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 - 유아 상호작용 유형과 기질에 따른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민혜영 미래유아교육학회 1999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how the teacher-children interaction and the temperament of early childhood affect the rating of a child's social development. Subjects consisted of 110 children their parent and teachers.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teacher-children interaction scale and the questionnaires including Iowa Social Competency Scale(Pease et al., 1979), Parent Temperament Questionnaire(Thomas & Chess, 1977), and the Social Attribute Checklist(Katz & McClellan, 1992).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 based on two-way ANOVA.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ating of social development by parent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eacher-children interaction and child's temperament. The highest ratings were shown in the positive interaction groups which gained the positive temperament point more than average. Second, rating of social development by teacher was much influenced by teacher-children interaction and child's temperament. The highest ratings - appeared in the positive interaction groups with the positive temperament point more than average.

      • KCI등재

        누리교육과정에서의 유아평화통일감수성 증진을 통한 미래통일세대 교육

        민혜영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0 평화학연구 Vol.21 No.4

        This study is designed to educate preschoolers about the concept of more positive unification and post-unification life in preparation for unification. The topic is "Peaceful Unification Sensitivity," which fosters the feeling of unification for preschoolers who are the leading generations of unification, and gain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meaning and the imperativeness. The perception of peaceful unification of the preschoolers, which is the ability of sensing the importance of the unification is a concept that can elicit empathy for unification. It should take place before all unification education covered at the educational site. This study regards the representative elements of the sense of peaceful unification of preschoolers and seeks ways to learn the importance of peaceful unification from an early age by enhancing the sensitivity of preschoolers' unification. In the field of actu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se elements with each area of the Nuri curriculum. 본 연구는 통일을 대비하여 유아들을 대상으로 보다 긍정적인 통일의 개념 및 통일 이후의 삶을 교육하기 위한 연구로, 통일의 주역세대인 유아들에게 통일의 의미와 당위성, 통일 이후의 삶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접근을 위해 통일에 대한 느낌을 길러주는 평화통일감수성을 주제로 삼았다. 유아들의 평화통일에 대한 느낌 혹은 통일의 중요성을 느끼는 감지 능력인 평화통일감수성은 교육현장에서 다루고 있는 모든 통일교육에 앞서 이루어져야 하는 통일에 대한 감정이입을 이끌어낼 수 있는 개념이다. 이에 유아 평화통일감수성의 대표적인 요소들을 연구해보고, 이러한 요소들을 유아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의 각 영역과 접목해 봄으로써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들의 통일에 대한 감수성을 높여주어 평화통일의 중요성을 어린 시절부터 배워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한국어판 윤리적 민감성 측정도구 타당도와 신뢰도

        민혜영,김윤정,이정민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20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31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thical Sensitivity Questionnaire for Nursing Students (KESQ-N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38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e. The Korean version of ESQ-NS (KESQ-NS) was examined using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criterion-related validity, and testing of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to December of 2019 through an online-survey. Results: The KESQ-NS that was composed of 13 items was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patient, patient holistic care, patient privacy, and confidentiality. The instrument explained 67.9% of the total variance for ethical sensitivity. Cronbach’s ⍺ was .88. Conclusion: The KESQ-NS showed good validity and reliability. This instrument can be used to evaluate ethical sensitivity in nursing students in Korea.

      • KCI등재SCOPUS

        인터넷 서점의 사회과학분야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민혜영,이성숙,Min, Hye-Young,Lee, Sung-Sook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12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43 No.1

        전자상거래의 발달로 출판유통시장에서의 인터넷 서점의 비중은 해마다 높아지고 있다. 전자책의 보급에 따라 인터넷 서점에서의 도서검색은 앞으로 더욱 활발해질 것이며, 인터넷 서점의 도서 분류체계의 중요성 또한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는 인터넷 서점 사회과학 도서의 효율적인 검색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으며, 국내 외 10개 인터넷 서점의 분류체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사회과학 도서 분류체계 설계안을 구성하여 향후 사회과학 도서의 분류체계 설계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Because of the electronic commerce development, share of the internet bookstore is rising every year in the publication circulation market. Also, the book search in the internet bookstore may smarten more forward according to development trend of the electronic book, and importance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internet bookstore is expected that also rise continuous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classification system that can search the social science books of the internet bookstore efficiently. For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internal and external 10 internet bookstores. This study may be used to other subject study of the internet bookstore, and it expect to is used to basic data for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internet bookstore in the future.

      • KCI등재

        Cellular Dormancy in Cancer - Mechanisms and Potential Targeting Strategies

        민혜영,이호영 대한암학회 2023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Vol.55 No.3

        Cancer is a leading cause of disease-related mortality worldwide. Drug resistance is one of the primary reasons for the failure of anticancer therapy. There are a number of underlying mechanisms for anticancer drug resistance including genetic/epigenetic modifications, microenvironmental factors, and tumor heterogeneity. In the present scenario, researchers have focused on these novel mechanisms and strategies to tackle them. Recently, researchers have recognized the ability of cancer to become dormant because of anticancer drug resistance, tumor relapse, and progression. Currently, cancer dormancy is classified into “tumor mass dormancy” and “cellular dormancy.” Tumor mass dormancy represents the equilibrium between cell proliferation and cell death under the control of blood supply and immune responses. Cellular dormancy denotes the state in which cells undergo quiescence and is characterized by autophagy, stress-tolerance signaling, microenvironmental cues, and epigenetic modifications. Cancer dormancy has been regarded as the stem of primary or distal recurrent tumor formation and poor clinical outcomes in cancer patients. Despite the insufficiency of reliable models of cellular dormancy,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regulation of cellular dormancy have been clarified in numerous studi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iology of cancer dormancy is critical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anticancer therapeutic strategies. In this review, we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and regulatory mechanisms of cellular dormancy, introduce several potential strategies for targeting cellular dormancy, and discuss future perspectives.

      • KCI등재

        Effects of an Adolescent Obesity Management Educational Program on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South Korea

        민혜영,김신정,조해련 한국간호과학회 2017 Asian Nursing Research Vol.11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adolescent obesity management educational program (AOMEP) on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pretest post-test design was performed to test primary variables, including adolescent obesity management knowledge, attitude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behavioral intention based on the concepts presented 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Results: A total of 61 teachers participated. The experimental group (n = 30) received 15 hours of AOMEP, whereas the control group (n = 31) did not receive an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knowledge (t = 2.53, d = .65, p = .014) and attitude (t = 2.77, d = .71, p = .008) toward adolescent obesity manage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r behavioral intention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AOMEP may be utilized as an effective obesity management program for adolescent students in schools.

      • KCI등재

        中宗 時代 중앙관료의 『尙書』 이해 - 『朝鮮王朝實錄』에 수록된 經筵을 중심으로 -

        민혜영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1 남명학연구 Vol.70 No.-

        Jungjong was crowned as king by vassals who dethroned Yeonsangun due to his despotism. At the time, the central government bureaucrats made various efforts to prevent Jungjong from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Yeonsangun. In particular, they aimed at educating the king with Confucian political ideas and statecraft through a process called gyeongyeon (king and vassals studied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y together). This paper examined how scholars of the time understood 『Shangshu』 (Book of Documents) and utilized it through the lectures made through the 『Shangshu』 in gyeongyeon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liste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bureaucrats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claimed that 『Shangshu』 was the foundation for governing a country and that it must be dealt with in gyeongyeon. During gyeongyeon, they lectured the 『Shangshu』 to the king and presented two main issues. The first emphasized the cultivation of the king and urged in the first half of Jungjong’s reign not to fall into women, hunting and complacency. In the second half, they advised the king to foster his disposition. The second discussed revising systems using the 『Shangshu』 sutras, and it ranged widely from abolishing female musicians to the abuse of punishment by local governors.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the central government bureaucrats especially emphasized 『Shangshu』 among the Confucian scriptures. In particular, they were very wary of the king falling into women, hunting and complacency in the early days of the king’s rise to the throne and focused on the parts about governing by the king such as 「Ojajiga」 (Cries of five sons) and 「Muil」 (Idleness knows no growth). This shows that the bureaucrats educated and paid attention to Jungjong so that he does not follow in the footsteps of Yeonsangun. Furthermore, it can be presumed that they tried to realize the ideal monarchy government through Jungjong, while also trying to check the despotism of the throne. 中宗은 연산군의 폭정에 반정을 일으킨 신하들에 의해 추대되어 왕이 된 인물이다. 당시 중앙관료들은 중종이 연산군의 전철을 밟지 않도록 여러 가지 노력을 하였으며, 특히 경연을 통해 유가적 정치사상과 경세관을 교육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朝鮮王朝實錄』에 수록된 중종대의 경연에서 『상서』를 진강한 내용을 통해, 당시 학자들이 『상서』를 어떻게 이해하였고 활용하였는지 알아보았다. 중종대의 관료들은 『상서』가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임을 강조하면서 경연에서 필수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과목임을 주장하였다. 그들은 경연에서 『상서』를 진강하면서 크게 두 가지를 논의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군주의 수양을 강조한 것으로, 중종 재위 전반기에는 여색・사냥・안일함에 빠지지 말 것을 진언하였으며, 후반기에는 心性 수양에 대해 진언하였다. 두 번째는 『상서』 경문을 활용하여 제도를 정비할 것을 논의하였으며, 그 범주는 女樂의 폐지로부터 지방관의 형벌 남용에 대한 내용까지 다양하였다. 중종대 경연에 참석한 중앙관료들이 다양한한 유가 경전 중에서도 특히 강조한 것은 『상서』였다. 특히 즉위 초에는 여색・사냥・안일함에 빠질 것을 경계하여 「五子之歌」와 「無逸」 등 군주의 실정과 관련된 편을 진강하였다. 이를 통해 중종이 연산군의 전철을 밟지 않도록 당시 관료들이 교육하고 주의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상서』를 교육함으로써 중종을 통해 왕도정치의 이상을 구현함과 동시에 중종이 왕권을 전제하는 것을 견제하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眉巖 柳希春의 『尙書』 이해- 『朝鮮王朝實錄』과 經筵 자료를 중심으로 -

        민혜영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2 남명학연구 Vol.76 No.-

        이 논문은 眉巖 柳希春(1513~1577)이 『尙書』를 어떻게 이해했는지 經筵 자료를 통해 알아본 것이다. 유희춘은 선조 초반 활발한 진강 활동과 각종 저술을 통해 당대 학계를 주도적으로 이끌었으며, 經書諺解 사업의 담당자로서 宣祖대 校正廳의 경서언해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많은 저술이 兵火로 사라져 그의 학문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쉽지 않다. 그는 1575년을 제외하고 그가 1572년부터 1576년까지 경연에서 『상서』를 진강하였으며, 그 내용은 『朝鮮王朝實錄』, 『眉巖先生集』「經筵日記」, 『眉巖日記草』에 수록되어 있다. 그는 『상서』 주석 중에서 蔡沈의 『서집전』이 가장 좋다고 평가하면서 수용하였다. 그러나 때에 따라 채침의 주석이 부족한 부분이나 채침의 의견에 대한 異見이 있는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諸家의 설을 쓰면서 자신의 의견을 펼치기도 하였다. 그리고 그에 맞춰 구결을 달기도 하였다. 유희춘은 군주의 수양에 대한 「咸有一德」의 내용을 治國의 내용을 담고 있는 「大禹謨」와 연관을 지어 설명하였다. 그는 「함유일덕」의 一德이 「대우모」의 精一執中으로부터 나왔으며, 一德을 정의한 세 가지의 뜻이 「함유일덕」의 본문에 드러나 있음을 말하였다. 이 논문은 군주를 補導하기 위해 진강한 경연자료를 중심으로 연구하여, 유희춘의 『상서』에 대한 견해를 모두 파악할 수 없다. 그러나 유희춘의 주체적인 경학 연구 태도는 陽村 權近・退溪 李滉을 계승한 것으로, 그의 학문적 역량과 업적은 선조 및 당대와 후대의 여러 학자들에게 인정받았으며, 17세기 이후 경서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표출되기 시작하는 경학 연구 시대의 토대를 닦았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