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페인어 직설법현재시제 동사활용표 제안-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박숙희 이중언어학회 2007 이중언어학 Vol.33 No.-

        Park Sukhee. 2007. 2. A Chart for Conjugating Verbs in the Present Indicative tense in Spanish: Analysis of the High School Spanish Textbooks. Bilingual Research 33, 55-77. The conjugated verbs in Spanish are very complicated and innumerable. Most students, specially high school students, who learn Spanish have scruples about memorizing the conjugated verbs in different tenses and moods. To save their trouble, our study aims to suggest a new chart for conjugating verbs in the Spansh present indicative tense, that will be called here “conjugation chart with stress axis”. This stress axis refers to a line connected according to the vowels of stress syllables in each conjugation set. Before applying it to the present indicative tense, we have analyzed some high school Spanish textbooks. Between various conjugation chart forms of those textbooks that are in disorder, the best form is “1 column 6 rows - left align - adhered endings form”. We try to overlap the stress axis on it. Finally, the conjugation chart with stress axis will allow the students to understand properly how to conjugate regular or irregular verbs in the present indicatve tense with the stress axis suggested by this study, and memorize it effectively. (Duksung Women's University)

      • KCI등재후보

        유아 교사의 학력에 따른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과 관련 변인들의 관계

        박숙희 한국영재교육학회 2010 영재와 영재교육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 담임학급의 유아연령, 학급유아수, 교사의 연령, 경력, 학력, 창의성관련 연수시간, 교사의 창의적 사고, 그리고 창의적 인성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에 미치는 독립변인들의 영향력이 유아교사의 학력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94명을 대상으로 하여 배경변인들에 대한 설문지와 함께 창의성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평정척도, TCT-DP, 창의적 인성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에는 유아교사의 학력에 따른 집단간 평균치의 차이가 없었으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과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는 교사의 학력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즉 2∼3년제 대학을 졸업한 교사집단에서는 창의적 사고, 창의적 인성요인이 창의성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의 하위 요인들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4년제 이상의 대학을 졸업한 교사집단에서는 이러한 변인들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또한 2∼3년제 대학을 졸업한 교사집단에서는 교사의 연령과 창의적 인성이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에 대한 유의미한 정적 예언변인이었지만 4년제 이상의 대학을 졸업한 교사집단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이 연구는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과 관련변인들간의 관계가 유아교사의 학력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인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창의성관련 연수나 교사교육 프로그램 운영시 교사의 학력변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role recognition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related variables by teacher's education. Subjects were 94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capital reg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role recognition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But, teachers who graduated from four-year-university and graduated school showed non-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eacher's role recognition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teacher's creative thinking. On the other hand, teachers who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 showed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eacher's role recognition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teacher's creative thinking. Second, for teachers who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 teacher's age and teacher's an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were statistically positive significant factor in predicting teacher's role recognition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However, for teachers who graduated from four-year-university and graduated school, teacher's age and teacher's an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were found to be non-significant factor in predicting teacher's role recognition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 KCI등재

        굴절의 음운 과정과 성조 변동

        박숙희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1 민족문화논총 Vol.24 No.-

        The most strong constraints which dominate various phonological phenomena in vowel sequences in morphological boundaries of Korean is ^*VV constraint. The tone sandhi in combinations of tone is dominated by tone neutralization rules. There are two kinds of tone sandhi. One is the alternation of tonal pattern which is resulted obligatorily from phonological processes of phonemic level. The other is the alternation of tone which is motivated entirely by tonological features of tonal tier. For the description of these phonological phenomena, I employed Gim Cha-gyun's phonology(1981, 1990, 1997) and tonology(1977, 1993, 1999) based on generative phonology. After I compared various phonemic and tonal phenomena in inflectional forms of verbs of ten tone dialects of Korean, I ascertained four regular phonological facts. The first, when one vowel in the given vowel sequence is deleted, the tone of that syllable is deleted also. And that deleted tone is not represented at the surface form. The second, when both vowel in the given vowel sequence are contracted to one with tone contraction, Sangseong(H‥/M) pattern is represented at the surface form. But Gyeongnam Dialect, which does not respect ^*VV constraint, does not have this 'Geoseong(M)+Geoseong(M) →Sangseong(H‥/M)' rule. The third, there are two tone alternation rules. One is 'Pyeongseong(H) →Geoseong(M)'. When {Xa-, X∂-, Xu-} with Pyeongseong pattern followed by {-∂(X)/a(X)} with Geoseong pattern, that Pyeongseong pattern turns to Geoseong pattern. In some dialects, Pyeongseong pattern of {Xu-} is contracted with the following vowel to Sangseong pattern. The other rule is 'Sangseong(H‥/M)→Pyeongseong(H)'. All verbs with Sangseong pattern except about ten verbs which end consonants turn to the verbs with Pyeongseong pattern.

      • KCI등재

        미래사회 핵심역량으로서의 영성지능 개념화

        박숙희,이충범 한국인격교육학회 2018 인격교육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the meaning of spiritual intelligence as core competency of future society to liv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search spiritual education plan as a key element of saramdaum education.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various concepts of spirituality proposed by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rs, and conceptualizes spiritual intelligence based on them. In addition, we analyzed the opinions of related scholars about how spirituality education can be done for the development of spiritual intelligence, and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of happiness, self-actualization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saramdaum education, holistic education, and spirituality education. And suggest the basic direction of spiritu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practice of saramdaum education by presenting the education plan of spiritual intelligence that can function as core competency of future society. 본 연구의 목적은 4차산업혁명시대를 살아갈 미래사회 핵심역량으로서의 영성지능의 의미를 개념화하고 인격교육의 핵심요소로서의 영성교육 방안을 탐색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문헌연구를 통해 국내외 연구자들이 제안하고 있는 영성 및 영성지능에 대한 다양한 개념들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영성지능을 개념화하였다. 또한 영성교육과 인격교육 및 홀리스틱교육, 행복교육, 자아실현교육 등에 관한 관련 학자들의 견해를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였고, 인간의 행복과 자아실현을 궁극적인 지향점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래사회 핵심역량으로서 기능을 할 수 있는 영성지능을 개념화하고 영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인격교육 실천에 의미있는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유아 어머니의 우울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 탐색

        박숙희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4 창의력교육연구 Vol.14 No.4

        It is a common tendency that precedent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depression have been done mainly for persons who showed excellent creative achievements in art area. This research aims at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creative personality for mothers rearing their young children.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Ha(2001)'s creative personality inventory were conducted for mothers having 3~6 year-old children. Questionnaires given to 114 mother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of r=-.35(p<.001) between sub-factors of young children's mothers. Second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scores between groups having higher and lower creative personality scores(t=-3.06, p<.01). Thirdly, as the result of dividing into the depressed and normal groups based on the cut-off score and comparing difference of their creative personality scor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ly for the self-confidence factor(Z=-3.55, p<.001). Fourthly, self-confidence was the sub-factor of the creative personality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ression scores(t=4.23, p<.001).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creativity for ordinary people rather than groups who showed outstanding creative achievements in the certain areas like arts, particularly identifying that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creative personality for mothers who are nurturing their young children. 창의성과 우울 간의 관계에 관한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들에서는 예술영역에서 탁월한 창의적 성취를 이룬 사람들을 주된 연구대상으로 해온 경향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여 우울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를 탐색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3~6세의 자녀를 둔 어머니에게 벡의 우울척도와 하주현(2001)의 창의적 인성 검사를 실시하였고 총 114명의 응답지를 최종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어머니의 우울과 창의적 인성의 하위 요인 간에는 r=-.35(p<.001)의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창의적 인성 점수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우울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06, p<.01). 셋째, 절단점수(cut-off score)를 기준으로 우울 집단과 정상 집단으로 분류하여 창의적 인성 점수의 차이를 비교해본 결과 자기확신 요인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Z=-3.55, p<.001). 넷째, 우울 점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창의적 인성의 하위요인은 자기확신이었다(t=4.23, p<.001). 본 연구에서는 예술과 같은 특정 영역에서 탁월한 창의적 성취를 이루는 집단이 아닌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여 우울과 창의성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특히 자녀를 양육하는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여 우울과 창의적 인성 간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창의적 인성 하위 요인 중 자기확신이 우울의 부적 예언변인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A la recherche du feminin perdu : le probleme de feminisation en francais

        박숙희 한국프랑스학회 2004 한국프랑스학논집 Vol.47 No.-

        현대 사회에 아직 남아 있는 과제 중 하나가 성차별(Sexisme)에 관한 것 일 것이다. 시몬 드 보브아르(Simone de Beauvoir)가 언급했듯 “여자는 여자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여자로 만들어진다”고 한 사실을 기억한다. 오래 전부터 여성들은 여러 입장에 처했을 때 남성들에게 양보와 관용을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교육에 의해 배워 왔다. 종교와 철학이 이를 악용한 사실은 역사적 사례로서 남아 있다. 그러나 어떤 사회적 운동도 여성 평등에 관한 예처럼 빨리 급진적으로 해결된 게 없다는 사실을 안다면 이 문제는 긍정적으로 해결될 수 있는, 다시 말해, 시간의 문제라고 할 수 있겠다. 물론 여기에는 남성들의 협조가 큰 힘이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구미 언어에 남아 있는 여성 차별 문제를 사회 언어학적 문제에서 접근하고자 했다. 언어에 이런 성차별적인 흔적이 아직 남아 있다면 이는 분명 잘못된 것임에 틀림없을 것이다. 만일 프랑스어에서 “Le médecin vous attend”이라고 하였는데 실제 지칭 대상이 여성이었다면, 또 분명 여자 수상이건만 프랑스 언어에서 여전히 “le Premier Ministre”라고 명명한다면 이는 언어적 모순이겠다. 남성형 뒤에 숨은 여성은 어디로 간 것일까? 그리고 오히려 여성들이 더욱 남성형으로 불리우길 원하며 여성형으로 불리는 걸 이상하게 여긴다면 문제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 물론 지금껏 우리가 배운 문법책에서는 분명 남성형으로 여성을 지칭하는 예가 많다. 그리고 그것을 정식 불어 문법이라고 배웠으니 당황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만약 이 여성형이 그 옛날 이미 존재하였다면? 그리고 어느 시점에서 필요에 의해 남성형으로, 즉 일반적 성(Genre Générique)이란 이름 아래, 교체가 되었다면, 그리고 이제 여성들의 많은 사회 진출과 병행해서 사회적으로 높은 지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남성 명칭으로 불리어 져야 한다면? 과연 Féministes적 관점이 아니더라도, 모순이 아닐까? 필자의 관점으로 볼 때 여성들은 아직 많은 것을 양보하고 있는 듯 하다. 더욱 언어가 사회 전반에 걸쳐 전체 구성원들의 의식에 미치는 사실을 생각한다면 문제는 심각하다. 필자가 1991년 이 논제에 관심을 가진 즈음은 프랑스에서의 여성형에 대한 언어 현실은 진정 심각하였다. 그러나 이제 여성들의 높은 사회 진출과 함께 여성형 사용의 빈번한 예를 목격할 수 있게 되었다. 언론의 특별한 관심과 노력으로 이런 변화는 더 가속화 될 줄 믿는다. 같은 프랑스어권이지만 예를 들어 카나다 퀘벡은 genre의 평등화, 즉, 여성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은 Académie Française의 완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본토에도 분명 변화가 있을 것을 예견하게 한다. 필자는 끝으로 여성의 입장에서 이 연구를 각별한 애정의 마음으로 하였다는 사실을 밝히고 싶다.

      • 자궁외 임신 환자의 일례 분석과 간호

        박숙희 제주한라대학 1978 論文集 Vol.4 No.-

        This is a nursing study on the patient with ectopic pregnancy. The conclu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Most of the patients with ectopic pregnancy come to hospital with vaginal bleeding suddenly, we have to do skillful nursing care as quick as possible to prevent form them shocking by bleeding. 2) To diminish the rate of maternal mortality, it is very important to be performed surgical operation promptly by rapid, accurate diagnosis. 3) Personal hygiene should be demanded thoroughly lest intrapelvic inflammation should occur in order to prevent ectopic pregnancy. 4) They should not be damaged in mental and physical health from artificial pregnancy ceasing operation : they can be rescued from it by an appropriate contraception. 5) A good, persistent nursing care of pre & postoperation makes patients, prognosis to be good, and an appropriate nursing care should be done to suit individual nursing need.

      • 예비영유아교사의 다중지능 프로파일 패턴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분석 -H대학교 아동보육학과 학생을 중심으로-

        박숙희 한국아동보육실천학회 2014 아동보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영유아교사의 다중지능 프로파일 패턴을 분석하고 이러한 패턴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소재한 H대 학의 아동보육학과 재학생 80명을 대상으로 하여 문용린(2004)의 다중지능검사를 실시하였고, 음악지능, 신체-운동지능, 논리-수학지능, 공간지능, 언어지능, 대인관계지능, 자기이해지능, 자 연친화지능 등 8가지 지능의 프로파일을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 80명 중에서 12명은 2 년 간격을 두고 반복측정한 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아동보육학과 재학생들은 대인관계지능과 자기이해 지능이 가장 높았던 반면에 자연친화 지능은 가장 낮았으며 학년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2년 간격 반복 측정한 결과에서도 서로 다른 시기에 측정한 두 개의 프로파일 패턴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예비 영유아교사의 다중지능 프로파일 패턴 을 분석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양상을 밝힌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보육 실천에 참고가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동사 운율구의 내부구조와 음조 실현

        박숙희 한국어문학회 2003 語文學 Vol.0 No.80

        In this article, I described various tonological phenomena of inflectional forms of the verb 'nagada(나가다)-class' of Gangwon dialect, Gyeongbuk dialect, Gyeongnam dialect. On the foundation of this work, I regard 'nagada(나가다)-class' is a prosodic verb phrase in phonetic level and the underlying tone pattern of this is, for example, 'na#gada(ㆍ나^(#)가ㆍ다)'/M^(#)H_(M-1)M/. And I say that all tonological representations of inflectional forms of this class are very regular. In Andong dialect of Gyeongbuk dialect, [MHHM_(0)] which is very unusual tonological pattern of Gyeongbuk dialect alternates with [MMHM_(0)] freely. And we can say that there might be some tonological assimilation cased by a psychological motivation which pursue simple and universal tonological pattern, because [MMHM_(0)] is one of the most universal patterns of all tone languages in Korean. On the other hand, in Gyeongnam dialect, a very important tonological phenomenon has been noticed. It is that the tonologicaI pattern of [MHHM_(0)](for example,ㆍ나^(#)ㆍ가ㆍ는ㆍ데) of inflectional forms of 'nagada(ㆍ나^(#)가ㆍ다)-class' has been represented systematically as low as 'Sangseong pattern' of [LMMM_(0)]. To say something about this, we should have much more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