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구운몽> 연구

        박세영 강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6 江南語文 Vol.9 No.-

        <구운몽>은 조선시대 소설 중 문학적 형상이 가장 탁월한 작품으로 평가되어 연구자들의 관심이 집중되어 온 17세기 후반의 소설이다. 이 소설은 윤몽소설, 선몽소설이란 새로운 형태에다, 종교성과 철학성을 깊이 깔아 놓았기 때문에 작품의 총체적 얼개는 비평가의 도움이 필요한 난해성까지 보여주며 이러한 난해성과 관련된 연구가들의 견해 차이는 구운몽의 주제나 사상론에서만이 아니라, 주인공의 논의란 기본적인 문제까지 혼란성을 드러내고 있다.(그래서 <구운몽>에 대한 연구는 연구사가 나올 정도로 양적인 축적이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기존 대부분의 연구들이 불교적 배경사상만을 중심으로 연구해왔고, '현실-꿈-현실'의 구조라는 도식적인 형태로 이루어져있다. 이에 우리는 작가를 중심으로 한 사상과 구조의 연관관계 및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원용한 분석과 다른 작품과의 비교를 통한 구운몽의 위상, 작중 인물을 통한 사회의 반영이라는 여러 각도로 구운몽의 현실적 의의를 찾고자 한다.

      • < 구두-D-04 >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을 이용한 국내 침엽수종의 화학성분 함량 예측 모델 개발

        박세영,김종찬,연승헌,김종화,양상윤,권오경,여환명,최인규 한국목재공학회 2018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1

        목재는 가구, 건축분야는 물론 화학제품의 원료로써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특성에 따라 용도가 결정된다. 특히, 목재의 화학성분 조성은 원료 특성에 영향을 주므로 이에 대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받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을 이용하여 비파괴적으로 목재 내 화학성분 정보를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전문성 및 숙련도가 요구되는 습식 분석법에 비해 간단한 기기 조작으로 신속하게 목재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서 그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을 이용한 국내 침엽수종의 화학성분 예측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낙엽송, 삼나무, 편백, 소나무, 잣나무를 여러 지역의 산림조합으로부터 제재목 상태로 공급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수종별 250 개체의 톱밥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0.5 mm 크기로 분말화 하여 Unity Scientific사의 SpectraStar 2600XL을 이용하여 근적외선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총 1,250개). 화학성분 예측 모델 개발을 위하여 ‘Mahalanobis distance’ 이론에 근거하여 총 150개의 대표 시료를 선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리그닌 및 추출물 함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부분 최소자승법(partial least square)을 통한 화학성분 회귀모델은 Ucal ver 3.0(Unity Scientific, US)의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개발하였으며, 수학적 전처리로는 standard normal variate, detrend 및 forward gap 1st derivative(gap size=8, smoothing=8)가 적용되었다. 예측 모델의 신뢰도는 검량(calibration)과 교차검증(cross-validation)으로 각각 평가하였다. 대표 선별시료의 화학성분 값은 낙엽송의 경우 추출물 1.5~6.6%, 리그닌이 23.3~29.7%였으며, 삼나무는 추출물0.7~7.1%, 리그닌 30.3~36.8%, 편백은 추출물 1.3~6.2%, 리그닌 29.8~36.7%로 분석되었다. 한편, 추출물 함량차가 컸던 소나무와 잣나무의 경우는 각각 추출물이 3.9~18.3%, 3.3~22.7%, 리그닌이 23.1~32.8%, 22.0~28.4%로 나타났다. 각 수종에 대한 추출물 및 리그닌 함량 예측 모델의 결정계수 R2는 낙엽송 0.959, 0.989, 삼나무 0.999, 0.999, 편백0.936, 0.998, 소나무 0.982, 0.967, 잣나무 0.990, 0.987로 상당히 우수한 신뢰도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국내 침엽수종의 화학성분 함량의 신속한 측정이 가능하였으며, 수종의 확장을 통해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을 이용한 목재 화학성분 예측 모델 개발이 지속적으로 수행될 예정이다.

      • KCI등재

        한중소비자의 소고기와 돼지고기의 소비요인 실태 분석

        박세영,김상만,김희걸,이상현,허용봉,강종원,이종인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8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2 No.5

        한국과 중국은 경제발전으로 인하여 육류 소비 패턴이 지속적으로 변화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들이 육류를 구매함에 있어 구매요인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나타난다면 그 요인의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17년 8월 28일부터 9월 11일까지 온라인 조사 방식으로 한국과 중국 길림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동일한 내용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한국 설문조사에서 339부, 중국 설문조사에서 305부를 회수하여 총 644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한․중 양국 소비자의 육류 구매요인 차를 확인하기 위하여 MANOVA분석을 이용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Ordered Probit분석을 통해 각 육류 소비요인과 국가, 나이, 성별 등의 변수 간 차이가 있는지, 차이가 얼마인지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한국과 중국 길림성의 육류 소비요인은 마블링 요인에서만 차이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타 요인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Ordered Probit분석 결과 마블링을 제외한 모든 육류요인은 양국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의 응답자의 경우 육류 구매 시 중국 길림성의 응답자보다 맛, 품질, 판매가격, 판매장소, 안전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중국 길림성의 응답자의 경우 한국의 응답자보다 브랜드를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economic development of South Korea and China, meat consumption has been showing a rapid change in both two countries.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meat purchasing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Therefore, in this study, a meat consumption related questionnaire has been conducted to both Chinese(Jilin Province) and Korean consumers from August 28th to September 11th, 2017. First, we examin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meat purchas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through MANOVA analysis. Then, we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actors of meat purchasing and variables such as nation, age, and gender by Ordered Probit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rbling as a meat purchasing factor between Jilin province and Korea, and other factors were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Ordered Probit analysis result, all meat purchasing factors except marbling were found to be different by countries. Korean thinks that taste, quality, selling price, place of sale and safety are more important than Jilin province's consumers in China when purchasing meat, and Jilin province's respondents think brand is more important than Korean consumers.

      • KCI등재

        Fairness scale development in the tourism domain

        박세영,이원석,문준호 한국관광연구학회 2019 관광연구저널 Vol.33 No.4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socially acceptable scale to measure fairness (SAS-Fairness scale) in the context of tourism. It is because fairness is an essential element to accomplish sustainability in diverse domain. To develop the fairness scale, we reviewed a wide range of fairness-related studies in multiple areas to discern the subtle nuances of fairness and referred to scale development studies/guidelines to develop sophisticated statements. After an in-depth review of previous studies, a total of 61 items under 5 sub-dimensions (i.e., cooperation, altruism, virtue, trust, and communication and embrace) of fairness were initially formulated, and 7 to 10 items were created and assigned to each main theme. To test the validity and consistency of the developed statements, we distributed 330 questionnaires to Korean university students (excluding 10 of 330 in the final sample due to insincere or missing responses). For the data analysis, this research carried ou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As a theoretical contribution, we provide segmented sub-dimensions of fairness, which in turn enhance the current body of knowledge on fairness. As a practical implication, the study results will enable tourism administrators and researchers to accurately measure fairness, in turn facilitating future empirical studies.

      • KCI등재

        성격 유형에 따른 레저동기, 레저제약 및 레저만족의 차이

        박세영 한국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leisure motivation,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satisfaction, and to identify differences of leisure motivation,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Total of 534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According to Holland, personality type was classified into realistic, investigative, artistic, social, enterprising, and conventional type.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leisure motiv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and between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satisfaction. But correlation between leisure motivation and leisure constraints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of leisure motivation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was significant. Leisure motivation of conventional type were higher than investigative, enterprising, realistic, and artistic type. Differences of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were not significant. However, the post-hoc comparisons showed that social, realistic, enterprising, and investigative type were higher than conventional type in lack of interest, and social and enterprising type were higher than artistic type in lack of partners. Conventional type was higher than investigative, enterprising, realistic, and artistic type i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onventional type was higher than enterprising type in social satisfaction. Relaxational motivation accounted for meaningful variation in leisure satisfaction for the total personality types, competence-mastery motivation accounted for meaningful variation in leisure satisfaction for the total personality types except investigative type, and intellectual motivation accounted for meaningful variation in leisure satisfaction for investigative type. Lack of interest accounted for meaningful variation in leisure satisfaction for realistic, artistic, and conventional types. Because of different leisure motivation factors and leisure constraints factors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it is necessary to provide different leisure activities considering personality type. 본 연구는 레저 활동 참가자들의 레저동기, 레저제약 및 레저만족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격 유형에 따라 레저동기, 레저제약 및 레저만족이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며, 성격 유형별로 레저만족에 대한 레저동기와 레저제약 요인들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총 53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성격 유형은 Holland의 이론에 근거하여, 현실형(R), 탐구형(I), 예술형(A), 사회형(S), 진취형(E), 관습형(C)의 여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레저동기와 레저만족 간에 정적 상관이 있고, 레저제약과 레저만족 간에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레저동기와 레저제약 간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성격 유형에 따라서는 관습형이 진취형, 탐구형 및 예술형보다 레저동기가 높았지만, 레저제약과 레저만족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렇지만 사후비교를 한 결과, 레저제약 요인으로 사회형, 현실형, 진취형 및 탐구형이 관습형보다 흥미 부족을 더 보였고, 사회형과 진취형이 예술형보다 동반자 부재가 더 많았다. 또한 레저만족의 경우에 관습형이 탐구형, 진취형, 현실형 및 예술형보다 교육적 만족을 더 느꼈고, 관습형이 진취형보다 사회적 만족을 더 느꼈다. 휴식적 동기는 모든 성격 유형에서 레저만족을 설명하였고, 인지효능적 동기는 탐구형을 제외한 모든 성격 유형에서 레저만족을 유의하게 설명하였으며, 탐구형에서만 지적 동기가 레저만족을 설명하였다. 흥미 부족은 현실형, 예술형 및 관습형에게 레저만족을 설명하는 유의한 예언변수였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레저만족을 증가시키기 위해 레저동기를 높이고 레저제약 요인을 제거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성격 유형에 따라 레저동기와 레저제약 요인이 다르므로 성격을 고려한 맞춤형 레저 활동을 제공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펨토초라식수술과 스마일수술 전후의 대비감도 단기간 임상결과

        박세영,곽주영,현주,박규홍,정성근,최진석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8

        Purpose: To compare contrast sensitivity before and after surgery in patients who underwent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LASIK) and small-incision lenticule extraction (SMILE). Methods: From February 2019 to April 2019, 20 patients who underwent LASIK, and 21 who underwent SMILE, were compared before, one day, one week, and one month after surgery. Results: On postoperative day (POD) 1, contrast sensitivity was better in the LASIK group than in the SMILE group under all conditions for 1.6, 1, and 0.64 cycles per degree (cpd). One week after surgery, the contrast sensitivity of the LASIK group was better than that of the SMILE group under photopic conditions with glare for 1.6, 1, and 0.64 cpd, under photopic conditions without glare for 1 and 0.64 cpd, and under all scotopic conditions for 2.5, 1.6, and 0.64 cpd (p < 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except under the scotopic conditions without glare for 0.64 cpd at one month after surgery. In the LASIK group, the contrast sensitivity was best at one week after surgery. The SMILE group showed the poorest contrast sensitivity on POD 1, but this gradually improved. Conclusions: The LASIK group had better contrast sensitivity on one day and one week after surgery than the SMILE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one month after surgery. In the LASIK group, the contrast sensitivity was best at one week after surgery. In the SMILE group, the contrast sensitivity was worst on POD 1. 목적: 라식수술과 스마일수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수술 전과 수술 후 초기의 대비감도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9년 2월부터 2019년 4월까지 라식수술을 받은 환자 20명, 스마일수술을 받은 환자 21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 수술 1일 후, 수술 1주 후, 수술 한 달 후의 눈부심 유무와 명소시, 암소시 조건에 따른 대비감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후 1일째 모든 조건의 1.6, 1, 0.64 cycle per degree (이하 cpd)에서 라식수술군이 스마일수술군보다 대비감도가 더 좋았고, 수술 후 1주째에 눈부심 있는 명소시의 1.6, 1, 0.64 cpd, 눈부심 없는 명소시의 1, 0.64 cpd, 눈부심과 관계없는 암소시의 2.5, 1.6, 0.64 cpd에서 라식수술군의 대비감도가 더 좋았다(p<0.05). 경과 관찰에 따른 대비감도의 변화를 비교하였을 라식수술군은 수술 후 1주째의 대비감도가 가장 좋았고, 스마일수술군은 수술 후 1일째 대비감도가 가장 좋지 않았다. 결론: 라식수술군이 스마일수술군에 비해 수술 후 1일째, 1주째의 대비감도가 좋았으나 한 달째에는 두 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 라식수술군은 수술 후 1주째에 가장 대비감도가 좋았고, 스마일수술군은 수술 후 1일째에 가장 대비감도가 좋지 않았다가 점차 회복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