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Buddhism in Korean Film during the Roh Regime (1988-1993)

        문찬주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6 불교문예연구 Vol.0 No.6

        This article outlines and critically discusses South Korean Buddhist films made during the time of the Roh Tae-woo government (1988-1993), which can be called a semi-democratic and semi-dictatorial regime. This was a period of transition in film policy from the censorship of the earlier dictatorial regimes to the freedom of expression offered to directors by the later democratic administrations, unprecedented in Korean film history. During this period the technical skill of directors improved bringing about a corresponding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Korean Buddhist films and thus international attention. Although the government allowed filmmakers considerably more freedom to express ideas about sensitive political and social issues during the Roh regime, because of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pressures, filmmakers could not freely and critically portray monastic lives and religious issues. For example, conservative Buddhists protested the release of films that depicted Korean Buddhism in a negative light, calling for a form of private censorship. These pressure led filmmakers to use abstruse dialogues, metaphors, stories, images, and technical terms in their Buddhist films, particularly those about Zen Buddhism, that likely baffled audiences.

      • KCI등재

        기업 내 근로자의 전공 다양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문찬주,남인혜,이영선,이지영,한수현,정동욱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9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2 No.2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workers’ diverse educational backgrounds on training costs and corporate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s using data from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iversity of workers’ educational backgrounds has slightly increased since 2008, but then has slightly decreased since 2014. Second, an increase in the diversity of workers’ educational background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ost of education and training at a corporate level. Third, the diversity of workers’ educational backgrounds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sales per capita and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companies can hire employees with more diverse educational backgrounds to increase their corporate performance. Moreover, education and training and other HRD strategies should be provided to help accumulate workers’ general human capital within companies. 본 연구는 기업 내 근로자의 전공 다양성이 기업의 교육훈련 비용, 재무 및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인적자본기업패널(HCCP) 3차~7차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2008년 이후 기업 내 근로자의 전공 다양성 추이는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2014년 이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 내 근로자의 전공 다양성이 증가하더라도 기업의 교육훈련 비용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셋째, 전공 다양성은 1인당 매출액과 기업 평균 조직몰입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기업이 특정 전공 위주의 채용 관행에 변화를 도모하여 전공 다양성의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기업 내 근로자들의 일반적 인적자본 축적을 도울 수 있는 교육훈련 및 전략적 HRD가 병행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부모-자녀 간 희망전공계열 일치가 중학생의 학습 경험 및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문찬주(文讚澍),이영선(李?璇),이지영(李持泳),정동욱(程棟昱)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아시아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중학생 가정에서의 진로교육에 주목하여, 부모-자녀 간 희망 진로 일치, 즉 자녀 희망 진로에 대한 부모의 지지가 학생의 학습 경험과 진로발달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경기교육종단연구(GEPS)의 4-6차년도 중학생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통상최소자승회귀분석(Ordinary Least Square)과 함께 부모-자녀 간 희망 전공계열 일치 여부에 따른 표본 선택 편의(Sample selection bias)를 해소하고자 경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부모-자녀 간 희망전공계열 일치 양상을 분석한 결과, 부모와 자녀가 희망하는 전공계열 선호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전공계열에 따라 일치도 역시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 간 희망전공계열이 일치할 경우 사교육비 지출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고, 학업 성취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부모-자녀 간 희망전공계열이 일치할 경우, 진로발달 성과 측면에서 학생의 학교만족도와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녀의 진학 선택에 대한 학부모의 진로지도 역량 증진 교육과 부모-자녀 간 진로 관련 대화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학교 진로교육의 맥락에서 부모와의 원활한 의사소통 및 합의를 장려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parent career congruence and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and career development using 4th~6th wave data that followed 7th graders from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We employed propensity score matching approach as well as 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 to minimize sample selection bias. Results are following; first, university aspiration and desired majors reported by parents and adolescents are different. The degree of congruence between parents and adolescents is also different by majors, Second, adolescent-parent career congruence has an effect of decreasing shadow education spending, while not showing significant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Third, students who accord with their parents are more likely to show higher school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adolescent-parent conversation about career decision making to reach an agreement democratically. Further, there should be practical policy prescriptions or school programs that provide parental education on career guidance for their child and stimulate adolescent-parent communication for their smooth agreement.

      • KCI등재

        고교-대학 간 전공계열 교차 진학이 대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문찬주(Moon, Chanju),심정연(Shim, Jeongyeon),이선아(Lee, SeonA),이지영(Lee, Jiyoung),정동욱(Jeong Dong Wook)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교대학 문·이과 계열 간 교차 진학이 대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7년에서 2013년도까지의 한국교육고용패널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 자료 를 활용하였다. 처치변수인 교차 진학자는 고교 재학시 계열과 대학 재학시 문·이과 계열을 다르게 응답한 경우로 한정하였다. 종속변수인 대학 학업성취도(GPA)는 대학 재학기간에 따 른 학업성취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대학교 학년별 및 전체 평균학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 았다. 또한 표본선택편의 제거를 통한 엄밀한 효과 추정을 위해 경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활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차 진학이 대학교 1, 2, 3·4학년 학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전체 평균 학업성취도에 유의수준 .1에서 4.443만큼 정적 효과를 보였다. 둘 째, 교차 진학의 양상을 문과-이과, 이과-문과로 각각 나누어 분석한 민감도 분석에서는 교차 진학이 대학교 1, 2학년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3·4학년 학점, 전체 학점의 경우, 이과-문과 교차 진학의 경우 3·4학년 학점, 전체 평균 학점에서 유의수준 .01에 서 각각 13.922점, 8.571만큼 정적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차 진학자의 학업 적응 및 지원 방안 수립에 있 어, 대학에서 요구하는 중등교육에서의 학습 내용 및 수준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 정립과 교 차 진학자의 간학문적 학습 경험의 장점이 대학 내 융합 전공의 차원까지 확대될 수 있도록 고등교육의 교육과정 개편 제고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high school-university cross tracking to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utilized 9th and 12th graders cohort data from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 2007-2013. The treatment variable is the students who are in the different track at the university level from the one at the highschool level. The dependent variables are the Grade Point Average (GPA) of each year and the four-year average. Als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by utiliz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s for a rigid estimation. The result of study shows that hight school-university cross tracking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GPA of each year, but have 4.443 positive effect on overall GPA at the significance level 0.1. In addition, when the tracking is examined in two ways-from liberal arts to natural science and from natural science to liberal arts-the tracking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GPA of first and second year. However, the GPA of third and fourth year and the overall GPA reported 13.922 and 8.571 positive effect each, at the significance level 0.1. This results could be helpful in developing practical models of highschool curriculum and plans to link high school and university curriculums.

      • KCI등재

        고등학교 진학 결정시기에 따른 학교생활 및 진로성숙도 분석

        문찬주,정동욱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20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vidence for career education and student guidance in high school an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we use the data of the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of the first wave data of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provided by KRIVET. For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cision-making time and career maturity, ordinary least square was used. To solve the problem of sample selection bias, the generalized propensity score was used in the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 meth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students who made an early decision on which high school to attend, their mother had a long period of education, and they had a large monthly expenditure on private education, a clear career plan, and high career maturity. Second, career maturity level was higher when the decision on high school was made earlier.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level compared to the average group even when the decision on high school was made early. Fourth, the earlier the school decision time,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with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at a basis for educational support be laid for students who make an early decision on high school, that efforts be made to grasp the needs for career education and educational demand of students, and that policies be prepared for the reform of private education. 본 연구는 중학교 시기의 진로교육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고등학교 진학 결정 시기의 중요성과 효과성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 하에 수행되었다. 즉 진학할 고등학교 유형을 결정하는 시기에 따라, 진학 후 학교생활 및 진로성숙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실증 분석하여 관련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 및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2차 조사의 1차년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자료를 활용하였다. 진학 결정시기와 고등학교 진학 후 학교 생활(학업성취도 및 학교 만족도)및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엄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일반화경향점수(Generalized propensity score)를 역확률가중치(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 방식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고등학교 진학 결정시기가 이른 학생일수록 어머니의 교육연한이 길고,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이 많았으며, 진로계획이 뚜렷하고, 진로성숙도가 높았다. 또한 특수목적고는 주로 1, 2학년 때, 직업계열 학교는 주로 2, 3학년 때 진학 결정이 이루어졌다. 둘째, 고등학교 진학 결정시기가 이를수록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진학 결정시기가 이르더라도 평균인 집단에 비해 학업성취수준에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넷째, 진학 결정시기가 이를수록 학교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진학 결정시기가 이른 학생들을 위한 교육적 지원 토대 마련, 진로교육 및 교육 수요 파악 노력, 특정 유형 고등학교 진학을 위한 사교육 선행학습 풍토 개선 방안에 대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