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해경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4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4 No.-
탑골공원은 1897년 조성 논의와 1902년 개원 후 현재까지 각 시기별 변화가 야기된 공간 계획은 특정 시기와 이용자에게 집중한 변화였다. 이는 탑골공원에 누적된 기 억의 층위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진행되지 않았음에 기인한다. 이에 본 연구는 통시 적으로 탑골공원의 물리적 형태와 이용 행태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이왕직 소유의 도시공원으로 조성된 1897년에서 1909년이다. 1897년 공원의 조성 논의 후 거북이형의 외형을 구축하기 위하여 민가를 철거하였고, 담장을 둘러 경계의 의미를 부여했다. 일반인의 공개에 제약을 두었으며 음악대의 연주를 위한 팔각정과 부지 정지(整地)만 진행되었을 뿐 공원시설의 도입은 미약했다. 둘째, 상업시설이 도입된 1910년에서 1944년까지이다. 경성의 도심에 위치하여 이 용이 활발하여 양요리집인 상업시설이 도입되었다. 상업건물 전면에는 다리가 있 는 일본식 연못을 조성하였고 하절기와 야간개방 시 맥주와 아이스크림을 판매하였 다. 공원의 휴식과 유희를 위한 다양한 시설이 도입된 시기이다. 셋째, 특정요소의 전유와 배제가 진행된 해방 이후에서 2000년까지이다. 해방 직후 외형적 큰 변화는 없었으며, 이승만 대통령 동상이 축조된 정도였다. 1967년 공원 외곽에 아케이드가 축조되면서 공원내외부의 변화가 가시화되었다. 1983년 아케이 드 철거된 후 공원 정비는 상징성보다는 이용자를 위한 공원시설이 확충되는 형태 였다. IMF 이후 노인과 실업자의 이용율이 증가하자 이는 새로운 변화를 야기하는 기제로 작용했다. 넷째, 성역화 사업 이후 현재까지 다양한 이용이 상충하는 공원이다. 성역화 사업으 로 3․1운동의 상징성을 공간을 지배하는 개념으로 사용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노인 의 이용이 급증하자 노인문제가 집약된 공간으로 인식이 보편화되었다. 탑골공원은 이왕직 소속의 도시공원으로 조성 후 일제강점기의 3․1운동의 발상지 와 활발히 이용되는 도시공원이란 기억이 중첩되었다. 이후 성역화사업을 거쳤지 만 공원의 의미 충돌은 지속되고 있다. 향후 탑골공원에 대한 재정비 사업 시 누적 된 시간의 층위를 존중하는 계획이 진행되길 바라는 바이다. Since 1897 when its construction was discussed and 1902 when it first opened, Tapgol Park has undergone each periodical change-based space planning focusing on specific periods and users so far. It seem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re was no precise analysis of the layers of memory accumulated in Tapgol Park. Thus,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the physical form and use behaviors of Tapgol Park in a diachronic way, an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The first period was 1897 to 1909 when it was constructed as an urban park possessed by Wang-jick Lee. After 1897 when its construction as a park was discussed, private houses were demolished to establish a turtle-shaped structure, and the meaning of a boundary was given to the park with walls surrounding the park. It was limited to opening to the public, and the octagonal pavilion and site were arranged for musical performances of a musical band, but not many park facilities were introduced. The second period was 1910 to 1944 when commerical facilities were introduced to the park. Since this park was located in downtown of Gyeongseong, there were many visitors there, leading to the introduction of commercial facilities like a lamb restaurant. In front of the commercial building, a Japanese-tyoe pond was constructed with a bridge, and when it was open to the public at night and during the summer season, they sold beer and ice cream. It was a period when various park facilities were introduced for leisure and amusement. The third period was 1945, Korea’s independence year, to 2000 when specific elements were exclusively used or excluded at the same time. Right after 1945 when Korea became independent from Japan, there was no large change in the external aspects of the park, only with a statue of President Syingman Rhee built. As an arcade was constructed around the park in 1967, both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of the park became visualized. After the arcade was removed in 1983, the park was reorganized to secure more park facilities for users rather than its symbolism. As the rate of senior citizens and unemployed people using this park increased after IMF, it played a role as a mechanism brining about new changes. The fourth period is the sanctuary project period to the present when various kinds of visitors use this park. Because of the sanctuary project, the park adopted the symbolism of March First Movement as a concept to dominate the space, but as the number of senior citizens using this park rapidly increased, people’s understanding of this park as a space of problems regarding elderly people was generalized. After being constructed as an urban park possessed by Wang-jick Lee, Tapgol Park was overlapped by two diiferent memories, one was about the cradle of March First Movement and the other was an urban park actively used by citizens. Afterwards, it went through a sanctuary project, but the semantic conflict over the park is still going on at present. When a new project is conducted to reorganize Tapgol Park in the near future, I hope there will be plans established to respect the layers of time accumulated so far.
애착과 편집성 성격성향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수치심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해경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2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ways of intervening to help treatment and adapt people with paranoid personality traits by verifying the influence of variables such as attachment and shame on the development of paranoid personality and the role of self-compassion. In addition, groups of paranoid personality trait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level of depression symptoms because they could experience mood symptoms. For that purpose, the data was analyzed by measuring Encounter in Close Relationship Scale-Revised(ECR-R), Internalized Shame Scale(ISS), Korean Personality Disorders Test, Korean version of Self-Compassion Scale(K-SCS), Zung Self Rating depression sacle 0f 468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hame had partial mediation effects in the pathway from insecure attachment(anxiety attachment, avoidant attachment) to paranoid personality traits in both group. Second, common humanity had moderation effects in the pathway from anxiety attachment to shame. Third, common humanity had mediated moderation effects through sha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ttachment and paranoid personality trait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address internalized shame as well as attachment types in therapeutic interventions of paranoid personalities, and it seems that fostering self-compassion can serve as a protective factor to reduce shame. Also, checking for mood symptoms such as depression may be more useful in a therapeutic approach. 본 연구는 애착과 수치심과 같은 변인이 편집성 성격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및 자기자비의 역할을 검증함으로써 편집성 성격성향을 가진 사람들의 치료 및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입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더해, 편집성 성격성향자들의 경우 기분 증상을 경험할 수 있기 때문에 우울 증상의 수준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468명을 대상으로 개정판 성인용 친밀관계 애착척도(ECR-R),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 성격장애 진단검사,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K-SCS), 한국판 Zung 우울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높은 우울집단과 낮은 우울집단 모두에서 불안정 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과 편집성 성격성향의 관계에서 수치심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낮은 우울집단에서 불안애착과 자기자비의 하위유형인 보편적 인간성이 상호작용하여 수치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낮은 우울집단에서 불안애착이 수치심을 통해 편집성 성격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보편적 인간성이 감소시키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편집성 성격성향자들에 대한 치료적 개입에 있어 애착 유형뿐만 아니라 내면화된 수치심에 대해 다룰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며, 자기자비 함양이 수치심을 감소시키는 보호요인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우울과 같은 기분 증상을 먼저 점검해보는 것이 치료적 접근에 있어 보다 유용할 수 있겠다.
고흥 대서지역에 분포하는 역암에 대한 퇴적압석학적 연구
김해경,고영구 全南大學校 師範大學 科學敎育硏究所 2002 科學敎育硏究誌 Vol.26 No.1
A sedimentological study to conglomerates composing of lower part of the Duwon Formation was performed in the Daeseo area, Goheung. The study includes grain size distribution, sedimentary facies, and shape of gravels in two conglomerate dominating outcrops of the area. The conglomerate deposits are composed of mG, gGS, gsGS and lMT facies. The conglomerates are assigned to pebble ones. Gravels in the conglomerates are moderately sorted, positively skewed and leptokurtic in textural parameters. In addition, those gravels most1y show equant, rounded and highly spherical shapes. And the gravels are quartzite, meta-sandstone, vein-quartz and volcanic rocks in composition. Synthesizing abov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above conglomerates dominating sediments were deposited in the proximal part of the fan, but the deposits influenced by another flows and tectonic movements. The deposits were originated from the high terrains of Precambrian metamorphic complex.
김해경,박세린 국토지리학회 2023 국토지리학회지 Vol.57 No.3
일제강점기 취운정 일대와 삼청동 계곡은 북부공원으로 불리며 공원 조성 노력이 있었다. 일제강점기 두 공간의 변천 내용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운정은 정자가 아닌 지명(地名)으로 일대는 관인구락원으로 사용되었다. 둘째, 취운정 내 건물은 도서관으로 사용되었으나, 1928년 부지 매각으로 일대는 사유화되었다. 셋째, 일제강점기 공원 경험은 경성에서 일본인 주거지인 남쪽과 조선인 주거지인 북쪽에 차별이 있었다. 넷째, 삼청공원은 1934년 공원으로 지정되었고, 1940년 법적인 지위를 확보했다. 다섯째, 내재적 요인 중 부지가 국유지인 삼청동 일대는 근대공원 조성에 유리했다. 여섯째, 외재적 요인 중 관의 공원 조성의지가 크게 작용했다.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근대공원 성립 배경을 살펴본 것으로 의의가 있다. The Chuunjeong area and Samcheong-dong valley in Japanese colonial era were called Bukbu Park, and efforts had been made to create parks. The analysis of the changes in the two plac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s as follows. This study analyzed that how only Samcheong Park became a legal park. First, Chuunjeong was used as a place name (地名), not a pavilion, and the area was used as Ganingurakwon. Second, the building in Chuunjeong was used as a library, and the area was privatized in 1928. Third, the experience of park in Japanese colonial era had discrimination between the south, a residential area of Japaneses and the north, a residential area of Koreans. Fourth, Samcheong Park designated as legal park in 1940. Fifth, in terms of intrinsic factors, the Samcheong-dong area was advantageous for creating a modern park because the site was a state-owned land. Sixth, in terms of external factors, the willingness of the government played a major rol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modern park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김해경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distributed in the Jangsando area and to suggest a utilization of those landscapes. The survey of geology distributed on Jangsando was carried out at the rocky coast and beaches of the isl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NIE(2019) and the categorization of KEI(2003), eight types of geomorphological landscapes(sea cliffs, wave-cut platforms, notches, marine tafoni, marine potholes, gravel beaches, sand beaches, mud flats) and ten types of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stratification, cross bedding, joints, dykes, conglomerates, volcanic rocks, faults etc.) are distributed in this study area respectively. In addition, spherical weathering phenomena and core stones in the outcrops of volcanic rocks distributed in the northwestern coast of Jangsando have been observed. Especially, conglomerates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northeast sea cliffs of the Chukang dockyard. The rock fragments that constitute conglomerates vary in composition as igneous rocks, metamorphic rocks, and sedimentary rocks. Degrees of sorting in conglomerates show poor sorting. The roundness of rock fragments in conglomerates are angular to sub-angular. Faults, flame structures and convoluted bedding structures that are generally observed from in the cross sections of strata are showed in the rock fragments of conglomerates in the study area. Rock fragments with a variety of sedimentary structures can be used to analyze the origin area and origin rock of the conglomerates distributed in the study area. It is thought to be of value as geologic heritage in that conglomerates are composed of sedimentary rock fragments with faults, flame structures and convoluted bedding structures.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conglomerate outcrops having those aforementioned structures will need to be re-examined and evaluated in respects of geologic heritage. Th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of Jangsando investigat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e material to be designated as an island in the project“ Making an island attractive to visitors”that Jeollanam-do has been conducting from 2015. Also, a variety of landscapes are worthy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geoscience educations. 국내 국립공원이나 지질공원에 분포하는 독특한 지형 및 지질경관 또는 명승이나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지질명소는 교육적인 관광과 보전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각 지자체에서는 지역에 분포하는 지질명소를 조사하고 평가하여 지질공원으로서 인증을 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아름다운 섬과 바다로 이루어진 천혜의 자연환경을 지닌 전라남도는 2015년부터 “가고 싶은 섬 가꾸기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전라남도에 산재되어 있는 여러 섬을 대상으로 지형과 지질경관 및 지질유산의 조사 및 평가 측면뿐만 아니라 가고 싶은 섬 가꾸기 사업의 일환으로 섬에 분포하는 지형 및 지질경관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전라남도의 신안군 장산면에 속하는 장산도의 지형 및 지질경관을 조사하여 지질관광 및 교육 자료 자원으로서 활용뿐만 아니라 전라남도의 “가고 싶은 섬”사업과 관련한 기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지역에 분포하는 지형과 지질경관의 분류는 국립생태원(2019)에서 제시한 지형 분야 조사지침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3)의 지형 및 지질 유산의 조사 대상 항목으로 제시한 분류를 기준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장산도에는 국립생태원(2019)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3)의 분류 안에 따라 각각 8종류의 지형 경관과 10종류의 지형 및 지질경관이 분포하고 있다. 제5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지형)(국립생태원, 2019)에 따른 연구 지역의 지형경관은 주로 해안지형으로 분류되며 이를 세부적으로 분류하면 해식애, 파식대지, 해식와, 해안타포니, 마린포트홀, 자갈해안, 모래해안 및 갯벌로 8종류의 지형경관이 분포하고 있다. 지형 및 지질 유산의 조사 대상의 항목(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3)을 기준으로 하여 지형 및 지질을 분류하면 일반 지형의 해안분류에서 해식애, 파식대지, 암석해안의 3종류 그리고 일반 지질의 층리, 사층리, 역암, 절리, 암맥, 화산암 및 단층의 7종류로 총 10종류가 분포하고 있다. 이외에도 화산암인 유문암에서의 유상구조와 중성암맥에서 발달하는 구상풍화 현상과 핵석의 발달이 현저한 펀이다. 또한 축강 선착장 인근에 분포하는 역암 층에서는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암편을 함유하고 있으며 역의 종류도 퇴적암류, 변성암류로 다양하다. 특히, 퇴적암을 구성하는 암편에서는 일반적으로 지층에서 관찰되는 단층, 불꽃구조 및 층내 변형구조가 관찰되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러한 퇴적구조를 함유한 역암의 암편은 퇴적암의 기원암과 기원지 해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초등학교 사회교과서의 자연지리 분야 관련 용어와 과학교과서의 지구과학 분야 관련 용어의 관련성
김해경,고영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1 No.2
이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자연지리학 단원들과 과학 교과서의 지구과학 단원들 간의 교육과정 상의 간학문적 연계성을 살펴보는 예비적인 연구로서 이들 분야들 간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에 대한 비교·분석을 시도하였다.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의 자연지리학 용어의 수는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들 용어들에서는 기후학 관련 용어 수가 가장 많고 한자어로 된 용어가 약 90%로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사회교과서에서의 토양 및 지형학과 과학교과서에서의 지형 및 지질학관련 용어들의 약 26%가 중복되고 사회교과서의 기후학과 과학교과서의 대기과학 관련 용어들은 약 36%가 중복된다. 이러한 결과들은 초등학교 사회과의 자연지리와 과학과의 지구과학 분야들은 상호 밀접한 관계가 형성되고 있어 교육과정의 운영상 이러한 관계의 고려가 필수적으로 요청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natural geographic vocabularies in Society and earth science ones in Science textbooks, elementary school, were mutually analyzed in common use, as a preliminarily interdisciplinary approach between above two domains. The natural geographic vocabularies in Society are increased toward ascending grade of the school, and these include many climatology(the highest among natural geographic domains) and Chinese ones in number. Soil and geomorphology domains in Society and geomorphology and geology ones in Science mutually possess common vocabularies in about 26%. And, climatology and atmospheric science domains in above two textbooks also have common ones in about 36%. From above results, it is indicated that natural geography domains in Society and earth science ones in Science of elementary textbooks are intensely interrelated with, then, the considerations on the relationship are necessary in elementary curricula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