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아 굴곡성 기관지 내시경술: 단일 기관에서 100례의 임상 경험

        문청준,이은정,전윤홍,윤종서,김현희,이준성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011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21 No.4

        Purpose:Flexible bronchoscopy is effectively used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s in children. This report attempted to analyze the indication, effectiveness, and complications of bronchoscopy in children who visited a single tertiary care, university-based hospital in Korea. Methods:A retrospective review was conducted of the medical records of a total of 100 cases of flexible bronchoscopy that were performed at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of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St. Mary’s Hospital from April 8, 2007 to June 16, 2010. Results:A total of 85 patients (48 males and 37 females) were involved in the study. The range in age was 5 days old to 18 years old. Eighty cases were for diagnosis, 7 cases for treatment, and 13 cases for both. The purpose of flexible bronchoscopy was accomplished in 67 of 100 cases. In 60 cases where bronchoalveolar lavage was provided, microbial organisms were identified in 38 cases. Minor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12 cases. Conclusion:Pediatric flexible bronchoscopy is shown to be an effective and safe diagnostic and interventional tool, even in young or immunocompromised hosts. This study also found that children under one year of age were more frequently treated with bronchoscopy and that the detection rate in microbiological diagnosis was improv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virus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목 적:소아 호흡기 질환에 대한 진단 및 치료에 있어서, 굴곡성 기관지 내시경 검사가 효과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경험한 굴곡성 기관지 내시경 검사 증례를 분석하여, 최근 단일 3차 의료기관에서의 소아 기관지 내시경술의 적응증, 유용성, 합병증 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2007년 4월 8일부터 2010년 6월 16일까지 가톨릭의과대학 서울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시행한 굴곡성 기관지 내시경 검사 총 100례에 대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100건의 증례 중 환자의 수는 85명(남, 48명; 여, 37명)이였고, 나이는 생후 5일부터 18세까지였다. 굴곡성 기관지 내시경의 경로는 비강 접근 79례, 기도 내 삽관 튜브를 통해 20례, 기관 절개 부위를 통한 접근이 1례였다. 진단적 목적으로 80례, 치료적 목적으로 7례, 진단 및 치료적 목적이 동시에 있었던 예는 13례였다. 굴곡성 기관지 내시경 시행의 목적을 달성한 경우는 67례였고, 이 중 치료 변화를 준 경우는 34례, 진단명이 변경된 것은 55례였다. 100례 중 60건에서 bronchoalveolar lavage을 시행하였고 이중 38례에서 균주가 확인되었다. 합병증은 총 12례로, 경련 3례, 발열 4례, 호흡곤란 2례가 발생하였다. 이들 모두 경미한 합병증이었으며, 출혈은 1명이 있었으나 1:1000 에피네프린을 기도 내로 투여하여 출혈이 곧 멈추었다. 결 론:소아에서 기관지 내시경술은 환자의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있어서 많은 이득을 제공하며, 안전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거에 비해 1세 미만의 연령의 환자에서 사용되는 빈도가 많았고, 바이러스 중합효소 연쇄반응법의 도입으로 미생물학적 진단에서 양성률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소아 굴곡성 기관지 내시경술: 단일 기관에서 100례의 임상 경험

        문청준 ( Cheong Jun Moon ),이은정 ( Eun Jung Lee ),전윤홍 ( Yoon Hong Chun ),윤종서 ( Jong Seo Yoon ),김현희 ( Hyun Hee Kim ),이준성 ( Joon Sung Lee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1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1 No.4

        Purpose: Flexible bronchoscopy is effectively used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s in children. This report attempted to analyze the indication, effectiveness, and complications of bronchoscopy in children who visited a single tertiary care, university-based hospital in Korea. Methods : A retrospective review was conducted of the medical records of a total of 100 cases of flexible bronchoscopy that were performed at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of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St. Mary`s Hospital from April 8, 2007 to June 16, 2010. Results: A total of 85 patients (48 males and 37 females) were involved in the study. The range in age was 5 days old to 18 years old. Eighty cases were for diagnosis, 7 cases for treatment, and 13 cases for both. The purpose of flexible bronchoscopy was accomplished in 67 of 100 cases. In 60 cases where bronchoalveolar lavage was provided, microbial organisms were identified in 38 cases. Minor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12 cases. Conclusion: Pediatric flexible bronchoscopy is shown to be an effective and safe diagnostic and interventional tool, even in young or immunocompromised hosts. This study also found that children under one year of age were more frequently treated with bronchoscopy and that the detection rate in microbiological diagnosis was improv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virus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11;21:313-318)

      • KCI등재후보

        무호흡 증상만으로 발현된 미숙아의 비전형적 경련

        전자경,문청준,김순주,윤영아,이주영,이현승,이정현,성인경,김소영 대한신생아학회 2013 Neonatal medicine Vol.20 No.1

        Purpose: Extremely-low-birth-weight infants (ELBWIs), especially those ≤24 gestational weeks (GW), presented extremes in IWL and changes of water balan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retrospectively investigate fluid and electrolyte balance in infants of ≤24-GW during the first postnatal week under high humidification. Methods: Medical records of extremely-low-birth-weight infants (ELBWIs) who were born and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t Samsung Medical Center during March 2004-September 2010 were reviewed. Fluid intake, urine output, insensible water loss (IWL), and electrolyte balance of 22-GW (n=14), 23-GW (n=40), and 24-GW (n=67) infants nursed in high humidity (95%) were compared with ≥26-GW (n=65) infants nursed in 60% humidity. Results: Survival rate until discharge was 33%, 82%, 75%, and 89.3% in 22-GW, 23-GW, 24-GW, and ≥26-GW infants, respectively. Fluid intake and IWL was higher in 22-GW and 23-WG, but not different in 24-GW, than in ≥26-GW infants. At postnatal days (P) 3-5, the urine output was significantly lower in ≥26-GW infants than in the other age groups. Serum sodium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22-, 23-, and 24-GW (P1-2) than in ≥26-GW infants. Hypernatremia (>150 mEq/dl sodium) was more frequent in 22-GW (71%), 23-GW (41%), and 24-GW (21%) than in ≥26-GW infants (14%). Conclusion: High-humidity environments significantly decreased fluid intake and improved electrolyte imbalance in 24-GW, but not 22- and 23-GW, infants. Increased IWL in the latter might be related to more immature skin, and implicates the need for additional nurturing conditions. 목적: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미숙아를 대상으로 하여 2차적인 원인의 무호흡증을 감별하여 교정하고 아미노필린을 투여한 후에도 반응하지 않는 무호흡증이 있는 신생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특징을 알아보고 EEG 결과비정상소견을 보인 미숙아와 정상소견을 보인 미숙아들을 비교함으로서 무호흡증으로 발현된 신생아경련 환아의특징 및 그 요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빠른 진단을 내릴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에서 재태주령 37주 이전에 출생한 신생아들 중 무호흡 증상을 보이면서 패혈증, 폐렴, 질식(asphyxia), 체온 불안정, 빈혈, 저혈당 및 전해질 장애, rota virus 감염 등의 바이러스 감염 등 2차적인 원인의 무호흡증을 감별하여 교정하고 아미노필린을 투여하여도 반응하지 않는 미숙아를 연구 대상으로 의무기록지를 통한 후향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대상 미숙아는 총 37명 이었으며 그 중 32.4%가 비정상 뇌파소견을 보였다. 재태주령, 출생체중, 성별, 1분 아프가점수, 뇌파검사 검사시 재원일, BPD, NEC, PDA, IVH 등 합병증의 동반유무, 뇌초음파 검사상 grade I, 2의 IVH와MRI 결과에 따른 EEG 정상여부가 뇌파검사 결과 정상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5분 아프가 점수는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EEG 정상 여부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5분 아프가 점수가 EEG 정상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경련을 일으킬 만한 뚜렷한 원인질환이 없는 미숙아에게 무호흡증이 생기고 아미노필린에 반응하지 않은 경우 뇌파검사 결과 비정상으로 무호흡의 증상만으로 표현된 비 전형적인 미숙아 경련일 경우는 32.4% 이었으며 남아가신생아 경련에 이환될 확률이 높았다. 이들 환아 중 5분 아프가 점수 가 EEG 정상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다양한 질병의 환자들이 입원하는 소아 중환자실에서 PRISM III의 적용

        최승준,문청준,전윤홍,윤종서,김현희,김진택,이준성 대한중환자의학회 2011 Acute and Critical Care Vol.26 No.3

        Background: We applied the pediatric risk of mortality (PRISM) III score to study patients in a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PICU), where children with various kinds of diseases were hospitalized. We analyzed whether this scoring system was useful to predict patient mortality in the PICU.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hospitalized in a 5-bed PICU at a tertiary general hospital. Children who were transferred to other hospitals and remained under pediatric intensive care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Results: We studied a total of 105 children, which included 63 boys (60%) and 42 girls (40%). The mean age was 4.2 years (range 0−17 years). The children were admitted to the PICU for various conditions, including respiratory disease (31 children), neurological disease (30 children), congenital anomaly or neonatal disease (11 children), hemato-oncological disease (10 children), accident or poisoning (7 children), cardiovascular disease (5 children), sepsis (2 children), and the other miscellaneous diseases (9 children). The mean period of PICU stay was 9 days (range 2−66 days). Out of the 105 patients, 94 survived and 11 died. Thus, the mortality rate was calculated as 10.5%. PRISM III scores of the patients were between 0 and 38, with a mean ± SD of 5.0 ± 6.7. In comparison with previous studies on PICU patients with similar PRISM scores, the patients included in our study exhibited a higher mortality. The area under the curve for the prediction of mortality by PRISM III was 0.107. Among the variables included in PRISM III, Glasgow coma scale, pupillary light reflex, and platelet counts were associated with patient mortality. Conclusions: In a PICU with a wide spectrum of diseases, PRISM III was not a useful predictor of patient mortality.

      • KCI등재

        미숙아의 갑상선 기능 선별검사와 연관된 주산기 인자

        박주형,문청준,정민호,성인경,김소영 대한주산의학회 2016 Perinatology Vol.27 No.1

        목적: 미숙아의 갑상선 호르몬 농도가 주산기 인자들과 출생 초기 임상 양상과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분석하고 미숙아에서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선별하기에 유용한 갑상선 호르몬 검사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3년 3월 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에서 출생한 재태연령 37주 미만의 미숙아로 생후 첫 주에 갑상선 기능검사(radioimmunoassay)를 시행한 4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임신과 관련된 산모 합병증, 재태연령, 체중, 신장, 두위, 아프가 점수, 첫 태변 통과까지 경과한 시간,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과 무호흡 여부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출생 1주에 시행한 갑상선 호르몬 농도와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검사 시점의 교정 재태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출생 1주 T3, fT4 농도는 증가하였다. FT4는 산전 스테로이드 치료, 검사 시점의 교정 재태연령과 양의 상관 관계를, 첫 태변 통과 시작과 무호흡과는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P<0.05). TSH는 첫 태변 통과 시간, 5분 아프가 점수와는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 검사 시점의 생후 일수와는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P<0.05). 결론: 미숙아에서 초기 선별검사의 fT4는 TSH와 더불어 주산기 인자들과 출생 초기 임상 양상과 상당히 의미 있는 연관성이 있었다. 미숙아에서 조기에 fT4를 포함한 갑상선 기능 선별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yroid function screening in preterm infants and the relation between thyroid hormone level, perinatal environment, and clinical presentation after preterm birth.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46 preterm infants from March 2013 to December 2014, who had been screened for congenital hypothyroidism during the 1st week with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triiodothyronine (T3) and free thyroxine (fT4) measured by the radioimmunoassay method. The effects of pregnancy associated maternal factors, gestational age, growth parameters, Apgar score, 1st meconium passage tim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nd apnea on thyroid hormone levels were assessed by Mann-Whitney U-tes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With advancing gestational age, T3 and fT4 displayed a tendency to increase. FT4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pattern with antenatal steroid therapy, corrected gestational age at examinat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pattern with 1st meconium passage time and apnea (P<0.05). TSH displayed a positive correlation pattern with 1st meconium passage time, 5-minute Apgar score and a negative correlation pattern with sampling age (P<0.05). Conclusion: In the preterm period, both fT4 and TSH seems to correlate significantly with various perinatal factors and clinical presentation. We recommend that early fT4 screening should be included in the screening for hypothyroidism in preterm infants.

      • KCI등재후보

        만삭 신생아 경련의 추적 관찰: 신경발달 예후 관련인자

        임수정,전자경,윤영아,문청준,김순주,이주영,이현승,이정현,김소영,성인경 대한신생아학회 2013 Neonatal medicine Vol.20 No.1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observe the major neurodevelopmental sequelae of the full-term neonatal seizures, an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oor neurodevelopmental outcomes.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medical records of full-term newborns who had clinical and/or electrographic seizur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St. Mary’s Hospital between June 1994 to July 2007 was performed. To assess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oor neurological outcome, various factors were analyzed with univariat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AS for Windows version 9.2). Results: The most common etiology of seizures in full-term infants was hypoxic ischemic encephalopathy (76.2%). The most common type of seizure was subtle (50.9%), followed by multifocal clonic (41.8%), and the seizure type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to the prognosis. Moderate to major EEG abnormaliti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oor clinical outcome. Additional factors related to neurodevelopmental outcome were Apgar score at five minute, evidence of HIE on brain MRI, Sarnat stages of HIE, number of anticonvulsant drugs used for seizure control and duration for normalization of EEG abnormalities. Conclusion: The risk factors observed in this study may be helpful to predict the neurological outcomes in full-term neonates with seizures. 목적: 본 연구에서는 만삭 신생아 경련의 신경발달 예후를 알아보고, 임상 양상과 뇌파 및 뇌영상 검사 소견 중 예후에관여하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4년 6월부터 2007년 7월까지 가톨릭의대 여의도성모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만삭 신생아 경련 환자의 신경발달 예후를 후행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중증 신경발달 이상이 있는 군과 정상군으로 구분하여 신경발달 예후와 관련된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만삭 신생아 경련의 원인 질환 중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이 76.2%로 가장 흔하였다. 경련의 발생 시기는 생후 첫 24시간 이내와 2-3일에 각각 60.0%, 23.6%로 대부분이 생후 3일 이내에 발생하였으며, 이들 중 67.4%에서 신경발달 장애를 보여 생후 4일 이후에 발생한 경련보다 예후가 불량하였다. 비전형적 경련과 다국소 간대성 경련이 가장 흔히 보인 경련이었으며, 경련의 유형과 신경발달 예후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뇌파검사상 중등도 혹은 중증 이상을 보였던 증례는 뇌파가 정상 혹은 경증 이상을 보였던 증례에 비하여 신경발달 예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불량하였다. 기타 신경발달 예후와 관련된 요인으로는 5분 아프가 점수, 뇌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 저산소성허혈성 뇌증 소견의 유무, Sarnat 병기, 뇌파 검사의 중증도, 경련 조절에 사용된 항경련제의 수, 뇌파소견의 정상화에 소요된 기간 등이었다. 결론: 만삭 신생아 경련에서 뇌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 병변과 Sarnat병기, 항경련제에 대한 반응성, 뇌파이상의 중증도는 신경발달 장애의 위험인자로 예후 예측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Allergic Proctocolitis Resembling Ulcerative Colitis of Infancy in a 3-day Old Neonate

        류지웅,심선희,윤영아,문청준,김상용,정대철,성인경 대한신생아학회 2014 Neonatal medicine Vol.21 No.1

        Allergic proctocolitis (AP) can be hard to differentiate and diagnose in neonates who manifested watery diarrhea and failure to thrive. The initial symptoms are not specific and colonoscopic findings share similar ulcerated and erythematous lesions as in ulcerative colitis of infancy and infectious colitis. A 3-day-old infant was admitted to the hospital due to loose, blood-tinged stools. An initial workup, including abdominal ultrasound and hepatobiliary scan, was performed, and all results were negative. The patient subsequently required readmission due to pervasive watery diarrhea, severe weight loss, and lethargy. After further investigation, he was eventually diagnosed of allergic proctocolitis by rectosigmoidoscopy and biopsy. Treatment was started with a corticosteroid (prednisone 2 mg/kg/day) due to severe symptoms. After 7 days of steroid therapy, the stools slowly normalized, and the patient started to gain weight. He was discharged home and followed regularly at the outpatient clinic.

      • KCI등재

        임상 ; 신생아 경련에서 항경련제의 효과 및 예후에 미치는 영향

        한지윤 ( Ji Yoon Han ),이진희 ( Jin Hee Lee ),박선영 ( Sun Young Park ),문청준 ( Chung Joon Moon ),윤영아 ( Young Ah Youn ),성인경 ( N Kyung Sung ),이인구 ( In Goo Lee ) 대한주산의학회 2014 Perinatology Vol.25 No.2

        목적 : 신생아 경련은 사망률이 높고, 후유증으로 신경발달 장애, 뇌전증 등이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지만, 사용할 수 있는 항경련제가 제한적이며 이들이 예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밝혀져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신생아 경련 환아들의 예후를 투여한 항경련제의 개수와 뇌파검사를 통해 알아 보았다. 방법 : 2012년 1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서울성모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들 중 경련을 일으킨 재태 연령 44주 미만의 신생아 37명(남자 18명, 여자 19명, 만삭아 13명, 미숙아 2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하였다. 결과 : 대상 환아 37명의 평균 재태 연령은 32.5±1.9주, 평균 출생 체중은 2,010±82 g 이었다. 경련은 환아들의 65%가 출생 후 7일 내에 발생하였는데, 특히 48시간에서 7일 이내가 가장 많았고(38%), 비전형적 경련(51%)이 가장 흔한 형태 이었다. 대상 환아들의 94% (35명)가 뇌영상 검사에서 이상 소견을 보였는데, 저산소성 허혈성 뇌병증이 62% (23명)로 가장 많았다. 뇌파검사에서는 62%가 이상 소견을 보였는데, 중등도 이상이 54% (20명), 그리고 중증 이상이 8% (3명) 이었고, 6개월 후까지 뇌파에 이상이 있는 경우는 19% (7명)이었다. 대상 환아 37명 중에서 57% (21명)는 levetiracetam 만으로도 경련이 조절 되었지만, 19% (7명)는 세가지 이상의 항경련제를 병용 투여하여 경련을 조절 하였다. 치료 6개월 후 한가지 항경련제로 경련이 조절되었던 환아들에서는 뇌전증이 6% (2명), 발달 지연이 19% (4명)에서 발생한 반면 세가지 이상의 항경련제를 사용한 환아에서는 뇌전증이 29% (2명), 발달 지연이 86% (6명)에서 발생하였다. 그리고 정상 뇌파 소견을 보였던 환아들의 86% (12명)가 6개월 후 정상 발달을 보이고 있었으나, 중증의 뇌파이상 소견을 보였던 환아들(3명)중에 정상 발달을 보이는 경우는 없었다. 결론 : 신생아 경련 초기에 경련이 조절되지 않아 사용하는 항경련제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뇌파검사에서 중증의 이상 소견을 보이는 경우 신경학적 예후가 좋지 않았다. Purpose : Although neonatal seizures can cause epilepsy, neurodevelopmental disability, and mortality with high frequency, the use of anti-epileptic drug is limited and the side effect of the drug is unidentified. Thus, authors investigated the prognosis of the neonatal seizures related with anti-epileptic drugs and electroencephalography. Methods : Retrospective medical records of 37 infants with neonatal seizures under 44 weeks of gestational age who were hospitalized at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in Seoul St. Mary’ Hospital from January to June 2012 were analyzed. Result : The mean gestational age was 32.5±1.9 weeks and the mean birth weight was 2,010±82 g. Seizures occurred in 65% in infants within 7 days of birth and subtle seizures were most common type. Hypoxic ischemic encephalopathy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seizures and 62% showed abnormal electrographic findings. Among 37 of patients, seizures of 57% were able to be controlled by levetiracetam, but 19% were controlled by co-administration of more than three anti-epileptic drugs. After 6 months of treatment, epilepsy was diagnosed in 6% and developmental delay occurred in 19% among patients controlled by one anti-epileptic drug. Epilepsy and developmental delay occurred in 29% and 86%, respectively, among patients with more than three anti-epileptic drugs. In addition 86% of patients with normal electroencephalographic findings show normal development, but 3 patients with severe abnormalities showed abnormal development. Conclusion : Neurologic outcome was not good when the number of anti-epileptic drugs were added due to uncontrolled seizures, and the result of electroencephalography showed severe abnormalities.

      • KCI등재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뇌실 내 출혈의 중증도 관련 위험 요인과 신경발달학적 예후

        천미경 ( Mi Kyung Cheon ),염숙경 ( Sook Kyung Yum ),문청준 ( Cheong Jun Moon ),윤영아 ( Young Ah Youn ),김소영 ( So Young Kim ),성인경 ( In Kyung Sung ) 대한주산의학회 2014 Perinatology Vol.25 No.4

        목적 : 극소 저체중 출생아(very low birth weight infant, VLBWI)에서 뇌실 내 출혈(ntraventricular Hemorrhage,IVH)의 중증도 관련 주산기 요인들을 알아보고, 생존한 VLBWI에서 IVH의 중증도에 따른 신경발달 예후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9년 5월부터 2013년 4월까지 가톨릭의대 부속 서울성모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치료받았던 재태 연령 37주 미만의 미숙아로서 출생 체중 1.5 kg 미만인 VLBWI 중 IVH이 확인된 145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IVH 중증도 관련 요인들을 출생 전 요인, 산과적 요인, 출생 후 요인으로 구분하여 1+2단계 IVH군과 3+4단계 IVH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신생아기 사망 26명과 퇴원 후 추적 관찰에서 누락된 11명을 제외한108명을 대상으로 IVH 중증도에 따른 신경발달 예후를 조사하였다. 신경발달 예후는 인지 발달 장애, 뇌성마비, 시각및 청각 장애, 뇌전증 등 중증 신경발달 장애가 있는 경우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중증 신경발달 장애는 108명 중 23명(21.3%)에서 조사되었다. 결과 : 재태 연령과 출생 체중이 중증 IVH 발생과 관련된 출생 전 요인이었다. 낮은 1분 및 5분 아프가 점수, 저혈압/쇼크, 동맥혈 최대 이산화탄소 분압, 동맥과 개존증의 존재, 기흉, 혈소판 감소증, 무호흡 발작, NEC, 중등도 이상의 기관지 폐 형성이상 등이 중증 IVH 발생과 관련된 출생 후 요인이었다. 이들 요인들을 대상으로 다중 회귀분석을 한 결과, 낮은 재태연령과 작은 출생 체중, 저혈압/쇼크가 중증 IVH 발생과 관련된 독립적인 인자였다. 중증 신경발달 장애는 중증 IVH에서 생존한 VLBWI에서 유의하게 빈도가 높았다. 결론 : VLBWI에서 조산 예방과 더불어 중증 IVH 위험 요인인 저혈압/쇼크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증 신경발달 장애를최소화하는 방침이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inatal risk factors for severity of intraventricularhemorrhage (IVH)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VLBWIs) and to study the following neurodevelopmentaloutcom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IVH severity. Methods : The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145 VLBWIs who were admitted at Seoul St. Mary’s Hospitalbetween May of 2009 and April of 2013. Prenatal, obstetric and postnatal risk factors for IVH were investigated. VLBWIs were divided into the group of IVH grade 1-2 and IVH grade 3-4. During this study period, 26VLBWIs were died and 11 VLBWIs were lost to followed up, thereby 108 infa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analysis. They were regularly followed up and assessed for presence of major neurodevelopmental impairmentsincluding cognitive impairment, cerebral palsy, visual deficit, hearing deficit, and epilepsy. Among 108 infants,23 (21.3%) patients had neurodevelopmental impairments. Results : The lower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were significant prenatal risk factors for severe IVH. Lower Apgar score at 1 and 5 min, hypotension/shock, higher levels of partial pressure of carbon dioxide,presence of patent ductus arteriosus, pneumothorax, thrombocytopenia, necrotizing enterocolitis, andbronchopulmonarydysplasia were significant postnatal risk factors for severe IVH. After multiple logisticregression analysis,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and hypotension/shock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severe IVH. The incidence of major neurodevelopmental impairments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VLBWIs who survived after severe IVH. Conclusion : In addition to preterm birth, minimizing hypotension/shock, the risk factor of severe IVH, isimportant to prevent major neurodevelopmental impairments in VLBWIs.

      • KCI등재후보

        신생아 허혈성 저산소뇌병증에서 저체온 치료의 장기 예후

        김지훈(Ji Hoon Kim),이준희(Joon Hee Lee),문청준(Cheong Jun Moon),염숙경(Sook Kyung Yum),윤영아(Young Ah Youn),빈중현(Joong Hyun Bin),성인경(In Kyung Su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1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4 No.4

        목적: 저체온 치료는 허혈성 저산소 뇌병증 신생아의 신경학적 예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체온 치료를 받은 허혈성 저산소 뇌병증 신생아의 장기 신경학적 예후에 대한 국내 보고가 아직 없어,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방법: 2012년 4월부터 2014년 7월까지 서울성모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허혈성 저산소 뇌병증으로 진단 된 154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우리는 허혈성 저산소 뇌병증 진단 후 저체온 치료를 받은 환아들과 생후 6시간이 지나서 진단되어 저체온 치료를 받지 못한 환아들을 비교하였다. 예후에 대한 평가는 뇌자기공명,명 영상 검사, 뇌파 검사와 함께 외래에서 시행된 한국형 영유아 발달검진표, 영유아 검진표등을 통한 신경학적 문진을 통해 이루어졌다. 결과: 총 154 명 중 생후 18개월에 신경학적 평가가 이루어진 환아는 117명이였고, 그 중 56명이 저체온 치료를 받았고, 61명은 저체온치료를 받지 않았다. 저체온 치료를 받지 않은 61명 중22명은 생후 6시간이 지나서 허혈성 저산소 뇌병증 진단을 받아서 치료를 받지 못한 환아였다. 생후 18개월 신경학적 평가를 하였을 때 저체온 치료를 받은 56명 중 6명에서, 6시간이 지나 저체온 치료를 받지 않은 22명 중 7명에서 발달 지연이 관찰되었다. 결론: 허혈성 저산소 뇌병증가 빨리 진단되고, 적극적인 신경학적 감시와 혈역동학적 감시가 잘 동반되어 저체온 치료가 시행된다면 허혈성 저산소 뇌병증 신생아의 장기 예후에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Purpose: Therapeutic hypothermia is known to improve neurologic outcomes in 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HIE) newborn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no report exists on the long term neurologic outcomes of HIE newborns who received therapeutic hypothermia in Korea, and we decided to conduct a study to evaluate these outcomes. Methods: A chart review was performed for 15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HIE at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Seoul St. Mary s hospital from April 2012 to July 2014. We compared newborns who have treated therapeutic hypothermia with newborns who have not due to more than 6 hours after birth. Outcomes were verified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electroencephalogram (EEG), and neurologic assessment using the Korean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 (K-ASQ), Infant Toddler checklist (ITC) at the outpatient clinic. Results: Among 154 newborns, 117 underwent the 18 month-neurologic examination. Among these newborns, 56 received therapeutic hypothermia treatment and 61 did not. At 18 month neurological examination, developmental delay was observed in six of 56 newborns with therapeutic hypothermia and seven of 22 newborns without therapeutic hypothermia (P=0.04). Conclusion: If therapeutic hypothermia is accompanied with early diagnosis, active neurologic status monitoring, and hemodynamic status monitoring, therapeutic hypothermia may be helpful for the prognosis of HIE in newbor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