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만 3, 4, 5세 유아의 주의집중과 인지과제 수행: EEG 측정 지표 분석 연구
박윤현,김보경,이순형 한국인간발달학회 2017 인간발달연구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if children’s attention is dependent on their age and sex, and also the kind of a task when they are carrying out cognitive tasks.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ention and performance of children was investigated. Sixty children (20 each three-, four-, and five-year olds, 10 boys and 10 girls) of a kindergarten in Gyeonggi were recruited as participants. The logico-mathematical task set was presented to the children and the electroencephalogram (EEG) of children was measured while they were performing the tasks. The response and the response time of the children were record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show that children’s attention during cognitive activities does not depend on their age and sex. However, they are dependent on the kind of the task. The level of attention was highest when children were performing the categorization task, followed by the pattern task, and finally the discrimination and seriation task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attention and their perform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ttentional resource acts as a basic element for cognitive activities and it can be differently utilized based on the level of cognitive processing required to perform each task. In addition, this empirical data can provide implications to compositions of cognitive tasks or programs that strengthen children’s attentional competenc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기와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또래관계 변화궤적 유형 분류에 따른 초등학교 4학년 때의 적응행동 차이
박윤현,김대웅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8 No.2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the peer relationship trajectory types in preschool and early childhood and identify adaptive behaviors of fourth graders with respect to peer relationship trajectory types. The participants included 449 children (224 male) who responded to the fifth through eleventh survey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Latent class mixed models were employed to classify the trajectory types of peer relationships during preschool and early childhood. The results revealed that children (early childhood) in the above-average group showed fewer emotional symptoms, conduct problems, and hyperactivity/inattention, and more prosocial behaviors than the below-average group. Second, Children who were in the below-average group (early childhood) showed more hyperactive/inattentive behaviors than children who were in the maintain-average group by fourth grade, and among them, those who were in the below-average group during the preschool period showed more hyperactive/inattentive behaviors in fourth grade than those who were in the maintain-average group during the preschool period. Our results highlight that understanding not only school-age peer relationships but also preschool peer relationships can facilitate understanding of school-age children's adaptive behaviors.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또래관계 변화궤적 유형과 초등학교 저학년기 또래관계 변화궤적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에 따라 초등학교 4학년 적응행동이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5차~11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대상은 아동 449명(남: 224명)이다. 유아기와 초등학교 저학년기 또래관계 변화궤적 유형을 구분하기 위하여 잠재 계층 혼합 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저학년기 또래관계가 평균이상형인 아동은 다른 유형의 아동보다 정서증상, 행동문제, 과잉행동/부주의를 더 적게 보이고, 친사회적 행동을 더 많이 보였다. 또한, 초등학교 저학년기 또래관계 변화궤적 유형에 따른 적응행동은 유아기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초등학교 저학년기에 평균이하형인 아동은 평균유지형인 아동보다 4학년 때 과잉행동/부주의를 더 많이 보였고, 이들 중에서 유아기에 평균이하형이었던 아동은 유아기에 평균유지형이었던 아동보다 4학년 때 과잉행동/부주의를 더 많이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령기 아동의 적응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 학령기 또래관계뿐만 아니라 유아기 또래관계에 대한 고려가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박윤현 한국도덕교육학회 2023 도덕교육연구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Gadamer's aesthetics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modern aesthetics and to explore the ontology of the work of art with the view of revealing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of art as an expression and the truth (i.e., being) expressed through the work of art. Arguing that the modern aesthetics represented by Kantian aesthetics has brought about subjectivization and autonomy of aesthetics, Gadamer tries to overcome the modern aesthetics by reconstructing Kantian aesthetics. His ontology of the work of art shows that the work of art as an expression is not to be seen as the externalization of the subjectivity of the creator or the diminution of being as in a copy of reality. A work of art engages the viewer's attention and transforms his being. The world revealed by the work of art is a new world that the viewer has not yet seen before. The work of art speaks to the viewer, and conversations with it arouse her interest in being. The experience of art helps her realize what kind of world she lives in and what a human being really is. Central to Gadamer's aesthetics is the matter of transformation of a human being, and its rich implications for education need to be explored further.
유아기와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또래관계 변화궤적 유형 분류에 따른 초등학교 4학년 때의 적응행동 차이
박윤현,김대웅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2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11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또래관계 변화궤적 유형과 초등학교 저학년기 또래관계 변화궤적 유형을 구분하고, 각각의 유형에 따라 4학년 때의 적응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5차~11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또래관계 변화궤적 유형을 구분하기 위하여 잠재 계층 혼합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유형에 따른 아동의 적응행동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이원분산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기는 또래관계 상위유지형, 상위감소형, 중위증가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초등학교 저학년기는 상위유지형, 중위증가형, 중위감소형으로 구분되었다. 유아기와 초등학교 저학년기 또래관계 변화궤적 유형에 따라 4학년 때의 적응행동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행동문제와 과행동/부주의는 유아기 유형과 초등학교 저학년기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이 초등학교 시기에 어떠한 또래관계를 경험하였는지 뿐만 아니라 유아기에 어떠한 또래관게를 경험한지에 다라 적응행동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아동의 적응행동을 살펴보기 위하여 아동의 또래관계를 장기적으로 고려할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함의가 있다.
박윤현,심창한,장정호,김경자 한국화학공학회 2007 화학공학의이론과응용 Vol.10 No.2
This work describes chemically functionalized nanoporous silica as a novel catalyst for the rapid hydrolysis of a phenyl ester. Work demonstrates a very simple and flexible approach to control surface reactivity on the nanometer scale using a self-assembled organic monolayer consisting of polar, (dihydroxyl, carboxyl, ethylene-diamine, and dihydroimidazole), and non-polar (isobutyl) groups. All five functional groups are an essential requirement in preparing an enzyme-like catalyst because of the synergistic effect and hydrophobic partitioning, which has been verified by a 13C CP- MAS solid-state NMR technique. Catalytic activities were obtained from the catalytic efficiency constant and specificity constant using Michaelis-Menten kinetics. Catalytic activities were close to those of a natural enzyme when 12% of the surface was covered by hydrophobic isobutyl silane. The rate of enzyme catalyzed activity was dependent on the energy of the transition state as defined in terms of an energy barrier deriv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er free energy and specificity constant.
취학 전 전자매체 교육시간과 초등학교 1학년의 학업수행능력 간의 관계에서 주의집중문제의 매개효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박윤현,박지은,김대웅,서지연,최나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취학 전 유아의 전자매체를 이용한 교육시간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주의집중문제 및 학업수행 능력 간 구조적 관계가 어떠한지 알아보고, 그러한 관계에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8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를 살펴보고,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남아의 경우 전자매체를 이용한 교육시간이 주의집중문제와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여아의 경우 전자매체를 이용한 교육시간이 증가할수록 주의집중문제 수준이 낮아지고, 학업수행 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성별 모두 주의집중문제가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했다. 기저모형과 경로계수에 동일성 제약을 가한 모형들 간 차이를 비교해본 결과, 전자매체를 이용한 교육시간이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제약한 모형과 주의집중문제가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제약한 모형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육목적 전자매체 이용이 아동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그 영향력이 성별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children’s educational electronic media usage time and first-grade children’s attention deficiency and academic ability. Moreover, the study explores differences in respect to such relationship based on gender. For this, structural equation model fit was investigated with data drawn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Survey between 2017 and 2018 and carried out a multi-group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boys’ educational electronic media usage time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ir attention deficiency and academic ability. Girls, however, showed lower attention deficiency and higher academic ability as they spent longer time using educational electronic media. The influence of attention deficiency on academic 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both gender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among baseline models with equality constraints, the difference between model with a constrained effect of educational electronic media usage time on academic ability and model with a constrained effect of attention deficiency on academic 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verall findings suggest that educational electronic media usage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children’s development and that such effects can vary depending on gender.
박윤현,김대웅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뉴스 기사를 통해 에듀테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에듀테크를 포함하고 있는 뉴스 기사의 연도별 빈도의 변화를 살펴보고, 에듀테크와 연관된 단어, 그리고 토픽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년 1월 1일부터 2023년 3월 31일까지 에듀테크를 포함하고 있는 뉴스 기사 10,714건을 분석하였다. 뉴스 기사 분석은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에듀테크를 포함하고있는 뉴스 기사는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둘째, 에듀테크 뉴스 기사는 열개의 토픽을 담고 있었다. 이 연구는 열 개의 토픽을 정부의 에듀테크 기업 지원, 정부의 에듀테크 산업 활성화, 교육기관의 에듀테크 활용, 교육기관의 에듀테크 도입, 사교육기관의 에듀테크 도입, 에듀테크의 발전, 교육기관의 에듀테크 지원, 에듀테크의 성장 및 확장, 정부의 에듀테크 제도 구축, 에듀테크의 맞춤형 교육 개발 및 제공(미래교육)으로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정부와 에듀테크, 교육기관과 에듀테크, 에듀테크의 방향이라는 대주제로 통합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에듀테크의 미래 교육적 가치가 높고 팬데믹 상황에서의 교육적 대응 방법으로 도움을 줄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