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운드스케이프 개념에서 본 지역문화자원의 관광콘텐츠 활용 방안 연구: 국립대관령치유의숲을 중심으로

        김자영,강상국 융합관광콘텐츠학회 2024 융합관광콘텐츠연구 (JCTC) Vol.10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ncept of soundscape through its ecological,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exploring its value as a local cultural resource and strategizing its utilization as a region-specific resource. This study highlighted the significance of soundscapes as local resources, emphasizing their integration with regional cultural assets and proposing strategies for their expansion and future use to enhance regional interaction.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field research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at the National Center for Forest Therapy, Daegwallyeong, targeting six local cultural activists in the arts sector from August 2, 2021, to December 20, 2021. This study explored the potential connections and utilization strategies between soundscapes and local cultural resources,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a connectivity between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soundscapes. Soundscapes interact with the history, traditions, and cultural activities of communities, suggesting that they can serve as unique tourism content that enhances a region's identity and competitiveness, offering various uses and value. Secondly, soundscapes serve as a bridge between a region's past and present, highlighting their potential for expansion as a local cultural resource. From this foundation, key discussions on scalability generated practical and applicable ideas for using soundscapes as tourism attractions. Conclusion: This research identifi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utilizing soundscapes and enhancing regional identity and competitiveness, as well as stimulating the local economy through tourism.

      • KCI등재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원직장복귀자와 재취업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자영 한국직업재활학회 2022 職業再活硏究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type of return to work for injured workers by dividing them into demographic factors, industrial accidents- related factors, economic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and rehabilitation service factors. The study used data from the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in 2019,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type of return to work were analyzed through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returning to the original workplace based on unemployment, age group, level of education, marital status, nursing period, current work performance ability, socioeconomic status, self-esteem, self-efficacy,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turning to the original workplace. Next, as a result of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re-employment based on non-employment, age group, nursing period, current work performance ability, self-esteem, self-efficacy,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employ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and policy measure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possibility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workplace so that injured workers can successfully return to work. 본 연구의 목적은 산재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장복귀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학적 요인, 산재 관련 요인, 경제적 요인, 심리정서적 요인, 재활서비스 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산재보험 패널조사의 2019년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원직장복귀자 781명, 재취업자 1,097명, 그리고 미취업자 927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직장복귀 형태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선 미취업을 기준으로 원직장 복귀에 대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대, 학력, 혼인상태, 요양기간, 현재업무수행능력, 사회경제적지 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직업재활서비스가 원직장 복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미취업 을 기준으로 재취업에 대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연령대, 요양기간, 현재업무수행능력, 자아 존중감, 자기효능감, 직업재활서비스가 재취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를 토대로 산재근로자의 성공적인 직장복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직장 복귀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 및 정책적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 ‘아프면 쉴 수 있는’ 서울형 유급병가지원 제도

        김자영,함지혜,이다호 서울시공공보건의료재단 2021 SEOUL HEALTH ON AIR 건강정책동향 Vol.1 No.28

        2021년 상반기 「서울형 유급병가지원 제도」 신청건수는 2,469건, 지급건수는 2,115건 이었으며, 지급액은 총 11 억 2,815만원으로 집계되었다. 본고는 2,469건의 신청건수를 성별·연령·근로 유형·직업 분류 등 다양한 특성에 따 라 분석하여 어떠한 이들이 해당 제도를 이용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제74차 세계보건총회: 보건 관련 이슈 동향

        김자영,함지혜,이다호 서울시공공보건의료재단 2021 SEOUL HEALTH ON AIR 건강정책동향 Vol.1 No.21

        5월24일부터 5월31일까지 진행된 제74차 세계보건총회는 시기적 중요성으로 인해 그 어느 때보다 주목받고 있다. 기존 계획을 통해 실행하고자 했던 목표들이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상황으로 인해 좌절되었기 때문에, 앞으로 나아갈 방향성, 검토해야할 과제들에 대해 논의하고 협력 방안에 대해 강조하는 자리가 되었다. 우리는 이번 세계보건총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개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보건 정책 방향성 수립에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과학수업에서 STS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한 성교육의 효과

        김자영,정영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8 교과교육학연구 Vol.12 No.3

        청소년들을 위한 체계적인 성교육이 이루어지려면 학생들이 생물학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 성지식과 분별 있는 성의식을 갖도록 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그동안 성교육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나 성교육을 STS 학습 방법으로 수행하여 STS 학습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태도의 향상에 어떤 효과를 주는지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STS 교수 학습 방법을 이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 의 성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효과적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0학년 공통과학의 III. 생명 - 3. 생식 단원의 내용을 11주에 걸쳐 10차시 STS 교수 학습 방법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사후 검사 설계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를 사용하여 STS 교수 학습방법이 성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138명의 비수도권 A여자고등학생들이며, 이들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게는 STS 교수 학습방법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서는 강의 중심의 전통적 수업을 하였다. 또한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STS 교수 학습의 효과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SAS를 이용하여 공변량분석을 하였다. STS 교수 학습 방법을 사용한 수업은 전통적 수업보다 학생들의 성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켰는데 학습성취도 수준 상위·중위·하위에 속하는 모든 학생들에서 성에 대한 지식이 향상되었다( p<. 01). 이를 통해 STS 교수 학습 방법을 이용한 수업은 모든 학생들이 성에 대한 올바른 개념 형성과 몸에 관한 과학적 지식을 습득하는데 효과적임을 알았다. STS 교수 학습 방법을 사용한 수업은 전통적 수업보다 학생들의 성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는데 학습성취도 수준 상위·중위·하위에 속하는 모든 학생들의 성에 대한 태도가 향상 되었다( p<. 01). 특히 학생들의 성에 대한 개방성, 성문제 발생 시 성상담과 전문가의 도움을 청하는 태도, 피임과 인공유산에 대한 태도, 성 행위에 대한 책임감, 성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태도에서 효과가 긍정적이었다( p<. 01). Science-Technology-Society (STS) approaches to teaching science in secondary schools have been one of the major trends in science education over the past two decades. Although an STS learning is quite effective in enhancing students' achievement and attitude, there were not enough researches applying STS learning on sex education at secondary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TS program on the achievement and attitude of high school students on sex education. The sample consisted of 138 10th grade students in Kwanju: 69 students in a control group (traditional learning) and 69 students in an experimental group (STS learning). An STS program on “Reproduction” was developed and applied for 10 hours during 11 weeks. A nonequivalent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ANCOVA in the statistical packages SA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S program were very effective to improves students' achievements in the subject (p<.01). And the STS program also encourages students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sex (p<.01). Students want to see a counsellor in case, and they think seriously about a responsibility in sex, and they consider to use contraception and so on.

      • KCI등재

        여성 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이 취업여부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검증

        김자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 여성연구 Vol.10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이 취업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두변인 간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7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2차 조사를 사용하여 A-mos 20.0을 활용한 경로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를 제시하면, 여성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은 장애수용과 취업여부에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수용 또한 취업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차별경험이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가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차별경험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미취업 여성장애인들을대상으로 자신의 장애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그리고 심리・정서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및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해야 될 것이며, 또, 긍정적인 자기가치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환경을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 네트워크 드론의 영상 처리를 통한 사람 인식 시스템 제안

        김자영,이주현,정진웅,추현승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8 No.10

        최근 IoT의 기술의 발달로 사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사용자 인식은 각 사용자만의 특징에 근거하여 특정 사용자를 인식하는 기술이다. 사용자 인식과 관련하여 홍채나 지문인식 등과 같은 생체 인식, 얼굴 인식 그리고 걸음걸이 인식 등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방식은 각각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인식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인식률에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방식을 여러 단계로 구성하여 다양한 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한다. 제안 시스템은 드론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얼굴인식과 걸음걸이 인식을 이용한 방식이다. 1차적으로 사람의 얼굴을 탐지를 하고, 사람의 얼굴이 탐지되었을 때는 얼굴 인식을 수행한다. 탐지하지 못했을 경우 걸음걸이 인식을 수행하여 인식률을 향상시킨다.

      • 최승희의 조선민족무용기본에 관한 연구

        김자영 이화여자대학교 체육대학 보건체육연구소 2002 이화체육논집 Vol.6 No.-

        This thesis attempts to contemplate the merit of Cho Sun Folk Dance Basic Step. The first systematic formation of dance in 1958, and its objectives is to scrutinize on Choi, Seung Hee as an educator who moved to North Korea, and it also deviates from previous studies thar focused Choi as an artist in the world of work rather than an educator. Cho Sun Folk Dance Basic Step is still inherited even until today which comprises the moset kerneled and distinctive aspects of dance fundamentals of Choi, Seung Hee. She is the First Korean who studied motions of dance based on logical method, published systematic dance manual and eventually produced educational film of creative performance. This thesis primarily investigates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neo-dance which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world of Choi's artistry in order to conclude what kinds of values are immanent in Cho Sun Folk Dance Basic Step. Furthermore, the paper also simultaneously reveals creation background, types,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s of Cho Sun Folk Dance Basic Step, and analyzes acts of dancing for each movement which laid its foundation of examining the merit of Cho Sun Folk Dance Basic Step. As a result, a set of values has been discovered, and the first is the first dance manual from which students could easily learn. The second is the value of scientific aspect of Cho Sun Folk Dance Basic Step created by Choi, Seung Hee being the first systematic dance formation in Korea. The third is the value discovered in aesthetic aspects of Cho Sun Folk Dance Basic Step which pivoted on the core dancing gestures that share national characteristics of Cho Sun. The values of Choi, Seung Hee's Cho Sun Folk Dance Basic Step deviates from the world of works which was previously focused in various studies, and scrutinizes her dancing activities after she moved to North Korea. She systemized basic movements of our national dance in het own method, and this thesis granted important significance in revealing Choi, Seung Hee's achievements which tremendously promoted development of Korean creative dance. In addition, It is my firm belief that the research and practice on more sophisticated fundamental structure of our dance will become critical homework in the years ahead in order for Korean creative dance to permanently settle down as one genre that created peculiar formation.

      • KCI등재후보

        황석영 단편 소설에 나타난 베트남 귀국장병의 트라우마 현상 분석- 「돌아온 사람」, 「낙타누깔」, 「이웃사람」을 중심으로-

        김자영 이화어문학회 2018 이화어문논집 Vol.46 N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auma of the Vietnamese War veterans in Hwang Sok-yong's short stories. In Korean society, the Vietnamese War was thought of as equally important as the Korean War. The Korean War was a combat between people of the same country, and Korea joined in the Vietnamese War to be part of the allied forces led by the USA. The Vietnamese War was fought in the name of “domino theory” to produce a lot of death and injury and to make the protection of the ideology of the war ambiguous and also to accumulate wealth through the black market and US currency. War gives priority to national and social ideology rather than personal value. The ones who were mobilized out of patriotism fought for their country, while the ones who participated in the war with no real justification felt guilty to think of “commiting crime” without purpose. Killing in the battlefield may leave soldiers with spiritual trauma, and mean that they have difficulty adapting to society. Hwang Sok-yong's three short stories described 'guilty,' 'shameful' and 'helpless' soldiers. Guilt, shame and helplessness are symptoms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which many combat veterans experience. Even after escaping the war alive, soldiers were left with trauma. 본고에서는 황석영 단편 소설에 나타난 베트남 귀환 장병의 트라우마현상에 관해 고찰하였다. 한국 사회에서 베트남 전쟁은 한국전쟁만큼 의미를 갖는다. 한국전쟁이 동족 간의 전투였다면 베트남 전쟁은 미국과 함께 연합군으로서 참전한 타국과의 전쟁이었다. 당시 ‘도미노 이론’이라는명분하에 치러진 전투는 수많은 전사자와 부상자를 낳았으며 처음 전쟁의 목적이었던 이념 수호는 사라진 채, 전쟁은 암시장과 달러 등으로 상징되는 자금 축재의 장이 돼버렸다. 오늘날에도 행해지는 전쟁은 국가와 사회적 이념을 개인의 가치보다우선시 한다. 국가와 사회를 위해 동원된 개인은 전쟁터에서 국가를 위해싸우지만 전쟁의 명분을 잃은 전투는 개인에게 목적 없는 ‘살인’을 저질렀다는 죄책감을 갖게 한다. 전쟁터에서 겪은 살상 행위는 귀국 장병들에게정신적 외상으로 남는다. 이러한 정신적 외상으로 귀국 장병은 사회에 적응하지 못한 채 살아간다. 황석영의 단편 소설에서는 이들 귀환 장병의 정신적 병리 현상이 각각 ‘죄의식’과 ‘부끄러움’ 그리고 ‘무력감’으로 나타난다. 이에 본고에서는 작가의 참전경험을 바탕으로 한 베트남전쟁 소재 소설이 그의 작품세계에서 어떻게 담론화 되고 개인의 내면적 상처를 어떠한 방식으로 드러내는 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황석영 소설세계를 이루는 그의 초기 문학적 의의까지를 규명해 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 신라유물의 컬러 및 시각적 재질을 통한 가전 디자인 방향 연구

        김자영 디자인 여성학회 2009 디자인여성학연구 Vol.5 No.2

        As the role of products has been expanded in contemporary society, style, brand and design of products have become key factors when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occurs as well as quality, price and function, thus, design development has been continuously invigorated and the lifespan of products also has shorten. The importance of design which decides succeed or failure of new products in market has underlined so that corporate is in dire need of developing and innovating new items for it. This study is derived from the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for new design development, in its midst, it seeks answers of new idea from remains in Shilla dynasty. It limits the extent of its research to colors and visual materials excluding shapes and patterns as factor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analysis and new design of products. To apply this concept, premium luxury and naturalism which are common culture code both in Shilla dynasty and contemporary society are extracted and relevant colors and materilas of remains from Shilla dynasty analyzed. Also, it analyzes the design trend of current products, and the direction of new design is proposed based on its results. To analyze the material of remains of Shilla dynasty, the items of remai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its types of surface and analyzed precisely, and the research from trend and color analysis research association, relevant articles and news are employed to extract the current tendency of using colors and materials. To analyze colors, Korean traditional color standards and NCS(Natural Color System) are applied and set up, the ton and extent of color are analyzed, transformed and interpreted based on IRI(Image Research Institute) color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meaning of Korean tradition through the attempts derived from analysis of design items of Shilla dynasty and to improve current product design with the case of this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design. 현대 사회에서 제품의 역할이 확대됨에 따라 소비자의 제품 구매에 있어 그 품질이나 가격, 기능뿐만 아니라 스타일, 브랜드, 디자인이 결정적인 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디자인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제품의 수명주기 또한 짧아지고 있다. 시장에 출시되는 제품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하는 신제품 디자인과 트렌드 개발의 중요성이 심화됨에 따라 기업에게는 새로운 디자인을 위한 아이템 개발이 절실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디자인 개발을 위해 한국적 문화 요소를 차용하였고, 그 중 신라 시대의 유물로부터 그 해결책을 찾고자 하였다. 분석 연구를 위해 첫 번째로 신라와 현대사회의 공통된 문화 코드인 프리미엄 럭셔리와 자연주의 트렌드를 추출하였고 이에 해당하는 신라 유물의 컬러와 재질을 분류 분석하였다. 신라 유물의 재질 분석을 위해 표면의 스타일에 따라 제품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세부적으로 분석하였고, 컬러 분석을 위해서는 한국 전통 표준색과 NCS에서 제품의 대표 컬러를 찾아 설정하고 이를 통해 컬러 톤과 색상의 범위를 분석하였고, IRI 컬러시스템에서 추상적 이미지로 전환하여 해석하였다. 본 연구가 새로운 디자인 개발을 위한 아이템을 신라로부터 차용하고 그 중 일부를 선정하여 발전시켜 나가는 시도를 통해 한국 전통의 의미를 되새기고, 또한 디자인 발전을 위한 문제해결 방안의 하나로써 그 역할을 수행하기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