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Comparative Examination of the Ideal Political Leadership Outlined in The Huainanzi (淮南子) and The Prince

        노현종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7 철학·사상·문화 Vol.0 No.23

        The Huainanzi is a masterpiece of East Asian political philosophy, based on proto-Daoism. It has, however, never received the same attention as other Chinese classics, due to the miserable death of its editor, Liu An. The Huainanzi explores scientific natural order, emphasizing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natural world and human beings and offering profound insights into human nature. Ultimately, The Huainanzi seeks to contrive a visionary political leadership and a political system based on nature. Machiavelli’s The Prince lays down the basic framework of Western politics. It describes the supreme leader’s ruling strategies for the implementation of power through realpolitik.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se two masterpieces, written in different times and places, use their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to suggest ideal political leadership in an ideal political system. The study also examines the two books’ different positions on the rule of law and on military tactics. Despite the wide difference in political background of the books’ authors, there are some common factors, and the study analyzes them. Finally, the paper points out the valuable insights provided by The Huainanzi for realpolitik in the twenty-first century.

      • KCI등재

        경제교과에 대한 정의적 태도 평가도구(AAEQ) 개발 및 타당화

        노현종,박상은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19 중등교육연구 Vol.6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경제교과에 대해 가지는 정의적 태도의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Affective Attitudes Toward Economics Questionnaire: AAEQ)를 개발하여 타당화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2학년 학생 203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788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경제교과에 대한 태도를 흥미, 가치, 자아개념, 자아효능감의 4개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기존 문항을 수정하고 연구진에서 개발한 문항을 포함하여 문항풀을 구성하였다. 둘째, 개발한 문항에 대해 일련의 타당화 절차를 거쳐 26개의 최종문항을 확정하였다. 셋째, 타당도 검증에서는 신뢰도와 Rasch 모형 적합도, 확인적 요인분석모형의 적합도가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련 변인과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여 경제교과에 대한 태도 하위요인 중 흥미와 자아효능감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아개념이 가지는 혼재된 효과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형성적 피드백 인식, 지능에 대한 신념, 평가에 대한 태도, 행동의도 및 수업참여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노현종 한국교육평가학회 2022 교육평가연구 Vol.35 No.3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attitudes toward assessment(SATA), the incremental belief of intelligence, the perceived teachers’ formative feedback, behavioral intention, and classroom engagement in either formative or summative assessment situations. In the study the multi-level SEM approach was used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SATA and its related variables using Mplus. The findings revealed that incremental belief of intelligence and formative feedback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xpectancy and value and an indirect effect on learners’ participation through value, positive affect, and behavioral intention. Specifically, formative feedback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and learners’ participatio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formative feedback and students’ incremental beliefs of intelligence are variables with a positive influence on SATA. Second, students ascribe a greater value to and have better expectations from summative assessment rather than formative assessment. They consider summative assessment results to be more important. Although the mean of value and expectation in formative assessment was low, value showed the greatest positive effect on positive affect while expectation reduced negative affect in formative assessment. Therefore, to help improve students’ learning, the role of formative assessment is important. There is a need to emphasize that teachers should use student-centered assessment to consider students’ individual differences in learning and enhance students’ learning by providing formative feedback.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평가에 대한 인지적․정서적 태도가 수업 및 평가활동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평가에 대한 태도, 형성적 피드백 인식, 지능 향상 신념, 행동의도 및 수업참여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총괄평가와 형성평가 상황으로 구분하여 다층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D, K지역 초등학생 5~6학년 61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평가에 대한 인지적 태도의 하위 요인인 가치는 형성평가에서 정적정서를 매개로 행동의도와 수업참여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반면 총괄평가에서 가치 요인은 정적정서에는 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지만 수업참여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성 및 총괄평가에 대한 기대는 공통적으로 부적정서를 감소시켰으며, 행동의도를 매개로 수업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지능 향상 신념과 형성적 피드백은 두 평가 유형에서 공통적으로 인지적 태도와 정서적 태도를 매개로 수업참여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바른 평가에 대한 태도를 가지고 수업 및 평가활동에 참여하게 도울 수 있는 방안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내·외재적 생애목표와 기본심리욕구 및 안녕감 간의 관계

        노현종,손원숙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1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imary school students' life goals on their well-being mediated by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to evaluate consistency of their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across gender grou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8 5th or 6th graders(232 male and 186 female students) who were selected from three primary schools located in D-City. The proposed model was evaluated for its validity through SEM analyses. As a result, it was observed that primary students' intrinsic and extrinsic life goals had differential effects on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well-being. The intrinsic life goals showed only indirect effects on well being through mediation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whereas the extrinsic life goals had only direct effects on it.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multiple-group SEM analyses showed that intrinsic life goals had positive direct effects on three kind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for both gender groups. However, extrinsic life goals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well-being only for the male group. Finally, importances of establishing and pursuing intrinsic life goals for primary school student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생애목표, 기본심리욕구,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 및 성별에 따른 차이,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에 위치한 3개 초등학교의 5, 6학년 학생 418명(남학생 232명, 여학생 186명)이며,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이 적용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기본심리욕구와 안녕감의 하위요인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생애목표와 관련해서는 내재적 생애목표와 외재적 생애목표에서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내재적 생애목표는 기본심리욕구, 안녕감과 대체로 정적인 상관이 있었던 반면 외재적 생애목표는 안녕감과 상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생애목표와 안녕감 간의 관계에 대한 구조모형 검증에서 내재적인 생애목표는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유능감과 관계성을 매개로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재적인 생애목표는 기본심리욕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없었고, 안녕감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율성은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유능감과 관계성을 매개하여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집단 분석을 통하여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내재적 생애목표가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자율성이 유능감, 관계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재적인 생애목표는 남학생의 경우에만 안녕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초등학생에게 있어서 보다 긍정적이고 적응적인 삶을 위한 내재적 생애목표의 수립과 추구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성인의 경제이해력과 관심도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노현종,박상은 한국경제교육학회 2018 경제교육연구 Vol.25 No.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latent profiles based on economic literacy and interest in economy, and to test the effects of relative variables to determine these latent profil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are four latent profiles, which can be defined based on their response patterns; low interest-low literacy group, high interest-high literacy group, high interest-low literacy group, and low interest-high literacy group. Second, the significant determinants in the latent profiles were gender, age, education, income, and recent experience of economic education. Third, the level of rational decision making varied from group by group. The high interest-high literacy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of rational decision making, whereas the low interest-low literacy group showed the lowest level.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rational decision making between the other two groups. These findings will help to develop individualized or group-specific economic education programs or policies for adults.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경제이해력과 관심도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성인 3,000명의 경제이해력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성인의 잠재프로파일은 저관심-저이해집단(555명, 18.5%), 고관심-고이해집단(753명, 27.1%), 고관심-저이해집단(756명, 27.2%), 저관심-고이해집단(936명, 31.2%)으로 분류되었다. 영향요인을 검증한 결과 성별, 연령, 학력, 소득, 경제교육 경험이 집단 분류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집단별로 합리적 의사결정 수준을 파악한 결과 저관심-저이해집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고관심-고이해집단의 합리적 의사결정 수준이 가장 높았다. 고관심-저이해집단과 저관심-고이해집단의 합리적 의사결정 수준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국 성인의 경제에 대한 관심과 경제이해력 자료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성인들이 어떠한 경제이해력과 관심도 패턴을 보이는지를 파악하고, 집단 분류에 대한 영향요인을 검증하였으며, 집단 간 합리적 의사결정 수준의 차이를 검증하였으므로 향후 집단의 특성에 맞는 경제교육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노년기 부부의 경제활동과 삶의 만족, 우울 간의 구조적인 관계: APIM 모형의 적용

        노현종,박상은,조태곤,서봉언 한국여성경제학회 2019 여성경제연구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elderly couple's economic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on depression, taking into account the interdependent characteristics of couples. We used the data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which 2,489 couples responded to. We applied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dependence between husband and wif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her husband's life was higher than that of his wif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depression between the coupl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couple'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showed an actor's effect, and the partner's effect showed that the husband's life satisfac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his wife's depression. Seco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if a couple works in double income,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uple's life satisfaction and negative effect on the couple’s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single-income did not affect her husband's depression. Third, analyzing by the couple's working status(working or not working), the husband's employ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uple's life satisfaction, but did not affect the depression. The employment of a wif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her life and a negative effect on the depression of the couple, and not on the satisfaction of her husband's life. Finall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esented suggestions on providing employment environment that can positively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depression of elderly couple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부부의 경제활동과 삶의 만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부부간 상호의존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에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수집하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의 6차(2016) 자료 중 부부가 모두 응답한 2,489쌍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남편과 아내의 상호의존성을 고려하여 행위자-상대자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 APIM)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남편의 삶의 만족 수준이 아내의 삶의 만족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에는 부부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부 각자의 삶의 만족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는 행위자 효과가 나타났으며 상대자 효과는 대체로 남편의 삶의 만족이 아내의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가 맞벌이하는 경우 부부의 삶의 만족에는 정적으로, 우울에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외벌이의 경우 남편의 우울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부의 경제활동 여부를 각각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남편의 경제활동은 부부의 삶의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우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아내의 경제활동은 아내의 삶의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부의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편의 삶의 만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노년기 부부의 삶의 만족과 우울 간의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고용환경 제공에 대한 시사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비교사회주의적 접근을 활용한 북한연구: 유용성, 개념활용 그리고 구조화된 비교

        노현종 북한연구학회 2022 北韓硏究學會報 Vol.26 No.1

        This research contrives a way to improve North Korean Studies via comparative socialism. Specifically, it explores why comparative socialism was not developed in the Cold War era and its relationship with comparative historical analysis and Cold War history. This paper argues that although comparative socialism tends to emphasize North Korea’s universality as socialism, it does not collide with the “Singularity Perspective on North Korea.” Instead, comparison can help to capture the singularity of North Korea. Besides, this approach is also valid for understanding contemporary North Korea after the “Arduous March” because many other socialist countries had coexisted with the market. Lastly, it suggests some comparative research tips and provides examples of “structured comparison.” 본 연구는 비교사회주의 방법론이 북한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였다. 구체적으로 냉전시기의 비교사회주의 연구가 활성화되지 못했던 원인 및 비교역사분석과 냉전사와의 관계를 다루었다. 특히 비교사회주의 연구가 사회주의적 보편성에 주목하고 있음에도 이러한 접근이 북한의 특수성론과 대립하기 보다는 오히려 특수성을 정교하게 포착할 수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또한 과거 사회주의 국가들 역시 계획과 시장의 공존을 경험하였기 때문에 고난의 행군 이후의 북한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비교사회주의 연구를 실시할 때에 고려해야 할 점들과 ‘구조화된 비교’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