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두개 파상풍의 치험례

        류승희(Seung-Hee Ryu),서일영(Il-Young Seo),박홍주(Hong-Ju Park),오희균(Hee-Kyun Oh)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4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30 No.4

        Cephalic tetanus is a rare subtype of tetanus in which trismus is a charateristic symptom. The paralysis of one or more cranial nerves can occur. The 7th cranial nerve is most frequently involved. It account for 1 to 3% of the tetanus and has a mortality of 15 to 30%. The incubation period is 1 to 14 days, and approximately two thirds of tetanus cases progress to generalized tetanus. Generally, the symptoms of cephalic tetanus can include : facial pain, trismus, dysphagia, muscle twitching spasms of the face and jaw (risus sardonicus), neck stiffness and malaise. We present a case of cephalic tetanus who 54-year male patient had trismus and dysphagia. There was no history of trauma. As there was a delay in diagnosis of cephalic tetanus, respiratory disorder and intermittent general spasm occurred. The patient was treated by injection of antibiotics, muscle relaxant, and human anti-tetanus immunoglobulin. His symptoms were disappeared, and he was discharged ambulatory.

      • KCI등재

        클로로필의 광산화에 미치는 β - 카로텐과 비타민 C의 영향

        류승희(Seung-Hee Ryu),이혜숙(Hye-Suk Lee),이영순(Young-Soon Lee),권태완(Tai-Wan Kwon),송영선(Young-Sun Song),문갑순(Gap-Soon M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1

        클로로필의 광산화에 미치는 β-카로텐과 비타민 C의 역할을 linoleic acid emulsion 모델 시스템과 피부조직 균질액을 이용하여 조사하고 이와 더불어 각각의 성분들의 조합시 일어나는 변화를 살펴보았다. Linoleic acid emulsion 모델 시스템에서 클로로필과 β-카로텐은 고농도에서 자외선 B에 의한 광산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농도의 비타민 C는 이를 억제시켰다. 갓김치에 함유되어 있는 클로로필, β-카로텐, 비타민 C 농도를 참고하여 이들을 조합하였을 때 자외선 B에 의한 광산화를 억제시켰으며 β-카로텐의 경우 단독으로 사용되었을 때에는 산화를 촉진하였으나 다른 항산화성분들과 함께 사용될 경우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ICR mouse의 피부조직 균질액에 클로로필, β-카로텐, 비타민 C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첨가하였을 때 클로로필 a, b 및 β-카로텐의 첨가는 광산화를 가속화시켰다. 비타민 C의 경우 50 ppm을 첨가하였을 때에는 아무런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500 ppm을 첨가하였을 때에는 자외선 B에 의한 광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시켰다. 500 ppm의 비타민 C에 클로로필과 β-카로텐을 혼합하였을 때에도 광산화가 억제되었으며 비타민 C의 농도가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Skin is continously exposed to ultraviolet (UV) radiation, the major cause of skin disorders including skin aging. Chlorophylls were well known as photosensitizer initiating subsequent chemical reactions such as photooxidative deterioration of cellular structures.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β-carotene and ascorbic acid with chlorophylls on UVB-induced photooxidation in linoleic acid emulsion model system and skin homogenate of ICR mouse. In linoleic acid emulsion model system, the addition of chlorophyll and β-carotene accelerated the photooxidation, while high concentration of ascorbic acid prevented. The combination of chlorophylls, β-carotene and ascorbic acid, which concentrations are simplified from mustard leaf kimchi, prevented UVB-induced photooxidation. Although single treatment of β-caretene accelerated photooxidaiton, β-caretene acted as antioxidant in the combination with ascorbic acid. Similarly the addition of individual chlorophylls and β-carotene accelerated the UVB-induced photooxidation in skin homogenate of ICR mouse. 50 ppm of ascorbic acid did not show the any preventive effect, however 500 ppm of ascorbic acid effectively prevented the oxidation. Photooxidation was prevented in the combination of chlorophylls and β-carotene with 500 ppm of ascorbic acid and concentration rate of ascorbic aci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evention of UVB-induced photooxidation.

      • KCI등재

        일회 방사선조사를 이용한 마우스 구강점막염 모델의 확립

        류승희(Seung-Hee Ryu),문수영(Seung-Hee Ryu),최은경(Eun Kyung Choi),김종훈(Jong Hoon Kim),안승도(Seung Do Ahn),송시열(Si Yeol Song),박진홍(Jin-hong Park),노영주(Young Ju Noh),이상욱(Sang-wook Le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6 No.4

        목 적: 두경부 영역에 대한 방사선치료 시 발생하는 구강점막염은 방사선치료로 유발되는 급성 합병증 중에서 가 장 심각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마우스를 이용하여 방사선 구강점막염 모델을 확립하고 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실험에는 7∼8주령의 20 g 내외의 웅성 BALB/c 마우스 55마리를 사용하였다. 1주일간 순화 후 대조군 5마리를 제외하고 체중에 따라 무작위로 3군으로 나누고 마우스의 두경부에 각각 16, 18, 20 Gy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방사선조사 후 체중을 매일 측정하고 생존 유무를 관찰하였다. 방사선조사 후 1, 2, 3, 5, 7, 9, 14일째 마우스를 경추탈골사 한 후 설조직을 채취하고 hematoxylin & eosin (H&E) 염색으로 조직학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 과: 방사선조사군의 경우 5일 이후 급격한 체중감소를 나타내었고 18 Gy와 20 Gy군에서 마우스가 사망하였다. 16 Gy군에서는 5일부터 9일까지는 평균 체중이 감소하였으나 이후 회복되었다.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방 사선조사 후 시간경과에 따라 상피층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편평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7일과 9일째에 가장 심각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대조군에서 평균 113.50±2.41μm이던 상피층 두께가 방사선조사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하게 그 두께가 감소하였으며 7일째에는 43.9% 감소한 63.70±3.28μm로 최저치를 나타내었다(p<0.0001). 14일째에는 121.00±2.82μm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어 정상적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BALB/c 마우스에서 방사선조사 후 마우스의 체중변화를 관찰 할 수 있는 적절한 방사선 선량은 16 Gy였다. 또한 구강 내 상피조직의 현저한 손상은 방사선조사 후 7일과 9일째 관찰할 수 있었고 9일째에는 심각한 궤양화가 나타났다. 18 Gy와 20 Gy 조사 후 9일과 10일째에 모든 마우스가 사망하였지만 16 Gy 조사군에서는 14일째 조직 이 정상적으로 회복되었다. Purpose: Oral mucositis induced by radiotherapy to the head and neck area, is a common acute complication and is considered as the most severe symptom for cancer patients in the early stages of treatment. This study was proposed to establish the oral mucositis mouse model induced by a single dose of radiation for the facility of testing therapeutic candidates which can be used for the oral mucositis treatments. Materials and Methods: Fifty-five BALB/c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ontrol, 16 Gy, 18 Gy, and 20 Gy. Oral mucositis was induced by a single dose of radiation to the head and neck using 6 MV x-Ray from linear accelerator. After irradiation, body weight and physical abnormalities were checked daily. Tongue tissues from all groups were taken on days 1, 2, 3, 5, 7, 9, and 14, respectively and H&E staining was conducted to examine morphological changes. Results: Body weight dramatically decreased after day 5 in all irradiated mice. In the 16 Gy treatment group, body weight was recovered on day 14. The histology data showed that the thickness of the epithelial cell layer was decreased by the accumulated time after radiation treatment, up to day 9. Severe ulceration was revealed on day 9. Conclusion: A single dose of 16 Gy is sufficient dose to induce oral mucositis in Balb/C mice.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Balb/C mice on days 7 and 9 after radiation. It is suggested that this mouse model might be a useful standard tool for studying oral mucositis induced by radiation.

      • SCOPUSKCI등재

        김치 추출물의 활성산소에 대한 피부세포 독성 완화효과

        류승희(Seung-Hee Ryu),전영수(Young-Soo Jeon),권명자(Myung-Ja Kwon),문정원(Jung-Won Moon),이영순(Young-Soon Lee),문갑순(Gap-Soon M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6 No.5

        본 연구는 김치가 피부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피부의 주요 표피세포인 keratinocyte(A431: Epidermoid carcinoma, human)와 진피의 대표적인 세포인 fibroblast(CCD-986SK, skin, normal control, human)를 이용하여 김치추출물들의 활성산소에 의한 독성 제거효과를 살펴보았다. 먼저 숙성시기를 달리한 김치(0주~5주)추출물의 세포독성 실험결과 TD_(50)은 keratinocyte에서 대부분 2.5~5% 또는 5~10% 범위내였고 fibroblast에서는 10~20%였으므로 김치추출물을 keratinocyte에서는 1.25%, fibroblast에는 2.5%의 농도로 투여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과산화수소와 paraquat(1,1'-dimethyl-4,4'-bipyridinium dichloride)를 농도별로 투여하여 시료들의 활성산소에 대한 독성완화작용을 살펴보았다. 표피세포인 keratinocyte에 과산화수소를 투여하였을 때 과산화수소 1mM 농도에서 세포생존률이 급격히 감소하였는데 2주 숙성 김치의 경우 세포독성 완화효과가 가장 현저하였고, 이는 장기간 과산화수소를 투여하였을 때보다 단기간 투여하였을 때 분명하게 나타났다. Paraquat의 경우 1mM 농도에서 3주, 2주, 1주 숙성김치의 세포독성 완화효과가 현저하였다. 김치추출물들의 피부 진피세포인 fibroblast에 대한 세포사멸 억제효과도 keratinocyte와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었는데 장기간 및 단기간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였을 때 모두 과산화수소 1mM 농도에서 김치추출물들의 세포독성 완화효과가 현저하였고, 특히 2주 숙성김치의 효과가 현저하였다. Paraquat를 fibroblast에 첨가하였을 때는 keratinocyte에서와는 달리 김치추출물들의 세포독성 완화효과가 현저하지 않았고 단지 0.5mM 농도에서 3주 숙성김치의 세포독성 완화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와같은 김치추출물들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독성억제효과는 김치 및 김치 재료 속에 함유되어 있는 여러 성분들의 유해산소종 소거능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Kimchi is composed of many ingredients such as Chinese cabbage, garlic, ginger, red pepper and fermented fish extract. Some of them were known to have antioxidative activities due to their scavenging effect against reactive oxygen species(ROS). To study the health effects of kimchi on human skin cells, keratinocyte(A431, epidermoid carcinoma, human) and fibroblast(CCD-986SK, normal control, human) were cultured in oxidative stress condition provoked by paraquat, a superoxide anion generator, and hydrogen peroxide in the absence and presence of kimchi extract. The survival rate of keratinocyte was greatly reduced when exposed over 1mM concentration of hydrogen peroxide(H₂O₂), but cytotoxicity of H₂O₂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kimchi extracts on cells. Especially 2 week-fermented kimchi decreased remarkably the cytotoxicity by H₂O₂ to keratinocyte cells. Over 1mM of paraquat concentration showed strong cell toxicity on keratinocyte, but the extracts from kimchi fermented for 1, 2 and 3 weeks showed protective effects in order. Fibroblast cell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H₂O₂ as were keratinocyte cells. Although almost all extacts of kimchi of different fermentation periods showed protective effect against cell killing at 0.5mM concentration of H₂O₂, 2 week-fermented kimchi extract showed the strongest protective effect on fibroblast cells treated with 1mM H₂O₂ for either 1 day or 4 days. However most of kimchi extracts showed weak preventive effect or no effect on oxidative stress produced by paraquat. In conclusion, 2 week-fermented kimchi extract seems to have the best potential in preventing skin cells against oxidative damage which might be related to their scavenging effects of kimchi components produced during their fermentation process.

      • KCI등재

        노란콩 및 검정콩의 섭취가 흰쥐의 항산화 및 항노화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류승희(Seung-Hee Ryu),문갑순(Gap-Soon M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4

        노란콩과 검정콩의 항산화효과를 생체 시스템에서 살펴보기 위해 S.D계 흰쥐에게 8주간 섭취시킨 후 지질 및 단백질산화를 측정한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산화를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특히 검정콩의 경우 혈장에서 단백질산화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SOD 및 catalase 활성은 대조군과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GSHpx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노란콩 및 검정콩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활성이 감소하였다. 간의 세포질에서 활성산소인 superoxide anion 함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모두 superoxide anion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hydroxyl radical의 경우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콩 섭취군에서 약간 감소하였다. 심장과 눈의 리포퓨신 함량을 측정한 결과 심장에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모두 리포퓨신 축적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고 눈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검정콩 섭취군의 경우 유의적으로 리포퓨신 생성을 억제하였다. 전체적으로 생체 내에서 노란콩 및 검정콩의 항산화효과는 인정되었으며 종피 색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o investigate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yellow and black soybeans in vivo system, male SD rats (n=24) were fed the diets containing casein (C), yellow soybean (YS) or black soybean (BS) for 8 weeks. Experimental groups showed the preventive effect on lipid and protein oxidation, especially protein oxidation of plasma was significantly inhibited in BS group. SOD and catalase activitie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groups, but hepatic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activity was significantly lowered in YS and BS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contents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cytosol were significantly lowered in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nd hydroxyl radical was slightly lowered in soybean groups. Lipofuscin accumulation on the heart and eyes of rats was effectively inhibited by yellow soybean and black soybean,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yellow soybean and black soybean have the antioxidative/antiaging effect in vivo system and they have similar activities despite different color of seed coat.

      • KCI등재

        신체활동을 통한 수학교육이 유아의 수학적 개념 발달에 미치는 효과

        류승희(Ryu Seung-Hee),안연경(Ahn Youn-K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6

        본 연구는 신체활동을 통한 수학교육이 유아의 수학적 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신체활동을 통한 수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뒤 만 5세 유아에게 8주간 총 16회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실험집단 유아 20명과 통제집단 유아 20명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변화를 비교ㆍ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체활동을 통한 수학교육 프로그램은 수, 공간, 측정 영역에서 수학적 개념 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thematics education through physical activities on mathematical concept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After developing a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through physical activities, five-year-old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ixteen times for 8 weeks. The comparisonand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pre- and post- test points was gained from the experiment group of 20 children and the control group of 20 childr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athernaticseducation program through physical activities showed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athematics concept development in the areas of number, space,and measurement.

      • KCI등재

        유아 배움의 경로에 관한 유아교사의 사고과정 고찰

        류승희 ( Ryu Seung-hee ),이정욱 ( Lee Jeong-wu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4 유아교육연구 Vol.44 No.1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놀이는 곧 배움’이라고 강조하고 있음을 주지하고, 유아배움의 경로에 관하여 유아교사의 사고과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는 유치원 교사 3인, 어린이집 교사 3인이었으며, 중점이 된 자료수집방법은 교사 심층면담과 기록물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자유놀이로부터 도출되는 배움에 관한 교사의 생각’에서 유아교사들은 ‘유아의 주도성과 자신감’ 및 ‘만들어가는 과정 자체를 경험하는 배움’이 있다고 사고하였다. 동시에 놀이와 배움의 관계에 대한 본질적인 고민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활동과 놀이, 배움의 역동적 얽힘에 관한 교사의 생각’에서 유아교사들은 ‘교사와 한 주제 활동이 놀이, 배움과 역동적으로 만남’, ‘교사와 했던 사전활동이 유아 놀이 및 배움과 얽히는 것’으로 사고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과정에서 배움의 경로는 특정한 경로만 강조되기보다는 ‘놀이와 활동’, ‘놀이주제와 생활주제’가 모두 얽혀있으므로 그 역동이 유의미하게 이뤄져야 함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유아 연령과 경험, 학급 상황 등의 요인이 유아의 배움에 작용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유아 배움의 경로를 숙고하여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hinking proc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the children’s learning path, recognizing that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emphasized that ‘play is learning’. Participants consisted of three kindergarten teachers and three daycare center teachers. Data was collected through teacher depth-interviews and recor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teacher’s thoughts on children’s learning derived from free play’, early childhood teachers thought that there were ‘children’s initiative and confidence’ and ‘learning through experiencing the process of making things’.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and learning was also as a concern. Second, in case of ‘teacher’s thoughts on the dynamic interconnection of activity, play, and lear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expressed ‘thematic activity with the teacher dynamically encountering play and learning’ and ‘pre-activity with the teacher intertwined with children’s play and learning’. Thes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discussion focused on the meaningful dynamics as both ‘play and activity’ and ‘play themes and life themes’ was intricately intertwined. Additionally, it was suggested that in considering factors such as the children’s age, experience, and classroom situation influencing the children’s learning, there is a need to carefully contemplate the learning path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유아의 대인불안과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류승희(Ryu Seung-Hee),안연경(Ahn Youn-K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대인불안과 자아존중감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자료는 만 5세 유아 103명을 대상으로 대인불안과 자아존중감을 측정하여 수집하였고, 평균, 표준편차, t 검증, 상관분석을 통해서 처리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대인불안은 보통인 편이었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높은 편이었고 성별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인불안과 자아존중감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interpersonal anxiety and self esteem. The responses of 103 five-year children on interpersonal anxiety and self esteem scales were collected and carried out by M, SD, t-test,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interpersonal anxiety is average. Second, young children's self esteem is high and its degree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Young girls feel self esteem higher than boys. Finally,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s interpersonal anxiety and self esteem.

      • KCI등재

        리어왕의 비극적 동인

        류승희 ( Seung Hee Ryu ) 한국드라마학회 2003 드라마연구 Vol.- No.21

        King Lear is a great tragedy which represents human nature in a profound way. The dramatic possibilities of Lear``s tragedy are developed with a double plot. With the fully-developed, paralleling sub-plot, Lear``s agony and suffering is greatly expanded and deepened. Lear``s tragic errors occur in the opening scene, and so the process of his suffering takes up a large part of this play. His errors are rooted in a wrong view of kingship and love. The errors are derived from Lear``s foolish, selfish, and self-willed character. As a result, Lear experiences the extreme suffering of madness through the ingratitude of Goneril and Regan. In the end, he understands the true virtue and love of Cordelia and he wants only to be with Cordelia. Even this hope, however, fails him with her death. In despair, Lear dies under the delusion that Cordelia is alive. Gloucester, in the sub-plot, is caught in Edmund``s trickery by his credulousness and loses his title, his riches, and his two eyes. This is all due to Gloucester, expelling his trustful son Edgar and giving the right of primogeniture to his bastard son Edmund. Gloucester finally attains insight into his error through the extreme physical suffering he endures. In the end, he dies trapped between joy and grief The tragic end of Lear, who experienced extreme suffering and grief, comes not only from one source but from several It is not only a result of his tragic errors and flawed character but also of his children``s lack of gratitude and wickedness, which is his tragic reality.

      • KCI등재

        노래를 활용한 엄마의 그림책 들려주기가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류승희(Ryu, Seung-Hee),이승우(Lee, Seung-Woo)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노래를 활용한 엄마의 그림책 들려주기가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전남의 M군에 소재한 두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2세 영아 36명을 선정한 후, 이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18명씩 나누어 총 16주 동안 2주에 1권씩 가정에서 매일 엄마가 그림책을 들려주었다. 두 집단 모두 같은 그림책을 어린이집에서 귀가한 후 편안한 시간에 각 회당 10~15분 동안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고 실험집단은 개사된 노래로 들려주고 통제 집단은 일상적인 방법으로 그림책을 들려주었다. 그 결과, 노래를 활용한 엄마의 그림책 들려주기 활동이 영아의 사회? 정서적 긍정행동과 외현적, 내면적 문제행동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노래를 활용한 엄마의 그림책 들려주기가 만 2세 영아들의 사회?정서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effects of moms’ reading their two-year-old infants picture books with the related songs on the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of their infa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 two-year-old infants in two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M-gun. The 18 infants of one child care center belong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18 infants of the other belonged to a controlled group. This study had been conducted for 16 weeks. The infa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meaningful advances in social & emotional behavior, and external & internal behavior than the ones of the controlled group. This result meant that the two-year-old infants" reading picture books through songs with their moms turned out to be one of effective programs connected with home for influencing positively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of the infants in child care cen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