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건설업 알루미늄폼 해체작업 시 근로자에 대한 소음성난청 예방에 관한 연구
박재국,오태근 한국안전학회 2019 한국안전학회지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aluminum form work and noise-induced deafness by conducting special health examination on construction aluminum worker and noise measurement at the workplace. All the 11 aluminum form workers were diagnosed with noise-induced deafness after holding a special health examination. The workers have not had any previous history of noise-induced deafness which indicates that aluminum form work is related to noise-induced deafness disease. The impact noise of 120 dB(A)~125 dB(A), which exceeds the regulations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was found during the dismantling rather than installation when noise measurement was made at the aluminum workplace. The aluminum form workers could permanently lose the hearing sense if they are exposed to this impact noise.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ethod to prevent noise-induced deafness for aluminum form workers by firstly giving out hearing protection equipment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secondly installing rubber mat, soundproof panel as well as changing the noise-lowering technique.
박재국 한국방재학회 201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0 No.6
One of the ways to minimize damage by a slope collapse is to set up preventive measures in advance by measuring displacements in a slope and predicting a collapse. There have been many different technologies developed to predict a collapse with diverse measuring equipment. Especially 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utilize terrestrial LiDAR, a high-tech imaging equipment to measure displacements on a scope. Terrestrial LiDAR generates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about an object with millimeter-level accuracy from hundreds of meters away and has been used in an array of fields including restoration of cultural assets, three-dimensional modeling, and making of topographic maps. In recent years, it has been used to measure displacements in structure as well. This study monitored displacements in slopes of high collapse risk with terrestrial LiDAR. As a result, it was able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errestrial LiDAR to the field, and proposed monitoring methods. 사면붕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사면의 변위발생을 계측하고 붕괴를 예측하여 사전에 방재대책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계측장비들을 활용하여 붕괴를 예측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사면의 변위발생을 계측하기 위해 첨단 촬영 장비인 지상라이다를 활용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지상 LiDAR는 수백 미터의 거리에서도 수 mm의 정확도로 대상물의 3차원 정보를 획득 할 수 있기 때문에 문화재 복원, 3차원 모델링, 지형도 작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구조물의 변위계측에도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상라이다를 이용하여 붕괴위험이 높은 위험관리사면을 대상으로 변위 모니터링 수행하였다. 그 결과 지상라이다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제시할 수 있었다.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있어서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지도실태 및 교사의 인식
박재국,손상희,김영미,김혜리,장철호 한국특수아동학회 2008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0 No.2
This study is to analyze math teaching implementation and teachers' perception of basic curriculum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rough this aims, We can find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of mathematics and develop instruction program based on unique learning style or cognitive processing style. 214 special education teacher of Pusan metropolitan city and Kyung-Nam province responded questionnaire on teaching implementation and their perception of fundamental curriculum in Math .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th class was 3-4 hours in average per week to students who need basic curriculum. Teachers easily instruct 'number' one among 5 categories, but hard to teach ‘table and graph’. Also, individualized teaching method based on teacher-centered direct instruction was mostly used, and learning goal on the number was attained using by method of from bottom goal in stepwise through clue suggestion and ‘concrete-number-by hand' visual or kinetic methods. Especially, Teachers often use 'self-made materials by the concrete' in all of categories, but it need to more various supplementary materials and its level accommodation. Second, Teachers' perception were overall negative toward basic curriculum of math. Also, they perceive little satisfaction in collection of evaluation information and supplement through basic curriculum. Both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teachers without in-service training experience have more negative perception than them of middle special education or with in-service training experience. 본 연구는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지도 실태 및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서 장애아동의 효과적인 수학과 지도전략모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며, 나아가 장애아동 개개인의 독특한 학습양식이나 인지처리양식에 기반을 둔 수학과 지도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전국단위의 특수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특수교사(N=214)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학과 기본교육과정 지도에 대한 실태 및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한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기본교육과정 적용학생의 주당 수학과 수업시수는 평균 3~4시간이 가장 많았으며, 다섯 가지 영역 중 교사들은 ‘수’영역을 가장 쉽게 지도할 수 있는 반면 ‘표와 그래프’는 지도하기 가장 어려운 영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 중심의 직접교수법을 활용한 개별학습 형태의 수업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지도는 하위 학습목표부터 단계적으로 지도하여 학습목표를 이해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아울러 시각적이거나 운동적인 방법의 단서제공 및 ‘구체물-숫자-수사’의 순으로 이루어지는 수세기 지도가 보통 사용되어지고 있었다. 특히 모든 영역별 지도에 있어서 ‘구체물’을 이용한 ‘교사자작자료’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는데, 다양한 보완자료의 부재와 난이도가 고려되지 않은 교재 등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구체물, 인쇄매체 및 영상매체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보완자료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특히 ‘표와 그래프’영역의 보완자료 개발의 시급함과 개인의 인지수준 및 특성이 고려된 수준별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둘째,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지도에 대해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본교육과정을 통한 학생들의 평가정보 수집과 보완자료에 있어서 기본교육과정 수학과는 잘 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초등부 특수교사보다는 중등부 교사가,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관련 연수경험이 없는 교사보다는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가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중등부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에게 현행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지도는 다소 적절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중등부 장애학생에게도 적용가능한 적절한 수학과 지도전략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지체장애인 재활보조기구 사용 실태와 만족도 및 일상생활 자립도
박재국,조홍중,한경근,김영미,김소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7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49 No.-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uggest effective policies relating the provision and application of rehabilitative aids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examine their level of independence in terms of daily living activities. A total of 188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Gyeongsang-Do was surveyed to investigate the practice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use of rehabilitative aids. The level of daily living independence of the participants was also examined. The survey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hi-square,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most of the participants(95.2%) responded that they used wheelchairs to move more frequently than other rehabilitative aids.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ed by some variables like sex, age level, the severity of disabilities in terms of time and location of use and types of the wheelchairs. The participants heavily relied upon the wheelchairs to move; they used the wheelchairs both in and out of buildings and 13.8% of them used the wheelchairs all day while 21.3% used the wheelchairs more than 12 hours a day. These results showed that it was necessary to adjust environments considering the wheelchair access and extend the provision of wheelchairs that are more functional in all the areas of daily living activities. Second,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use of the rehabilitative aids was not so high in the areas of user training, function, and the qualities, whereas the satisfaction level of policy was relatively low; 80% of the respondents rated the policy as between not satisfactory and the normal range. This tendencies were very obvious to the respondents aged more than 40. These results suggested systematic efforts to improve the user training, function, and the quality of wheelchairs. Finally, the independence level of daily living activities especially in the areas of self-help was very low ranged between 20%~40%. This tendency was very clear to the low age level group and the people who had cerebral pals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it was necessary to extend the welfare supports and the provision and training of various types of rehabilitative aids in order to improve the independence level of daily living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을 위한 재활보조기구의 공급 및 적용의 보다 효율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함과 동시에 그들의 일상생활 자립도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경상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지체장애인(N=188명) 표본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그들의 재활보조기구 사용 실태 및 만족도, 그리고 일상생활에서의 자립도에 관하여 조사하고, 기초통계량(빈도, 백분율) 및 x2검증 등의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된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지체장애인은 전반적으로 상하지 보조기 보다 휠체어를 사용하는 비율(95.2%)이 높게 나타났다. 이들의 휠체어 사용은 성별, 연령별, 장애등급별 등의 변인에 따라 사용시간, 사용장소, 사용 휠체어의 종류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이 휠체어의 사용은 실내외에 모두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 일뿐만 아니라 사용 시간에 있어서도 하루 종일(13,8%) 및 12시간 이상(21.3%)에서 약 35%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지체장애인의 높은 휠체어 의존율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편리한 기능성 휠체어의 공급 확대 및 휠체어 접근성을 고려한 환경 수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둘째, 재활보조기구에 대한 지체장애인의 만족도는 사용훈련, 기능, 품질 영역에서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난 반면, 정책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에서 불만족 수준에 걸쳐 약 80%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40대 이상의 고연령대에서 더욱 높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 결과는 휠체어 사용자의 연령대를 고려한 휠체어 사용훈련, 기능, 품질, 그리고 만족도를 개선하기 위한 다각적인 연구 및 지원 노력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셋째, 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의 완전 자립도는 목욕, 식사, 용변처리, 착탈의 등 기본적인 일상생활 영역에서조차 약 20-40%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그리고 뇌병변장애인일수록 더욱 높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자립도 개선을 위한 다양한 재활복지기구의 공급 및 훈련의 필요성과 함께 복지차원의 지원을 더욱 다양하게 확대해야 함을 시사한다.
감각통합 훈련이 발달장애유아의 운동기획 및 공간지각 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재국,강대옥,류정숙 한국특수아동학회 200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8 No.1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on Motor Plan and Space Percep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장애유아의 운동기획 및 공간지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한 목적으로 만 5-7세 발달장애유아 3명을 대상으로 ABA 반전설계법을 설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장애유아의 운동기획능력에 미치는 효과에서 자세모방과 좌우동형의 운동조정영역에서 A, B, C 유아 모두에게 효과가 있었다.둘째,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장애유아의 공간지각능력에 미치는 효과에서 공간위치와 공간표상영역에서 A, B, C 유아 모두에게 효과가 있었다. 셋째,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장애유아의 전반적 감각통합능력에 미치는 효과에서 A, B, C 유아 모두에게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운동기획능력에서는 자세모방과 좌우동형의 운동조정능력에 한정해서 측정하였으며, 공간지각력에서는 공간위치와 공간표상영역에 한정하여 측정하였으므로 추후 연구는 다른 영역에까지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감각통합훈련기간과 다양한 장애아동, 다른 발달영역 등의 확장을 통하여 감각통합훈련의 효과를 볼 수 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메타버스 기반 고용증진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디지털정보역량과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효과
박재국,김은라,김현지,강주현,이설희 한국발달장애학회 2023 발달장애연구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metaverse-based employment promotion education programs on the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ies and employment possibilities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in a rapidly changing employment environment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research method was implemented by designing a metaverse-based employment promotion program for a total of 20 sessions for 7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who wish to get a job.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igital information competency of the study participants increased somewha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execution,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mployment possibility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pre-post recognition in the sub-area of 'setting job goals' also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metaverse-based programs as a new teaching-learning strategy to improve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ies and employment potential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in the future was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함께 빠르게 변하는 고용환경에서 메타버스 기반의 고용증진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지적장애인의 디지털정보역량과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취업을 희망하는 지적장애인 7명을 대상으로 총 20차시의 메타버스 기반 고용증진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의 디지털정보역량은 프로그램 실행 전-후를 기준으로 다소 수준이 증가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적장애인의 고용가능성은 프로그램 실행 전-후를 기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구직목표 설정’의 하위영역의 사전-사후 인식 수준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지적장애인의 디지털정보역량 및 고용가능성 증진을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 전략으로써 메타버스 기반 프로그램의 가능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박재국,정성훈 국립중앙과학관 2023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Vol.16 No.1
The delphacid species, Ecdelphax tortilis (Kouh, 1982), is recorded from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first time. The morphological information such as diagnosis and redescription of male habitus and genitalia are presented with photographs, and a key to the species of genus Ecdelphax is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