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사범계 대학생의 이미지 비교 연구

        박재국,안성우,손상희 한국특수아동학회 200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특수교육과가 설치된 부산, 경남지역의 2개 대학에서 지체부자유아 교육 개론을 수강한 특수교육 전공 사범계 대학생 64명과 특수교육과가 설치되지 않고 특수교육 개론을 수강한 다른 2개 대학교의 비전공 사범계 대학생 86명을 대상으로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이미지 척도(SDTP)를 통해 전공유무에 따른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대학생들에게는 16주간의 강의가 있었으며, 실습은 포함되지 않았다. 또한 강의 내용의 중복을 최대한 배제하였으며, 모든 강의가 끝난 다음 동일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척도는 손상희, 박재국(2000)의 연구를 통해 개발된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일반아동의 이미지 척도(SDTP; Scale of Semantic Differential Toward the Physical handicapped for Children)를 사용하였으며, 이 척도는 문화적인 차이는 없으며, 연령에 대한 유의차가 검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척도화하였지만 대학생에게 적용하여도 무방하며, 양극적인 형용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사 대상자들의 지식이나 이해 수준과 무관하다고 판단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수교육을 전공하는 사범계 대학생과 전공하지 않는 사범계 대학생의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이미지의 형성요인, 구조, 수준 차이 및 영향요인을 검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이미지를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SDTP 척도는 연령이나 문화적인 배경과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척도이다. SDTP는 SD척도로서, 여러 쌍의 형용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령이나 문화적인 배경과는 상관없이 적용이 가능하였다. 둘째, 사범계 대학생의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이미지는 대체로 중립적인 수준이며, 특수교육 전공 사범계 대학생은 비전공 사범계 대학생에 비해 보다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이는 전공 사범계 대학생이 비전공 사범계 대학생에 비해 자원봉사의 경험이 많고, 효과적인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지식 습득의 기회가 많기 때문이라는 할 수 있다. 셋째, 사범계 대학생의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접촉방법이며, 특수교육 전공 사범계 대학생에게는 이와 동시에 지식습득 방법에도 영향을 받는다. 즉, 수동적인 접촉방법을 택하는 것보다 능동적으로 지체부자유아를 만나는 경험을 많이 할수록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질 수 있다고 결론 지었으며, 연구 결론에 덧붙여 몇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사범계 대학에서는 특수교육과를 증설하거나 특수교육 및 장애아 이해를 위한 강좌를 필수 전공과목으로 개설 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과정 내에는 자원봉사의 경험을 제공하거나 질높은 지식 습득의 방법을 제공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SDTP 척도를 적용하여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이미지를 변화시키는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적용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추수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SD(semantic differential)법으로 만들어진 이 척도는 적용에 대한 제한점이 거의 없으며, 문화적으로든 연령으로든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는 효과적인 척도임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셋째, 접촉방법, 접촉량, 지식 습득 방법에 대한 보다 세분화된 독립변인을 적용한 척도의 유용성과 이미지 변화요인을 밝히는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사회 심리학적인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여러 가지 독립변인에 대한 검증이 반드시 있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the measuring scales of university student's image toward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and to compare students' images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with images of students whose major is general education, to review influencing factors and to provide with a method to modify their images toward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4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and 86 students majoring in general education at university. In order to examine students' images toward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were used Son & Park(2000)'s Scale for Semantic Differential Toward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SDTP).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1. SDTP was the usefulscale to test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nd university students' image toward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2. It was found that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at university have more positive images toward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than students majoring in general education. 3. The university students' images toward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could be changed through the way of contact to handicapped children.

      • KCI등재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지도 및 구성체제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박재국,김혜리,김영미,고혜정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a concrete instructional program and future direction for Korean of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understanding recogni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operational condition, teaching strategy, and constructional system on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nd seeking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methods of Korea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do this, 254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nationwide special schools as well as special classes were involved, conducting a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ed. First, the teachers had taught Korean of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to 2-3 students for 5-6 hours per week and the students had difficulty to express their thoughts verbally and in writing. The teachers felt hard to teach in writing, reading, speaking, and listening respectively. They put value on interest, attention, and practical necessity rather than learning style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Through multimedia image in listening, actual language uses in speaking, and print media in writing and reading, the students were taught one by one. In addition, teaching of listening and speaking proceeded teaching of writing and reading. The goal of their study was to present in deductive method, and the teachers had guided the contents of their studying using various stories, but mainly visual clues. Second, in terms of the differences on recognition of Korean of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junior-high/high school, who have taught over 11 years, were somewhat positive. Especially, in terms of practical training experiences on Korean of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those who had the experiences recognized more positive than those who had no the experiences. Korean of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may actualize learner- centered curriculum to fulfill learning style and desire of individualized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the same time, to easily approach a system which is standardized curriculum and textbook,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methods in Korean of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should be constructed and practical teach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by theory of cognitive processing style based on subjective paradigm. Consequently,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s in Korean of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and then they will make up for and improve current problems in Korean of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본 연구는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운영실태 및 지도전략 그리고 구성체제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파악하여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효율적인 국어과 지도전략과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구체적인 지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향후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개정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단위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재직하고 있는 특수교사(N=254)를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통해 조사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교사는 주당 5~6시간씩 2~3명의 학생을 기본교육과정 국어과를 통해 지도하고 있었고 이들 학생은 본인의 생각을 말과 글로 표현하기에서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영역별 지도에 있어 쓰기, 읽기, 말하기, 듣기의 순으로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으며, 학생의 학습양식이나 참여정도보다는 관심과 흥미, 실생활 필요성에 더 중요성을 두고, 듣기 영역은 주로 멀티미디어영상매체를, 말하기는 실제언어사용현장에서, 읽기와 쓰기는 인쇄매체를 통해 주로 1대 1의 개별학습을 통해 지도하고 있었다, 또한 듣기와 말하기를 먼저 지도한 후 읽기와 쓰기를 지도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였는데, 학습 목표는 주로 연역적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이야기를 활용하여 학습과제를 지도하되 시각적인 단서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한편,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구성체제에 대한 인식차이에서 교육경력 11년 이상의 중·고등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이 다소 긍정적이었으며, 국어과 관련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보다는 연수경험이 없는 교사가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구성체제에 대해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기본교육과정 국어과는 주 대상인 중도의 지적장애를 가진 개별학생들의 장애특성, 학습양식, 욕구 등을 충족시킬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을 실현함과 동시에 표준화된 교육과정 및 교과서라는 체제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객관주의적 패러다임에 기초한 인지처리양식이론을 바탕으로 국어과 교수-학습전략 및 방법을 구상하고 실제적인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발달장애학생들의 보다 효과적인 국어과 지도를 위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현행의 기본교육과정 국어과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개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연계 특수학교(급)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박재국,김진희,김은라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3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5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재활병원학교 설립에 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요구사항 및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6.0을 이용하여 기초 통계량 산출 및다중응답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협력이나 지원 사항에 대한 실행도 수준에서 특수교사와학부모 모두 ‘질병에 적합한 치료와 관리’에 대한 실행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수준에서는 특수교사는 ‘질병에 적합한 치료와 관리’를, 학부모는 ‘의료진의 치료 및 의료 정보공유’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결과에 기초하여 재활병원학교 운영의 기본방향, 교육과 치료의 병행, 교육·의료·복지 간 초학문적 교수·학습지원 제공 등 재활병원학교 설립의필요조건과 해결 방안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일상생활동작 수행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박재국,김은라,임세령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To this end, 155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ttending special schools were surveyed about their daily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Results: First, it was shown that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d some level of needing help partially,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grade, type of disability, and level of communication. Second,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as found to be normal,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grade, type of disability, and level of communication.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uch as removals, movements, meals, and toiletries were suggest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일상생활동작 수행 수준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담당 교사 155명을 대상으로 담당 학생의 일상생활동작 수행과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은 부분적인 도움이 필요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학교급, 장애유형, 의사소통 수준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급과 장애유형, 의사소통 수준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셋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일상생활동작 수행 수준과 건강관련 삶의 질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일상생활동작을 독립적으로 수행할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착탈의, 이동, 식사, 용변처리에 대한 효율적인 교수를 제공함으로써 중도․중복장애학생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체장애인 재활보조기구 사용 실태와 만족도 및 일상생활 자립도

        박재국,조홍중,한경근,김영미,김소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7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49 No.-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uggest effective policies relating the provision and application of rehabilitative aids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examine their level of independence in terms of daily living activities.  A total of 188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Gyeongsang-Do was surveyed to investigate the practice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use of rehabilitative aids. The level of daily living independence of the participants was also examined. The survey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hi-square,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most of the participants(95.2%) responded that they used wheelchairs to move more frequently than other rehabilitative aids.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ed by some variables like sex, age level, the severity of disabilities in terms of time and location of use and types of the wheelchairs. The participants heavily relied upon the wheelchairs to move; they used the wheelchairs both in and out of buildings and 13.8% of them used the wheelchairs all day while 21.3% used the wheelchairs more than 12 hours a day. These results showed that it was necessary to adjust environments considering the wheelchair access and extend the provision of wheelchairs that are more functional in all the areas of daily living activities. Second,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use of the rehabilitative aids was not so high in the areas of user training, function, and the qualities, whereas the satisfaction level of policy was relatively low; 80% of the respondents rated the policy as between not satisfactory and the normal range. This tendencies were very obvious to the respondents aged more than 40. These results suggested systematic efforts to improve the user training, function, and the quality of wheelchairs. Finally, the independence level of daily living activities especially in the areas of self-help was very low ranged between 20%~40%.  This tendency was very clear to the low age level group and the people who had cerebral pals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it was necessary to extend the welfare supports and the provision and training of various types of rehabilitative aids in order to improve the independence level of daily living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을 위한 재활보조기구의 공급 및 적용의 보다 효율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함과 동시에 그들의 일상생활 자립도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경상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지체장애인(N=188명) 표본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그들의 재활보조기구 사용 실태 및 만족도, 그리고 일상생활에서의 자립도에 관하여 조사하고, 기초통계량(빈도, 백분율) 및 x2검증 등의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된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지체장애인은 전반적으로 상하지 보조기 보다 휠체어를 사용하는 비율(95.2%)이 높게 나타났다. 이들의 휠체어 사용은 성별, 연령별, 장애등급별 등의 변인에 따라 사용시간, 사용장소, 사용 휠체어의 종류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이 휠체어의 사용은 실내외에 모두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 일뿐만 아니라 사용 시간에 있어서도 하루 종일(13,8%) 및 12시간 이상(21.3%)에서 약 35%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지체장애인의 높은 휠체어 의존율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편리한 기능성 휠체어의 공급 확대 및 휠체어 접근성을 고려한 환경 수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둘째, 재활보조기구에 대한 지체장애인의 만족도는 사용훈련, 기능, 품질 영역에서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난 반면, 정책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에서 불만족 수준에 걸쳐 약 80%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40대 이상의 고연령대에서 더욱 높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 결과는 휠체어 사용자의 연령대를 고려한 휠체어 사용훈련, 기능, 품질, 그리고 만족도를 개선하기 위한 다각적인 연구 및 지원 노력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셋째, 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의 완전 자립도는 목욕, 식사, 용변처리, 착탈의 등 기본적인 일상생활 영역에서조차 약 20-40%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그리고 뇌병변장애인일수록 더욱 높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자립도 개선을 위한 다양한 재활복지기구의 공급 및 훈련의 필요성과 함께 복지차원의 지원을 더욱 다양하게 확대해야 함을 시사한다.

      • 실시간 Remote Sensing 기술과 GIS 기술 융복합을 통한 도시용수 사용추세분석 모형개발 및 공급관리 효율증진에 관한 연구

        박재국,김의명,김동문,이시형,임용민,김성훈 한국정보기술융합학회 2010 한국정보기술융합학회논문지 Vol.3 No.3

        물은 모든 생명의 근원이며 인간이 생활하는데 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소중한 자원이므로 항상 중요한 연구과제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시도의 일환으로 본 논문은 용수의 공급효율화 측면을 지원할 수 있는 한 가지 방안을 제시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가지고 실시간 생활용수(가정용수) 데이터를 통해 도출된 다항식모형의 추세패턴분석과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연계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적용한 청사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실시간 원격모니터링 기술과 GIS 기술의 융□복합방식이 정제되고 현실화된다면 기존 용수 수요공급관리의 효율화가 상당히 증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장애학생 졸업 후 취업 지원에 대한 인식

        박재국,김은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7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0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supports including work preparation, work adjustment, and follow-up. Method: To reach this study purpose, 10 graduates with disabilities who were at working or preparing for the job were chosen as interviewees. Then in-depth interview was perform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matic analysis method. Results: First, in the theme of ‘Vocational preparation’, five sub-themes were extracted such as education for employment, vocational counselling, vocational information, vocational disadvantage, and necessity of service. Second, in the theme of ‘Vocational adjustment’, four sub-themes were included such as experience of changing job, service for job maintenance, difficulties related to work, and benefits related to work. Third, in the theme of ‘Follow-up service’, two sub-themes were extracted such as support needs after employment and desire to live a harmonious life at work.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rections to develop a systematic and consistent supporting that can facilitate the level of job adaptation and maintenance of the graduates with disabilities were suggest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학생 졸업 후 취업에 대한 인식을 살핌으로써 취업에서부터 안정된 직업생활 유지 및 사후관리를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현재 취업 중이거나 취업 준비 중인 장애 졸업생 10명을 대상으로 졸업 후 취업 지원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은 선행연구 분석 후 면담지를 구성함으로써 반구조화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면담 시 녹음과 녹화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주제 분석 방법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 때 분석된 자료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자 본인 또는 제 3자를 활용한 연구참여자 검토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취업준비에 대한 인식’의 주제에는 취업준비 교육, 취업상담, 취업정보, 취업의 불리함, 서비스의 필요성 등 총 5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둘째, ‘직업적응에 대한 인식’의 주제에는 이직경험, 직업유지를 위한 서비스, 직장생활의 어려움, 직장생활의 좋은 점 등 총 4개의 하위주제가 포함되었다. 셋째, ‘사후관리에 대한 인식’의 주제에는 취업 후 지원 욕구와 원만한 직장생활을 위한 바람이라는 2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장애학생의 졸업 후 취업과 직업적응, 사후관리를 위한 체계적이며 일관된 지원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