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기농 잡곡의 몇몇 기능성 물질 비교

        윤성탁,김태호,남중창,김태윤,김혜림,조성훈,이승우,이명철,김민정,김성민 한국유기농업학회 2012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0 No.4

        Miscellaneous grain crops has been appeared as a well-being food and the demand of them are increasing recently. It is urgent to study especially about the functional materials of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ion and comparison several functional materials of fatty acids, anthocyanin content, total phenol content and DPPH assay of rice, and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produced organically so that these results would provide as a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functional products by using miscellaneous grain crops. Total content of fatty acids was in order of foxtail millet (0.649%) and common millet (0.33%), sorghum (0.172%) and rice (0.111%) respectively. The content of unsaturated fatty acid was also in order of foxtail millet (0.511%) and common millet (0.269%), sorghum (0.122%) and rice (0.069%)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as no detection of anthocyanin content in rice, foxtail millet and common millet, sorghum showed high content of anthocyanin content. Sorghum of Mongdangsusu showed the highest anthocyanin content (137.5mg/g). In the total phenol content of rice,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rice of Chucheongbyeo had high content (13.70㎍/g) whereas Daeanbyeo was the lowest content (10.07㎍/g). Foxtail millet of Hinchajo, common millet of Byeorukgijang and sorghum of Chalsusu showed the highest total phenol content of 25.8㎍/g, 69.4㎍/g and 682.2㎍/g respectively. In the average of total phenol content among rice,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showed 12.25㎍/g, 16.95㎍/g, 51.01㎍/g and 447.4㎍/ g of total phenol content respectively. The average of total phenol content of sorghum was 26.3㎍/g. It is 36.3 and 26.3 times higher compared with rice and foxtail millet respectively. I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eeds by DPPH(1,1-diphenyl- 2-picrylhydrazyl) assay for rice,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rice of Chucheongbyeo, foxtail millet of Ganghywajo and common millet of Geumeungijang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ith 3.6%, 4.78% and 13.4%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y of sorghum ranged from 88.47 to 90.11%. The average of antioxidant activity among four crops,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as obtained from sorghum (89.50%) and the next was common millet (6.13%), foxtail millet (2.43%), and rice (1.60%) in their order of antioxidant activity. The average of antioxidant activity of sorghum showed 55.9, 37.0 and 15times higher compared with rice, common millet and foxtail millet respectively.

      • KCI등재

        친환경농자재 처리가 배과수원 토양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윤성탁,許震宇,張慶宇,김태호,남중창,박상헌,곽노일,문수학,이혁재,최진호 한국유기농업학회 2010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18 No.4

        Coming with the well-being era, consumer’s demand for safe agricultural products is increasing. It is urgent to develop an environment-friendly pear production system.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nvironment-friendly pear production system by using several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which is known to be effective in agricultural production. In the effect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on the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in pear orchard, the content of total carbon, organic matter, Ca and Mg increased a little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ose of 2008, and 2nd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EC and Mg content in the soil among treatments. The content of leaf N, P and Ca in 2009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2008, while Mg content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2008 and 2009 years. Average pear weight in 2009 was 31g higher than that of 2008 (682g) and 2nd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pear weight (738g) among treatments. The average sugar content was higher in 2009 (12.6°Bx) compared with that of 2008 (12.2°Bx) and the plot of 2nd treatment highest sugar content (12.6°Bx) among treatments. There were no difference in hunter value of L among treatments, but hunter value of a showed higher 1.62 in 2009 than that of 2008 (3.73). The highest of gumminess and cohesiveness of fruits were obtained from 1st treatment and adhesiveness and chewiness of fruits were obtained from 3rd and 1st treatment respectively. Firmness of fruit increased a little in 2009 compared with that of 2008, while the highest firmness was obtained from 3rd treatment with 1.63㎏/5㎜∮ among treatments. Phosphate content in the peel of ‘Niitaka’ pear of fruit skin in 2009 (0.97g/㎏) showed 0.06g/㎏ more content than that of 2008 (0.91g/㎏), while the highest content was obtained from 3rd treatment (1.15g/㎏). Potassium content in the peel of ‘Niitaka’ pear in 2009 was 8.20g/㎏, which is 0.06g/㎏ more content than that of 2008 (7.82g/㎏) and the highest content was obtained from 1st treatment (8.34g/㎏) among treatments. The highest nitrogen content in the flesh of ‘Niitaka’ pear was obtained from 3rd treatment (4.32㎎/g), while it was the lowest in control plot (3.10㎎/g). Phosphate content in the flesh of ‘Niitaka’ pear in 2009 (8.20g/㎏) showed 0.06g/㎏ more content than that of 2008 (7.82g/㎏), while the highest content was obtained from 1st treatment (8.34g/㎏). There were no difference of the potassium content in the fruit peel of ‘Niitaka’ pear between years, but 1st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content (11.81g/㎏) among treatments, while the lowest was obtained from the control plot (10.83g/㎏).

      • KCI등재

        유기농 잡곡의 몇몇 기능성 물질 비교

        윤성탁,김태호,남중창,김태윤,김혜림,조성훈,이승우,이명철,김민정,김성민,Yoon, Seong-Tak,Kim, Tae-Ho,Nam, Jung-Chang,Kim, Tae-Yun,Kim, Hye-Rim,Jo, Sung-Hoon,Lee, Seung-Woo,Lee, Myung-Cheol,Kim, Min-Jeong,Kim, Seong-Mi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2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0 No.4

        최근 잡곡은 웰빙식품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어 앞으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잡곡에 대한 연구가 매우 절실하지만 국내 조, 기장, 수수의 잡곡종자에 대한 기능성물질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의 주식작물인 벼와 국내에서 유기농으로 재배 생산된 수종의 잡곡종자에 대한 지방산조성, 총 안토시아닌과 총 페놀 함량 및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여 잡곡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제공하고자 하였다. 1. 총 지방산 함량은 조, 기장, 수수, 벼의 순으로 각각 0.649% > 0.33% > 0.172% > 0.111%이었고, 불포화지방산 함량도 조, 기장, 수수, 벼의 순으로 각각 0.511% > 0.269% > 0.122% > 0.069%로 높았다. 2. 벼, 조, 기장 수수의 안토시아닌의 함량은 벼, 조, 기장에서는 안토시아닌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수수에서는 다량이 검출되었으며, 품종간에는 몽당수수에서 $137.5mg{\cdot}g^{-1}$으로 가장 많았으며, 메수수에서 $65.8mg{\cdot}g^{-1}$으로 가장 적었다. 3. 총 페놀 함량은 벼에서는 추청벼가 $13.70{\mu}g{\cdot}g^{-1}$으로 가장 많았으며 대안벼가 $10.07{\mu}g{\cdot}g^{-1}$로 가장 적었다. 조에서는 흰차조가 $25.8{\mu}g{\cdot}g^{-1}$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강화조가 $22.3{\mu}g{\cdot}g^{-1}$으로 많았다. 기장의 경우는 벼룩기장이 $69.4{\mu}g{\cdot}g^{-1}$로 가장 함량이 많았으며, 검은기장이 $33.6{\mu}g{\cdot}g^{-1}$으로 가장 적었다. 수수는 찰수수가 $682.2{\mu}g{\cdot}g^{-1}$을 나타내어 가장 함량이 많았으며, 가장 적은 품종은 재래찰수수로서 $237.9{\mu}g{\cdot}g^{-1}$을 나타내었다. 작물별 평균 총 페놀 함량을 보면 벼는 $12.25{\mu}g{\cdot}g^{-1}$, 조는 $16.95{\mu}g{\cdot}g^{-1}$, 기장은 $51.01{\mu}g{\cdot}g^{-1}$, 수수의 경우에서는 $447.4{\mu}g{\cdot}g^{-1}$을 나타내어 3작물의 총 페놀 함량은 수수가 평균 $447.4{\mu}g{\cdot}g^{-1}$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 양은 조의 평균치의 26.3배, 기장의 평균치에 대해서는 8.8배나 많은 함량이었다. 4. 벼, 조, 수수, 기장의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소거활성효과는 벼에서는 추청벼가 3.6%로 가장 높았다. 조에서는 강화조가 4.78%로 항산화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올황차조가 0.08%로 가장 낮았다. 기장의 경우는 검은 기장이 13.4%로 특히 가장 높았다. 수수는 본 시험에 공시된 7품종의 범위가 88.47~90.11%로 품종간 차이가 크지 않았다. 벼 3품종, 조 9품종, 기장 6품종, 수수 7품종의 평균항산화 활성을 보면 수수 > 기장 > 조 > 벼 순으로 각각 1.60% > 2.43% > 6.13% > 89.50%로 나타났다. 수수의 평균 항산화 활성은 조의 37배, 기장의 15배나 높았다. Miscellaneous grain crops has been appeared as a well-being food and the demand of them are increasing recently. It is urgent to study especially about the functional materials of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ion and comparison several functional materials of fatty acids, anthocyanin content, total phenol content and DPPH assay of rice, and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produced organically so that these results would provide as a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functional products by using miscellaneous grain crops. Total content of fatty acids was in order of foxtail millet (0.649%) and common millet (0.33%), sorghum (0.172%) and rice (0.111%) respectively. The content of unsaturated fatty acid was also in order of foxtail millet (0.511%) and common millet (0.269%), sorghum (0.122%) and rice (0.069%)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as no detection of anthocyanin content in rice, foxtail millet and common millet, sorghum showed high content of anthocyanin content. Sorghum of Mongdangsusu showed the highest anthocyanin content (137.5mg/g). In the total phenol content of rice,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rice of Chucheongbyeo had high content ($13.70{\mu}g/g$) whereas Daeanbyeo was the lowest content ($10.07{\mu}g/g$). Foxtail millet of Hinchajo, common millet of Byeorukgijang and sorghum of Chalsusu showed the highest total phenol content of $25.8{\mu}g/g$, $69.4{\mu}g/g$ and $682.2{\mu}g/g$ respectively. In the average of total phenol content among rice,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showed $12.25{\mu}g/g$, $16.95{\mu}g/g$, $51.01{\mu}g/g$ and $447.4{\mu}g/g$ of total phenol content respectively. The average of total phenol content of sorghum was $26.3{\mu}g/g$. It is 36.3 and 26.3 times higher compared with rice and foxtail millet respectively. I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eeds by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assay for rice,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rice of Chucheongbyeo, foxtail millet of Ganghywajo and common millet of Geumeungijang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ith 3.6%, 4.78% and 13.4%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y of sorghum ranged from 88.47 to 90.11%. The average of antioxidant activity among four crops,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as obtained from sorghum (89.50%) and the next was common millet (6.13%), foxtail millet (2.43%), and rice (1.60%) in their order of antioxidant activity. The average of antioxidant activity of sorghum showed 55.9, 37.0 and 15times higher compared with rice, common millet and foxtail millet respectively.

      • KCI등재

        팥 유전자원의 작물학적 형질 특성

        윤성탁,진우봉,김태호,조성훈,남중창,이준수 한국작물학회 2012 한국작물학회지 Vol.57 No.1

        국내 전역에서 수집된 팥 150 유전자원을 공시하여 작물학적 형질 특성조사를 통한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제공코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육형 빈도를 보면 무한신육형이 96.6%(145자원)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유한신육형 및 반무한신육형은 각 각 2.0%(3자원), 1.3%(2자원)를 차지하였다. 2. 화색은 황색이 98.0%(147자원)를 차지하였으며, 협색은 노란색, 갈색, 농갈색, 흑황색, 혼합색의 5가지의 색으로 확인되었다. 이중 가장 많은 협색은 황색으로 64.3%(96자원)를 차지하였다. 종피색은 갈색, 농갈색, 흑색, 흰색, 혼합색, 적갈색, 황색 및 녹색으로 8가지의 립색을 나타내었으며, 적갈색 및 갈색계통이 전체의 66.5%를 차지하였다. 3. 생육일수는 89.0~142.0일의 분포를 보여 변이의 폭이 상당히 컷으며, 평균은 115.0일이었다. 생육일수의 빈도는 131.0~140.0일로 이에 속하는 자원이 37.2%(56 자원)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은 121~130일 사이가 27.3%(41자원)를 차지하였다. 4. 협장은 5.9~10.1 cm를 나타내어 변이 폭이 컷으며, 평균은 7.8 cm이었다. 협장은 7.1~8.0 cm 사이에 속하는 자원이 45.1%(68 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8.1~9.0 cm에 속하는 자원이 32.2%(48 자원)를 차지하였다. 5. 개체당 평균 협수는 28.5협이었으며 150 유전자원의 협수분포를 보면 5.0~132.5협을 나타내어 변이의 폭이 컷다. 개체당 협수가 가장 많은 자원은 11.0~20.0협 사이로 30.8%(46 자원)를 나타내었으며, 다음은 21.0~30.0협에 속하는 자원이 28.6%(43자원)를 차지하였다. 6. 협당립수는 5.3~11.3립을 나타내어 변이의 폭이 컷으며, 평균은 8.2립이었다. 협당립수가 가장 많은 그룹은 7.1~8.0립으로 32.2%(48자원)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은 8.1~9.0립 사이에 속하는 자원이 28.2%(42자원)를 차지하였다. 7. 100립중은 범위가 5.7~23.0 g으로 변이 폭이 컷으며, 평균은 12.9 g이었다. 100립중의 분포는 9.01~13.0 g사이에 속하는 자원이 전체의 43.4%(65 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13.01~17.00 g이 28.5%(43 자원)를 차지하였다.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150 adzuki bean (Vigna angularis W.F. Wight) germplasm collected in Korea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establish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crop breeding. Growth types were classified as 3 types of indeterminate type, determinate type, and semideterminate type, of which indeterminate type was the highest percentage of 96.6%. Seed color were classified as 8 colors of which dark brown took 66.5% in 150 adzuki bean germplasm. Days from seeding to maturity showed the range from 89 to 142 days with 115 days in the average and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was 37.2% of the group from 131 to 140 days, and the next was 27.3% of the group from 121 to 130 days among 150 germplasm. Pod length showed the range from 5.9 to 10.1 cm with 7.8 cm in the average and the highest frequency distribution of it was the group from 7.1 to 8.0 cm with the proportion of 45.1% and the next was the group from 8.1 to 9.0 cm with the proportion of 32.2%. Number of pods per plant showed the range from 5.0 to 132.5 pods with 28.5 pods in the average and the highest frequency distribution of it was the group from 11.0 to 20.0 pods with the proportion of 30.8% and the next was the group from 21.0 to 30.0 pods with the proportion of 28.6%. Number of seeds per pod showed the range from 5.3 to 11.3 seeds with 8.2 seeds in the average and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of it was the group from 7.1 to 8.0 seeds, which occupied 32.2% among 150 germplasm. 89.3% of 150 germplasm showed the resistance to shattering of grains at harvest period. 100 grain weight showed the range from 5.7 to 23.0 g with 12.9 g in the average and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of it was the group from 9.01 to 13.0 g, which occupied 43.3% and the next was the group from 13.01 to 17.00 g with the proportion of 28.5% of 150 germplasm.

      • 잡곡재배 확대를 위한 조건 불리 한계농경지이용기술

        윤성탁,許震宇,張慶宇,김태호,남중창,김성민,이은섭 한국작물학회 2010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04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약 20%에 해당하는 조건 불리 한계농경지의 활용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산간지역의 한계농경지인 산간경사지, 척박지 및 자갈밭에 수수, 조, 기장을 파종하여 잡곡류 생산성을 평가함은 물론 적정 품종을 선발하여 경지이용률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수수의 한계경지별 출수기 및 성숙기는 큰 차이가 없었다. 간장도 자갈밭을 제외하곤 한계경지별 큰 차이가 없었으며, 수장은 경사지가 38.1cm로 가장 컷고, 척박지가 35.0cm로 가장 작았다. 1수립수는 대조구와 경사지가 각각 2598.1, 2563.8개로 가장 많았으며, 이삭 수도 마찬가지로 대조구와 경사지가 각각 26.7, 26.0이삭/3.3m2으로 가장 많았다. 수량은 경사지가 301.7kg/10a 로 다른 한계경지에 비해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 313.3kg/10a에 비해 약 96%를 차지하였다. 품종별 생육기간 은 큰 차이가 없었다. 1수립수는 목탁수수가 2357.6립으로 가장 많았으며, 수량도 목탁수수가 236.5kg/10a으로 가장 많았다. 조의 한계경지별 출수기 및 성숙기는 큰 차이가 없었다. 수장 및 생육기간도 한계경지별 큰 차이가 없었다. 1수립수는 대조구를 제외하면 경사지가 4913.9립으로 많았다. 3.3m2당 이삭수는 자갈밭이 85.3 이삭으로 대조구에 비해 79.9%로 가장 적었으며, 수량은 경사지가 282.0kg/10a로 대조구를 제외하면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 295.0kg/10a에 비해 약 96%를 차지하였다. 품종별로 보면 수장 및 생육기간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1수립수는 메조가 5729.6개로 가장 많았으며, 3.3m2당 수수, 1000립중, 입모률은 품종간에 큰 차이 가 없었다. 수량은 메조와 몽당조가 각각 259.3, 252.3kg/10a으로 많았다. 기장의 간장은 대조구와 경사지가 동일하게 168.3cm로 가장 컷으며, 수장도 경사지가 35.3cm로 대조구 다음으로 컷다. 1수립수는 경사지가 787.1립으로 대조구 다음으로 가장 많았다. 기장의 입모률은 대조구, 경사지 및 척박지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 나, 자갈밭은 39%에 불과하였다. 수량은 경사지가 196.0kg/10a로 다른 한계경지에 비해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 217.0kg/10a에 비해 약 90.3%를 차지하였다. 품종별로 보면 1수립수는 벼룩기장이 827.2개로 가장 많았으며, 수량도 벼룩기장이 173.8kg/10a으로 가장 많았다.

      • KCI등재

        친환경농자재 처리가 배과수원 토양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윤성탁,허진우,장경우,김태호,남중창,박상헌,곽노일,문수학,이혁재,최진호,Yoon, Seong-Tak,Xu, Zhen-Yu,Zhang, Qing-Yu,Kim, Tae-Ho,Nam, Jung-Chang,Park, Sang-Hun,Kwak, No-Il,Mun, Su-Hak,Lee, Hyuk-Jae,Choi, Jin-Ho 한국유기농업학회 2010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18 No.4

        Coming with the well-being era, consumer's demand for safe agricultural products is increasing. It is urgent to develop an environment-friendly pear production system.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nvironment-friendly pear production system by using several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which is known to be effective in agricultural production. In the effect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on the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in pear orchard, the content of total carbon, organic matter, Ca and Mg increased a little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ose of 2008, and 2nd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EC and Mg content in the soil among treatments. The content of leaf N, P and Ca in 2009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2008, while Mg content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2008 and 2009 years. Average pear weight in 2009 was 31g higher than that of 2008 (682g) and 2nd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pear weight (738g) among treatments. The average sugar content was higher in 2009 (12.6$^{\circ}Bx$) compared with that of 2008 (12.2$^{\circ}Bx$) and the plot of 2nd treatment highest sugar content (12.6$^{\circ}Bx$) among treatments. There were no difference in hunter value of L among treatments, but hunter value of a showed higher 1.62 in 2009 than that of 2008 (3.73). The highest of gumminess and cohesiveness of fruits were obtained from 1st treatment and adhesiveness and chewiness of fruits were obtained from 3rd and 1st treatment respectively. Firmness of fruit increased a little in 2009 compared with that of 2008, while the highest firmness was obtained from 3rd treatment with 1.63kg/5mm$\oint$ among treatments. Phosphate content in the peel of 'Niitaka' pear of fruit skin in 2009 (0.97g/kg) showed 0.06g/kg more content than that of 2008 (0.91g/kg), while the highest content was obtained from 3rd treatment (1.15g/kg). Potassium content in the peel of 'Niitaka' pear in 2009 was 8.20g/kg, which is 0.06g/kg more content than that of 2008 (7.82g/kg) and the highest content was obtained from 1st treatment (8.34g/kg) among treatments. The highest nitrogen content in the flesh of 'Niitaka' pear was obtained from 3rd treatment (4.32mg/g), while it was the lowest in control plot (3.10mg/g). Phosphate content in the flesh of 'Niitaka' pear in 2009 (8.20g/kg) showed 0.06g/kg more content than that of 2008 (7.82g/kg), while the highest content was obtained from 1st treatment (8.34g/kg). There were no difference of the potassium content in the fruit peel of 'Niitaka' pear between years, but 1st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content (11.81g/kg) among treatments, while the lowest was obtained from the control plot (10.83g/kg). 웰빙시대의 도래와 함께 안전농산물에 대한 국민요구가 커져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친환경 배 생산체계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유효미생물제제인 Amo 등을 비롯한 몇가지 친환경농자재를 조합 처리하여 친환경 배 생산체계를 수립코자 2년간 수행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친환경농자재 처리에 의한 배과수원의 토양양분의 변화는 T-C, 유기물, Ca 및 Mg 함량은 2008년에 비해 2009년 약간 증가하였으며, 처리 간에는 EC, Ca 및 Mg 함량이 2 처리에서 많은 경향이었다. 2. 엽내 질소 및 인산함량은 2008년에 비해 2009년 각 처리구 모두에서 감소하였다. 칼륨 함량은 2008년 1.93%에 비해 2009년은 2.06%로 증가하였으며, 처리간에는 1처리구가 2.17%로 가장 많았다. 칼슘함량도 2008년에 비해 2009년 각 처리구 모두에서 함량이 감소되었으며, 처리간에는 3처리구가 1.52%로 가장 많았다. 3. 연차간 과실특성을 보면 과중은 2008년 평균 682g에 비해 2009년에는 713g으로 31g이 높았으며, 처리간에는 2처리구가 738g으로 가장 높았다. 과실의 당도함량은 12.2~12.6$^{\circ}Bx$로 2008년 평균 12.2$^{\circ}Bx$에서 2009년 12.6$^{\circ}Bx$로 당도가 증가하였다. 처리간에는 대조구와 2처리구가 12.6$^{\circ}Bx$로 가장 높았다. 4. 과피색의 L값은 연차간 처리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a 값의 경우 2008년 3.73에 비해 2009년에는 5.35로 1.62 높은 경향을 보여 성숙진행이 2009년에 다소 빨랐음을 알 수 있었으며, 처리간에는 2처리구가 4.82로 가장 높았다. 5. 과실 조직의 처리간 응집성 및 점착성은 1처리구가 각각 1.97, 0.14로 가장 높았다. 부착성은 2008년과 비교하여 2009년이 -0.86이 적었으며,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처리간 부착성은 3처리가 -2.58로 가장 높았다. 과실의 경도는 1처리구가 14.4로 가장 높았으며, 씹힘성도 1처리가 1.77로 가장 높았다. 6. 과피의 무기성분 함량 중 인산함량은 2008년 0.91g/kg에 비해 2009년 0.97g/kg으로 0.06g 더 많았으며, 처리간에는 3처리가 1.15g/kg으로 가장 많았다. 칼륨함량은 2008년 7.82g/kg에 비해 2009년 8.20g/kg으로 2009년이 더 많았으며, 처리간에는 1처리가 8.34g/kg으로 가장 많았다. 칼슘은 처리간에는 3처리에서 166.80ppm을 나타내 가장 함량이 높았다. 7. 과육의 질소함량은 처리간에는 3처리가 4.32mg/g으로 가장 함량이 높았다. 인산함량은 2008년 평균 1.59g/kg에 비해 2009년 1.42mg/g로 함량이 적었으며, 처리간에는 1처리, 3처리가 1.68g/kg으로 가장 많았다. 칼륨함량은 년차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처리간에는 1처리가 11.81g/kg으로 가장 함량이 많았다. 칼슘함량은 2008년 34.13ppm에서 2009년은 35.10g/kg을 나타내 함량이 증가하였다. 마그네슘 함량은 3처리가 0.93g/kg으로 가장 함량이 높았다.

      • KCI등재

        조건 불리 한계농경지에서의 조, 수수, 기장의 생육 및 수량

        윤성탁,이명철,김정순,장경우,허진우,김영복,김태호,남중창,남민희,이용환,황재복,심상인,김성민 한국작물학회 2010 한국작물학회지 Vol.55 No.4

        경사도가 높거나 농지의 지형적 토성적 이유로 농기계의 작업효율이 낮은 한계경지는 산간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어 이와 같은 불량환경에 적응성이 큰 조, 기장, 수수의 생육 및 수량특성을 검정하여 한계경지 적응 적정 작목 및 품종을 선발코자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 pH는 평탄지인 대조구가 7.85로 약 알카리성을 나타내었으며, 경사지 및 척박지는 각각 6.3, 6.2로 약산성을 나타내었으나, 자갈밭은 5.1로 강한 산성을 나타내었다. EC는 대조구에 비해 한계농경지(경사지, 척박지, 자갈밭)가 낮았으며, 특히 척박지는 0.05 dS m1로 가장 낮았다. 2. 조의 한계경지별 출수기 및 성숙기는 큰 차이가 없었다. 간장은 경사지에서 169.5 cm로 가장 컸으며, 자갈밭이 143.7 cm로 가장 작았다. 1수립수는 대조구를 제외하면 경사지가 4913.9립으로 많았으며, 3.3 m2 당 이삭수는 자갈밭이 85.3이삭으로 대조구에 비해 25% 적었다. 품종별 생육기간은 3품종 모두 112~113일로 차이가 없었다. 3. 기장의 파종기로부터 출수소요일은 한계경지간 큰 차이가 없었으며, 1수립수는 경사지가 787.1립으로 대조구 다음으로 가장 많았다. 품종간 1수립수는 벼룩기장이 827.2개로 가장 많았으나, 1000립중은 5.5g으로 황기장 6.2g에 비해 작았다. 4. 한계경지별 수수의 출수기 및 성숙기는 큰 차이가 없었다. 1수립수는 대조구와 경사지가 각각 2598.1, 2563.8개로 가장 많았으며, 이삭수도 대조구와 경시지가 각각 26.7, 26.0이삭/3.3 m2 으로 가장 많았다. 품종별 생육기간은 3품종 모두 122~123이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1수립수는 목탁수수가 2357.6립으로 가장 많았으며, 메수수가 2071.8개로 가장 적었다. 1000립중은 장목수수가 23.8g으로 가장 무거웠다. 5. 조의 수량은 대조구가 295 kg/10a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경사지가 282.0 kg/10a으로 많았다. 품종별로는 몽당조가 252.3 kg/10a으로 수량이 가장 많았다. 기장의 수량은 대조구가 217.0 kg/10a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경사지가 196.0 kg/10a으로 많았다. 품종별로는 벼룩기장이 173.8 kg/10a으로 가장 많았으며, 흰기장이 122.2 kg/10a으로 수량이 가장 낮았다. 수수의 수량은 대조구가 313.0 kg/10a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경사지가 301.7 kg이었으며, 품종별로 는 목탁수수가 236.5 kg/10a로 가장 수량이 많았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elect optimum minor cereal crop and variety for the marginal agricultural lands so that they would be used to increase the agricultural land use rate in mountainous areas. This experiment used three different marginal agricultural lands, that is, slope land, barren land and gravelly land. Soil pH of control field was 7.85, slightly alkali, whereas gravelly land showed strong acid(pH 5.1). EC of marginal agricultural lands was generally lower compared to the control, especially barren land showed 0.05dS m-1 which was the lowest among marginal agricultural lands. Foxtail mille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heading and ripening date among marginal agricultural lands. Foxtail millet of slope land showed the highest culm length(169.5 cm) and grains per ear(4913.9 grains) among marginal agricultural lands except control field. Growth duration of three varieties was varied from 112 to 113days, which was not different statistically. In grains per ear of common millet, slope land showed 787.1 grains which was the highest among marginal agricultural lands except control field. Among varieties, Byorukgijang showed the highest grains per ear(827.2 g/ear), whereas 1000 grain weight was 5.5 g which was lower compared to that of Hwanggijang(6.2 g). In sorghum, slope land showed the highest grains(2563.8 grains) per ear and ears per 3.3 m2 (26.0 ears) except control field. Growth duration of three sorghum varieties almost the same from 122 to 123 days, whereas the highest grains per ear was obtained from Moktaksusu(2357.6 grains). Jangmoksusu showed the highest 1000 grain weight(23.8 g) among three sorghum varieties. In yield of three foxtail millets, the highest yield was obtained from slope land(282.0 kg/10a) among marginal agricultural lands and Mongdangjo showed the highest yield(252.3 kg/10a) among three varieties. In yield of three common millets, the highest yield was obtained from slope land(196.0 kg/10a) among marginal agricultural lands and Byorukgijang showed the highest yield(173.8 kg/10a) in three varieties. In three sorghum varieties, the highest yield was obtained from slope land(301.7 kg/10a) among marginal agricultural lands and Moktaksusu showed the highest yield(236.5 kg/10a) among three varieties.

      • KCI등재

        수수 유전자원의 작물학적 특성

        윤성탁,許震宇,張慶宇,김인숙,김태호,남중창 한국작물학회 2010 한국작물학회지 Vol.55 No.1

        수년 동안 국내 전역에서 수집된 수수 179 유전자원을 공시하여 작물학적 특성조사를 통한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제공코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수의 수형은 산수형, 소경수수형, 반소경수수형, 극밀수형, 및 밀수형의 5가지 수형이 존재하였으며, 수형별 빈도를 보면 소경수수형이 38.0%(68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극밀수형 및 밀수형이 각각 16.2%, 7.8%로 가장 적었다. 2. 수수 이삭의 까락 유무는 28.5%(51자원)가 까락을 갖고 있었으며, 나머지 71.5%(128자원)는 까락이 없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3. 종실형태는 43.0%(77자원)가 원형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으며, 편원형이 7.3%(13자원)로 가장 적었다. 종피색은 황갈색이 84.4%(151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갈색 및 흰색이 똑같이 1.1%로 가장 적었다. 4. 수수 179자원의 출수소요일은 67~88일의 범위를 나타내어 변이폭이 컷으며, 평균은 77.4일이었다. 출수소요일의 분포는 179자원 중 76~80일이 37.4%(67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86일 이상도 5.6%이었으며, 70일 이전에 출수한 자원도 10.0%를 나타내었다. 5. 간장은 92~360 cm의 범위를 보였으며, 평균은 253.8 cm로 변이의 폭이 컷다. 간장의 분포는 291~310 cm가 20.6% (37자원)로 가장 많았다. 6. 수장은 15~49 cm의 범위를 보였고, 평균 28.8 cm이었다. 수장의 분포는 31~35 cm가 26.3%(47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15 cm 이하가 0.6%로 가장 적었다. 7. 생육일수는 110~146일의 범위를 나타내어 변이 폭이 상당히 큼을 알 수 있었고, 평균은 125.5일이었다. 생육기간의 빈도는 111~115일이 39.7%(71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110일 이하와 141일 이상에 속하는 자원도 각각 2, 23자원이나 되었다. 8. 1수립수의 범위는 163~4,532개로 변이 폭이 상당히 컷으며, 평균은 2,068.6개 이었다. 1수립수 분포는 1,601~2,000개가 25.7%(46자원)로 가장 많았다. 9. 공시된 179 유전자원의 1000립중은 범위가 10.6~38.1 g으로 변이폭이 컷으며, 평균은 25.6 g이었다. 1000립중의 분포는 26.0~30.0 g가 전체의 44.1%(79자원)로 가장 많았다 Crop characteristics of 179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resources collected in Korea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establish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crop breeding. Spike types of 179 sorghum resources were classified as 5 types of open-loose type, broom-tillering type, half broom-tillering type, extreme-compact type and compact type, of which broom-tillering type was the highest ratio of 38.0% (68 plant resources) of 179 germplasm. In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spike awn in 179 sorghum resources, 28.5% (51 plant resources) showed existence of spike awn, whereas the rest of 71.5% (128 plant resources) had no spike awn. Seed type was classified as 5 types, of which circle-shape showed the highest ratio of 43.0% (77 plant resources) and the lowest was inclined-circle shape by 7.3% (13 plant resources). Seed color was classified as 4 colors of brown, white, whitish brown, and yellowish brown, of which yellowish brown was the highest ratio of 84.4% (151 plant resources) among them. Days from seeding to heading date showed the range from 67 to 88 days with the average of 77.4 days and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of it was the group from 76 to 80 days, which occupied 37.4% (67 plant resources) of 179 germplasm. 179 sorghum resources showed high variation in the range of culm length with the average of 253.8 cm and group from 92 cm to 360 cm of culm length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of 20.6% (37 plant resources). Spike length showed the range from 15 to 49 cm with the average of 28.8 cm and the highest frequency distribution of it was the group from 31 to 35 cm with the proportion of 26.3% (47 plant resources), whereas the lowest was below 15 cm with the proportion of 0.6%. Days from seeding to physiological maturity showed the range from 110 to 146 days with the average of 125.5 days and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39.7%) of it was the group from 111 to 115 days, while there were also occupied with 2 plant resources below 110 days and 23 plant resources over 141 days among 179 germplasm. Number of grains per spike showed the range from 163 to 4,532 grains with the average of 2,068.6 grains and group from 1,601 to 2,000 grains per spike was the highest frequency distribution with the proportion of 25.7% (46 plant resources). 1000 grains weight showed the range from 10.6 to 38.1g with the average of 25.6g and group from 26.0 to 30.0g was the highest frequency distribution with the proportion of 44.1% (79 plant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