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댐 건설 전 후 내성천 수·생태환경 비교 분석

        노연정 ( Yeonjung Noh ),홍은미 ( Eunmi Hong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2008년 정부가 추진한 4대강 사업으로 많은 보와 댐이 시공됐다. 댐이 하천 유속을 감소시키면서 SS (suspended solid), T-P (Total Phosphorus)가 감소된 반면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COD (Chemical Oxygen Demand), TOC (Total Organic Carbon)등이 증가하고 녹조류의 대량번식이 발생하면서 대부분의 하천에서 사업후의 수질등급이 나빠지는 경향을 보였다. 가장 최근에 시공된 영주댐 또한 녹조류의 대량번식으로 수질문제가 불거졌다. 영주댐은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낙동강 중하류 수질 개선과 하천 유지용수 확보를 위해 내성천 상류에 건설되었다. 상류에 4개의 댐이 건설되면서 내성천은 급격한 환경 변화에 직면했다. 본 연구에서는 영주댐 건설 전 후의 내성천 유역 환경 수질분석을 통해 영주댐건설이 내성천 유역 환경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향후 댐 운영 방안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영주댐 건설 전후 내성천의 수질비교를 위하여 환경부가 제공하는 물환경정보시스템에서 연구지역내의 댐 상류1개 지점(토일천) 과 4개의 댐(영주댐4, 3, 2, 1), 하류 12개 측정지점(내성천4, 영주서천, 영주서천2, 내성천5, 옥계천, 석관천, 내성천1, 내성천2, 한천, 내성천3-1, 북계천, 금천)에 대한 2001-2020 월별 수질 데이터를 활용했다. 분석항목으로 pH, DO (Dissolved Oxygen), BOD, COD, SS, T-N (Total Nitrogen), T-P, TOC, 수온(℃), EC (Electrical Conductivity), 총대장균군 (Total Coliform Bacteria)을 지정하였으며, 영주댐 건설 전후를 각각 2001-2016, 2017-2020으로 설정하고 SPSS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건설 전후의 수질 비교를 통해 각 측정항목들에 대한 변화를 분석했다. 댐 시공 후 대부분의 하류 하천들에서 전보다 안정된 측정값이 관측되었다. 반면 총대장균군은 시공전보다 하천간의 변동 폭이 크게 증가함이 관측됐다. 또한 DO, SS의 감소와 BOD, COD의 증가가 관측되었다. 댐과 가까울수록 BOD의 증가정도가 컸으며, COD 또한 방류수인 ‘내성천4’ 지점에서 가장 크게 증가함이 관측되었다. 본 연구는 댐 건설로 발생되는 수질변화와 그에 대한 대책방안을 제공할 것이다.

      • 어류 서식처 평가를 통한 한강 지류 생태유량 산정

        노연정 ( Yeonjung Noh ),홍은미 ( Eunmi Hong ),김성준 ( Seongjoon Kim ),박진석 ( Jinseok Park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최근 하천 환경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수, 치수 목적만의 고려하던 과거와 다르게 환경기능까지 모두 고려한 하천 환경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생태기능을 보존하는데 필요한 최적 유량에 대한 평가에는 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에서 개발한 어류에 대한 유량과 서식지 가용성 사이의 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물리적 서식처 모형 Pysical HABitat SIMulation, PHABSIM)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PHABSIM은 가중가용면적(Weighted Useable Area, WUA)과 유량의 관계 곡선을 산출하여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PHABSIM을 이용하여 한강 지류의 5개 지점 원주천 치악교, 양화천 율극교, 복하천 흥천대교, 탄천 대왕교, 중랑천 신곡교에서 각 지점의 대표어종에 대한 가중가용면적을 산정하고 최적 생태유량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에 사용된 유량은 한강 지류 5개 지점의 2012~2021년 데이터가 사용되었으며, 대표 어종으로는 원주천에서 돌고기가 양화천, 복하천, 탄천에서는 피라미가 그리고 중랑천에서는 참붕어가 사용되었다. 산정된 생태유량을 각 하천의 유지유량과 비교하였을 때 원주천, 양화천, 중랑천 지점에서는 생태유량이 기존의 유지유량 보다 작게 나타났다. 반대로 복하천, 탄천의 경우 하천 유지유량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5개 지점에서 생태유량은 대체로 갈수량~저수량 또는 저수량~평수량 사이 값으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하천복구 또는 생태유량 유지를 위한 가이드라인의 기준으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혈액형별 성격특징에 대한 믿음과 실제 성격과의 관계

        조소현,서은국,노연정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19 No.4

        Individuals' beliefs about the association between blood types (A, B, O, AB) and personality was measured among 204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also rated their own personality on two different measures-the Big 5 inventory and a set of personality traits most frequently associated with each of the 4 blood types (stereotypic traits). Consistent with past research, no meaningful relationship emerged between the Big 5 traits and blood type. Interestingly, however, self-ratings on the stereotypic traits revealed a self-fulfilling pattern. Those who firmly believed in the validity of the blood type stereotypes were more likely to report his/her trait in a stereotype-consistent direction (e.g., a blood type A person reports that she indeed is very “timid”). As expected, such stereotype-confirming tendency was not observed among the skeptics of this stereotype. Overall, the findings suggest that having a strong faith in the blood type stereotype might have a self-confirming effect on self-reports of personality.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끌고 있는 혈액형과 성격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한 결과, 가장 보편적인 성격 검사로 알려진 성격의 5요인과 혈액형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격의 5요인이 아닌 혈액형별 성격특징 고정관념 형용사로 성격을 측정한 경우에는 혈액형에 따른 성격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가지 혈액형 중에서도 혈액형별 성격특징 고정관념의 수렴도가 높은 A형과 B형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혈액형별 성격 유형학에 대한 믿음 수준을 기준으로 집단을 나누어 비교한 결과, 믿음 수준이 높은 사람들일수록 혈액형별 성격특징 고정관념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자신의 성격을 보고하는 경향이 강했으며, 믿음 수준이 낮은 사람들의 경우에는 혈액형별 성격특징 고정관념으로 성격을 측정한 경우에도 5요인과 마찬가지로 혈액형에 따른 유의미한 성격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혈액형과 성격 간에 실질적인 관계가 없더라도, 혈액형과 성격에 대해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믿음이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쳐 실제 자신이나 타인에 대한 평가를 바꿀 수도 있음을 시사해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와 한계점,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The Design of an Optimized Muon Beamline

        최수용,박정원,노연정 한국물리학회 2015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6 No.5

        For the Heavy Ion Accelerator Project in South Korea we designed an optimized antimuon beamlineby using a simulation with the G4beamline and the TRANSPORT software packages. Thisresearch suggests that the optimized muon beamline can transport 2.4×108 antimuons per secondto a circle with a radius of 3 cm. In terms of the muon rate, this is competitive with world-leadingmuon beam facilities.

      • KCI등재

        Study of the Top-quark Pair Production in Association with a Bottom-quark Pair from Fast Simulations at the LHC

        조영권,최수용,노연정,김태정 한국물리학회 2015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7 No.5

        A large number of top quarks will be produced at the Large Hadron Collider (LHC) during the Run II period. This will allow us to measure the rare processes from the top sector in great details. We present a study of top-quark pair production in association with a bottom-quark pair (t¯tb¯b) from fast simulations for the Compact Muon Solenoid (CMS) experiment. The differential distributions of t¯tb¯b are compared with the top-quark pair production with two additional jets (t¯tjj) and with the produ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Higgs (t¯tH), where the Higgs decays to a bottom-quark pair. The significances of the t¯tb¯b process in the dileptonic and the semileptonic decay modes are calculated with the data corresponding to an integrated luminosity of 10 fb−1, which is foreseen to be collected in the early Run II period. This study will provide an important input in searching for new physics beyond the standard model, as well as in searching for the t¯tH process where the Yukawa coupling with the top quark can be directly measu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