findings showed that vowel and syllabic /l/ endings significantly favored inflection (e.g., simpler rather than more simple), whereas consonant endings favored periphrasis (e.g., more common rather than commoner). Among consonant-final adjectives, morphologically complex adjectives tended to be phrasal. This corpus-based study embraces implications of how English usage can change and how the usage can be more effectively taught to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 워크숍 : W-02 ; 전력량계를 이용한 대기전력의 이해 지도

        박하나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66 No.-

        국제에너지기구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의 가구당 전력소비량의 10%인 60W가 대기전력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5년부터 정부의 대기전력 1W 정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하여 2010년까지 대기전력 1W 이하 달성 국가로드맵 ``Standby Korea 2010``을 수립하였다. 정책 수립 이후 가정 내 가전기기당 대기전력은 약 45% 이상 감소하였고, 가정용 연간 전력 사용량이 37%나 증가하는 가운데에서도 연간 대기전력소비는 25% 감소하는 성과를 창출했다(서형수, 2012)1). 이러한 국가 정책에 따라 산업 기술계에서는 다양한 연구와 제품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 가정에서의 대기 전력은 소비 전력 자체가 적다는 이유로 국가적인 규제가 없으며, 개인적인 노력은 적극적이지 않다. 따라서 학생과 함께 가정의 대기전력을 실측해보고 절전 방법을 생각해볼 필요성이 있다. 본 워크숍에서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전기기의 대기전력 소비량을 측정하고 대기전력 발생 패턴을 파악하여 대기전력을 낮추거나 차단하는 방법에 대한 탐구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