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대 뒤의 목소리와 무대미술가의 자기 인식―아르코예술기록원 소장 무대미술가 구술자료를 중심으로

        박미란 한국극예술학회 2023 한국극예술연구 Vol.- No.78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activities of stage artists who have been marginalized in existing theatrical history narratives, to reveal the aesthetic contributions of stage artists in the 1960s and 1970s, considered a turning point in Korean theatre, and to shed new light on the landscape of the theatre scene during this period, based on the oral histories of Choi Bokyung, Yang Junghyun, Byun Changsoon, and Lee Byungbok. They position themselves as ‘performance artists’ rather than ‘stage technicians’, emphasizing their professionalism and fighting against the low perception of the performing arts through narratives about their independence from the theatre company or director and their creative contribution to the performance. There is also a sense that they are part of the current trends and challenges of Korean theater, which is the search for what is Korean. While the oralists who worked on costumes and staging share a common emphasis on the fact that their work was a creative process based on images and symbols, rather than a reproductive process of realistically creating a “setting,” they also present distinct aesthetic perspectives, which allows u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 in Korean theater since the 1970s. To understand the unique features of their works and perspectives, one must examine their performances or the aesthetic foundation of the works in conjunction with plays and directing and examine them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이 연구는 최보경, 양정현, 변창순, 이병복의 구술채록문을 바탕으로 기존의 연극사 서술에서 소외되었던 무대미술가의 활동을 조명함으로써 한국 연극의 전환기로 일컬어지는 1960-70년대에 활동한 무대미술가들의 자기 인식과 미학적 기여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들은 극단이나 연출가로부터의 독립적 지위와 공연에 대한 창조적 기여에 대한 서술을 통해 무대미술에 대한 낮은 인식과 싸워왔던 자신들의 전문성을 강조하면서 ‘무대 기술자’가 아닌 ‘공연 예술가’로서 자신을 위치시킨다. 또한 이들에게는 전통의 현대화와 실험적 무대라는 한국 연극의 과제에 동참하고 있다는 인식이 나타나는데, 의상과 무대를 담당했던 구술자들은 자신들의 작업이 ‘배경’을 사실적으로 구현해내는 재현적인 작업에서 탈피하여 이미지와 상징에 기반한 창조적 작업이었음을 공통적으로 강조하면서도 서로 구분되는 미학적 관점을 제시한다. 이들이 각기 보여주는 관점과 작품의 특색은 1970년대 이후 한국 연극계에서 전통의 현대화가 진행된 방향을 다각도로 살필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주로 활동했던 극단의 공연이나 작품의 미학적 근거를 입체적으로 살펴보아야 함을 알 수 있게 하는 것이다.

      • KCI등재

        구술채록 기반 예술인 관계망의 활용 방안 연구

        박미란 구보학회 2022 구보학보 Vol.- No.30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application of the artist network based on oral records promoted by the ARKO Arts Archive, and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to solve expected problems. Since the artist networks has an oral centrality, the person-person relationship is implemented asymmetrically, and when paying attention to this asymmetry, various research topics and new perspectives can be found. Therefore, in order for user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symmetry without misunderstanding,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original text of the oral record so that the user can read the original text. In addition, by adding network analysis and visualization to the artist network,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acroscopic view of the collective relationship in which artists are placed. If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view the network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such as person, gender, and genre, and if centrality analysis is possible, users will be able to grasp and interpret the topographic map of the art world in a more multidimensional manner. Finally, in order to utilize the specific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oral record, a keyword network that is not limited to the character network is need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search functions and keyword networks using topic modeling techniques and network analysis techniques, oral records can be used more abundantly. With this study, I hope to help improve the archive and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another archive centered on oral records. 이 연구는 아르코예술기록원에서 추진한 구술채록 기반 예술인 관계망 기초데이터를 바탕으로, 현재 설계된 예술인 관계망의 특성과 활용 방안을 살피고 예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예술인 관계망은 구술자 중심성을 지니기 때문에 인물-인물 관계가 비대칭적으로 구현되는데, 이 비대칭성에 주목하였을 때 다양한 연구 주제와 새로운 시각을 발견할 수 있다. 이때 이용자의 오독을 피하고 비대칭성의 의미를 인지시키기 위해서는 구술 일화 원문을 제공하여 이용자가 구술자의 실제 발화를 읽을 수 있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예술인 관계망에 네트워크 분석 및 시각화를 더함으로써 예술인들이 놓인 집합적 관계에 대한 거시적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 구술자별, 성별, 장르별 등 특정 조건에 따라 네트워크의 선택적 보기가 가능하고 여기에 중심성 분석이 더해진다면 이용자가 예술계의 지형도를 보다 다차원적으로 파악하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구술채록문에 담긴 구체적인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인물 관계망에 한정되지 않는 키워드 관계망이 필요하다. 토픽 모델링 기법과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한 검색 기능과 키워드 관계망 구현을 통해 구술채록 자료를 보다 풍부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예술인 관계망 아카이브를 실제화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며, 구술 채록을 중심으로 하는 또 다른 아카이브 구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비대면 이머시브 연극과 연결의 감각―앤드씨어터의 <극장을 팝니다>(2020)를 중심으로

        박미란 한국극예술학회 2022 한국극예술연구 Vol.- No.76

        이 연구는 <극장을 팝니다>를 중심으로 비대면 이머시브 연극이 관객의 몰입과 현장성을 이끌어내기 위해 사용한 전략과 관객과의 상호작용 방식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극장을 팝니다>는 안내자의 목소리가 만들어내는 청각적 환경 속에서 안내자의 개인적인 기억을 지속적으로 발화하고 극장의 내밀한 공간을 개방하며 관객에게 친밀감과 유대감을 만들어낸다. 관객이 안내자의 행동을 체현하거나 안내자의 요청에 따라 자신의 기억을 떠올리는 과정에서 안내자들이 발화하는 극장의 의미가 관객에게 확장된다. 또한 이 공연은 관객이 극장을 체험하는 과정에서 극장의 공공적인 의미를 인식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공연은 과거 이 극장에 있었던 것과 지금은 없는 것, 그리고 앞으로 있어야 할 것을 강조하며 관객이 폐허의 이미지로 드러나는 ‘빈 극장’을 공연자와의 시간적 격차 속에서 감각하도록 한다. 이와 함께 <극장을 팝니다>는 1인 관객의 형식으로 관객의 개별적 체험을 강조하면서도 같은 시간 다른 장소에 존재하는 잠재적 관객을 인식할 수 있게 하고, 관객들이 모이는 장면을 통해 관객의 극장 경험이 온전히 개인적인 경험으로 갇히지 않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이 공연은 극장을 매개로 한 관객과 공연자, 극장과 시민의 연결을 주제화하면서 관객의 개별적 경험을 공공성에 대한 사유로 확장해낸다. 다만 관객 사이에 함께 공연을 보거나 만들고 있다는 공유와 연결의 감각은 약화되어 있는 바, 잠재화된 관객들을 어떻게 만나게 할 것인가, 개별화된 관객들을 어떻게 연결시킬 것인가에 대한 모색이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성매매피해자 지원시설 종사자의 현장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박미란,김혜원,조혜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3 여성연구 Vol.117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what are the working experiences and changes of awareness of workers, who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anti-prostitution and rehabilitation in the prostitution victims support facilities. For this, four staffs with more than 5 years of the field expediences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s an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narrative method developed by Clandinin & Connelly. The results of narrative data analysis were constituted as follow meanings. First, early experiences of workers in the prostitution victims support facilities were understood as ‘getting involved by happenstance’, Second, their continuing support experiences working for the victims were analyzed as ‘the process of growing together’. Third, the participants’ narratives were drawn as ‘the tasks to be pursued together’ as a future support dire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describes the difficulties and hardships experienced by prostitution victims facilities from insiders’ perspectives, Based on this finding, our society’s general perception on the victims of prostitution should be changed and more realistic measures need to be provided. 본 연구는 성매매 근절 및 탈성매매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성매매피해자 지원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현장 업무 수행과정에서 이들은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인식 변화는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근무 경력 5년 이상인 종사자 4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인터뷰 자료는 Clandinin과 Connelly의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내러티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의미화 되었다. 첫째, 성매매피해자 지원시설 종사자들의 초기 경험은 ‘우연으로 맺은 인연’으로 해석되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의 성매매피해자 지원 경험이 쌓여가는 과정에서 이들의 내러티브는 ‘함께 성장하는 과정’으로 의미화되었다. 셋째, 이들이 바라는 향후 지원 방향에 대한 내러티브는 ‘함께 풀어가야 하는 과제’로 구성되었다. 결론적으로 연구참여자들의 내러티브를 통하여 성매매피해자 지원현장의 고충과 어려움에 대한 내부자적 관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향후 성매매피해자에 대한 우리 사회 전반의 인식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며, 보다 현실적인 대안 모색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학교 역사교과서 교사 집필자의 역할 구현에 대한 질적 연구

        박미란,박현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역사(상) 교사 집필자와의 면담을 통해 교사 집필자의 역할 구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자들은 집필이 본격화되기 전 ‘전문가로의 진입’, ‘이상적인 교과서에 대한 꿈의 현실화’라는 막연한 역할 기대를 하며 설레어했다. 이후 본격적인 집필 활동 속에서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쉽고 맥락 있는 서술하기’, ‘교실 현장 담기’, ‘아이들 마음 읽어내기’ 등의 구체적 행동으로 교과서를 디자인해 갔다. 그러나 교사 집필자들의 역할은 제약과 한계라는 장벽에 부딪혔다. 제약과 한계의 원인은 전문성의 한계에 있기도 하였고, 출판사의 상업성과 교육과정의 규정성 등에 있기도 하였다. 하지만 교사 집필자들은 포기하지 않고 집필을 완료하였으며 스스로의 역할을 ‘교수 집필자를 보완하고 출판사 조력을 받으며 현장을 반영하는 대변자’로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학문적 전문성 신장 차원에서 역할 구현에 만족감을 표시하였다. 그러나 역할 구현을 방해하는 제약과 한계에 아쉬움을 나타내기도 했다. 그러나 아쉬움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보완 방법을 제시하기도 했다. 본 연구는 이후 더 좋은 교과서를 제작하는 데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교수 집필자와 출판사 편집자들과의 면담이 배제되었고, 새로운 역사 교과서에 대한 현장 반응을 조사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추후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역사교과서 제작과 검정 과정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xact role played b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writing of History(I)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whole process through several interviews with them. The results show that before the actual writing, they had expected the experience to be an opportunity for them to become ‘experts’ and realize the ‘dream of writing an ideal textbook.’ However, during the actual writing, they, based on their classroom experiences, tried to design a textbook with specific activities such as ‘writing in an easy and coherent manner,’ ‘picturing the classroom, and ‘reading children’s minds.’ Some of the initial plans they had as textbook authors were modified because of certain constraints and limitations. The classroom experiences themselves, the publisher’s profit-oriented stance, the curricular regulations, and others functioned as restricting factors. Yet the teachers persevered with the difficulties and finally finished the writing. And they came to realize that their role is to assist the ‘professor-writers’ and provide actual classroom experiences with the help of the publisher.’ They also expressed satisfaction with respect to the development of their expertise. They nonetheless felt a sense of frustration at the restraints on their role. This paper only interviewed teacher participants. The exclusion of the professors and the editors from the interviewing process makes it hard for this study to show all the responses to the new environment of textbook writing. Further studies in this direction hopefully will ensue. This kind of studies will contribute to writing better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