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 교사, 학부모의 교육정보화 수준 측정 지표 개발 및 준거 설정

        김자미,김홍래,김현철,김정훈,Kim, Ja-Mee,Kim, Hong-Rae,Kim, Hyeon-Cheol,Kim, Jung-Hoon 한국정보교육학회 200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3 No.2

        This study has developed indicators and criteria for measuring educational informatization level of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with regard to the national educational policy. The criteria for indicator of each group are also set up.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4 areas, 10 elements, 24 sub-indicators are generated as the result of development of indicator for level measure of educational informatization. And different weights are established for each area, element and sub-indicato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ategory. Second, generated criteria are evaluated by specialists based on the indicator of education informatization and on a scale of 100. The criteria for students are evaluated to be 80.64, the criteria for teachers to be 80.90 and the criteria for parents to be 76.52 which was found to be the lowest. Therefore, this research was completed to determine which aspect should be supported more intensively when setting the directions of future educational informatization.

      • KCI등재

        교과교육의 측면에서 본 정보교과의 정체성에 대한 고찰

        김자미,이원규,Kim, Ja-Mee,Lee, Won-Gyu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4 No.2

        교과의 정체성은 해당 교과에 내포된 교육적 가치에 대한 다양한 정당화를 통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정보교과는 기초학문으로서 필요의 극대화에도 불구하고 교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면이 적지 않다. 특히 개정교육과정에서는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학교 교육에서는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교과의 교과교육으로서 가치를 컴퓨터과학교육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그리고 컴퓨터과학교육의 특성을 토대로 교과로써 가치와 목적에 대한 교육적 성찰을 제공하였다. The identity of a subject could be established by justifying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subject from various angles. Despite the huge necessity of information subject as one of basic disciplines, it cannot be said that the subject is considered valuable as a school subject. Even though that is selected as part of the revised curriculum and has textbooks of its own, it's actually disregarded in schoo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value of information literary subject as part of academic education in conjunction with computer science education, and to shed light on the value and objects of it as a school subjec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 KCI등재

        해외의 교원양성 체제 비교 분석

        김자미,Kim, JaMee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7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0 No.5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the teacher education system in countries that have reformed, or are in the process of reforming, their informatics education by reflecting ongoing social changes and developments in IT. The teacher education systems in Finland, Germany, Japan, the UK and US were compar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1) the results did not differ according to the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 (2) there was a focus on a minor subject, and (3) there were various routes for teacher training. The systems for special graduate schools were found to be developed, probation period after graduation was more than one year, and license renewal systems were being enforced.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proposed that (1) more teachers be recruited to attend graduate schools and (2) that software training be given to all teachers as a minor. Finally, a license renewal system for revaluating teachers' qualifications was also proposed.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ared the teacher training system in Korea with five major developed countries.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의 변화와 IT의 발달을 고려하여 정보교육에 대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거나, 교육과정을 개편한 나라들의 교원양성 체제를 비교하는 것이다. 독일, 핀란드, 영국, 미국을 대상으로 교원양성 체제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교원양성 기관의 구분이 없고, 부전공을 강조하고 있으며, 교원양성의 경로가 다양하였다. 전문대학원 체제가 발달하였고, 졸업 후 수습기간이 1년 이상이며, 면허를 갱신하는 제도가 시행되고 있었다. 결과에 근거하여 교원 임용 대상을 확대하여 일반대학원 졸업자에 대한 임용 기회를 확대하고, 모든 교원들에게 부전공 수준으로 SW교육을 실시할 필요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원 자질 재평가를 위한 면허 갱신 제도 도입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일본을 포함하여 5개 국가와 한국의 교원양성 체제를 비교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정보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학문적·이론적 기저에 대한 고찰

        김자미,이원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4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academic and theoretical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n informatics curriculum and examining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the informatics department. Starting with the terminology of information, the epistemological aspect of the discipline, which the department of informatics originated from, was discussed. The academic scope of the subject “information” was set based on a study on changes in the curriculum, and the attributes and scope of the study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is a recent issue, were presented. By presenting the differences from other disciplines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able to further solidify the value of academic knowledge in the department of informatics, which is important and necessary for the times despite its short history. 본 연구는 정보과 교육과정 개발의 학문적·이론적 기저를 살펴보고, 정보과의 철학적 토대를 고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정보에 대한 용어를 시작으로 정보과의 모태 학문에 대한 인식론적 측면을 논의하였다. 교육과정 상의 변화에 대한 고찰을 기반으로 교과 ‘정보’의 학문적 범위를 설정하고,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인공지능에 대한 학문의 속성과 범위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타 학문과의 차별화 등을 제시함으로써, 길지 않은 학문의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시대적으로 중요하고, 필요한 정보과의 학문적 지식의 가치를 보다 공고히 할 수 있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2022 개정 중등 정보과 교육과정의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영역의 단계별 학습 요소 추출

        김자미 ( Jamee Kim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4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5 No.2

        본 연구는 2022 개정 중등 정보과 교육과정의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영역에서 위계를 고려한 학습 요소를 추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 아이디어와 ‘지식ㆍ이해’, ‘과정ㆍ기능’, ‘가치ㆍ태도’의 내용 요소를 고려하여 내재적 타당성을 확보하였고, 25명의 전문가가 참여한 FGI와 CVR 등을 통해 학습 요소 추출의 외현적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학습 요소는 중학교가 1단계 7개, 2단계 18개, 3단계 26개이며, 고등학교는 1단계 8개, 2단계 23개, 3단계 27개이다. 각 단계별 지식의 범위와 크기가 다를 수는 있으나, 1단계의 지식이 2단계와 3단계로 구체화 되는 위계를 갖기 때문에 하나의 지식이 어떤 구조로 가르쳐져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안착하도록 하고,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hierarchical learning elements in the area of 'Algorithms and Programming' in the 2022 revised secondary informatics curriculum. Intrinsic validity was secured by considering the core idea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and the content elements of 'knowledge/understanding', 'process/skills', and 'values/attitudes', and extrinsic validity of the learning elements was obtained through FGI and CVR with 25 experts. The learning element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7 in the first stage, 18 in the second stage, and 26 in the third stage for middle schools, and 8 in the first stage, 23 in the second stage, and 27 in the third stage for high schools. Although the scope and size of knowledge in each stage may differ, the hierarchy of knowledge in the first stage, which is materialized in the second and third stages, provides direction on how knowledge should be taught.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curriculum in schools and to improv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 KCI등재

        정보 교육과정 내용요소와 교과서의 일치성 분석

        김자미 ( Ja Mee Kim ),윤일균 ( Il Kyu Yoon ),이원규 ( Won Gyu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1 중등교육연구 Vol.59 No.2

        본 연구는 ``2007 개정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교과서가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내용요소를 정확히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보급율이 높은 4종의 교과서를 교육과정 내용요소에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 내용요소에 대한 설명이 교과서 집필에 있어서 가이드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검토 방법은 교육과정 내용요소에 대한 구체화된 설명과 교육과정 해설서를 근간으로 정보교육과정 내용요소에 대한 표현의 명확성, 표현의 오류, 그리고 불필요한 진술의 여부에 대한 분석이다. 분석결과 교육과정 내용요소의 많은 부분이 교과서에 반영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과서에 반영되지 못한 이유로 교육과정 내용요소에 대한 설명과 교육과정 해설서가 모호하게 표현되었음을 물론, 불필요한 진술과 무관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present study, textbooks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2007`` are analyzed to determine successful alignment of these concepts with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curriculum, or curriculum content topics. For this, we analyze the contents of four informatics textbooks that are the most widely adapted for use in middle school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descriptions of content topics in the curriculum to ensure that they were used as guidelines for the writing of the textbooks. Using descriptions in the curriculum content topics and curriculum manual, we examined the descriptions of the informatics curriculum content topics based on clarity, errors in description, and unnecessary descriptions. The misalignment of the content topics in the curriculum to the textbooks may be caused by unclear or unnecessary descriptions of content topics and curriculum manuals.

      •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

        김자미(JaMee KIM)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2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6 No.1

        국가 교육과정 문서로서 교육과정 총론은 초중고등학교의 각 교과에 대한 편제와 운영을 위한 원리를 제공한다. 교육과정 총론에 근거하여 각론이 개발되는 만큼 총론의 완성도는 각 교과의 각론 개발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교육과정 총론의 핵심은 교육을 통해 추구하는 인간상, 교육과정 개정의 근거에 따른 교육의 방향 설정이다. 총론에서 제시한 교육의 방향성은 각 교과의 목적과 특징, 과목의 내용을 포함하는 ‘각론’을 통해 구체화 된다. 한국은 2021년 11월 24일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주요 사항 발표를 통해 2025년부터 학교 현장에서 시행될 교육과정의 방향을 공포하였다. 각급 학교는 교육과정 총론에 근거하여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총론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학교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교육과정 총론에서 제시하는 주요 사항의 내용을 살펴보고 학교 현장에서 운영할 때, 고려 해야 할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2016년에 공표한 일본의 학습지도요령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구성 분석

        김자미 ( Jamee Kim ),이원규 ( Wongyu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7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0 No.4

        본 연구는 2016년 공표한 일본의 학습지도요령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구성 방식을 비교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양국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 구성을 비교하기 위해 구성 체계, 구체적인 내용과 더불어 정보과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흐름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본은 학습지도요령의 개정 원인, 목 적, 목표 달성 방법 등을 제시함으로써, 해당 문서에 대한 당위성이 강조되었다. 한국은 총론과 각론의 분절적 개발에서 비롯된 괴리가 문서상에서도 파악되었고, 시대적 흐름이나 교과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교육과정의 구성 및 방향설정의 오류를 발견할 수 있었다. 교육과정이 내용에 대한 충분성과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전체 프레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내용에 대한 인식 없이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은 교육에 대한 목적과 방향을 제대로 설정할 수 없음에 대한 성찰을 제공했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mposition of the government guidelines for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Japan announced in 2016 with the outline of the 2015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of Korea. To compare the composition of the national level curricula of the two countries, the composition systems and content details were analyzed along with the trends of emphasis placed on informatics education. The analysis indicated that as for the Japanese government`s guidelines, it was suggested that the causes of revisions, and purposes and methods of fulfilling goals be added, and thus the appropriateness of the guidelines was emphasized. As for Korea`s revised curriculum, a gap caused by segmental development of the outline and details of the curriculum were found in addition to errors in curricular composition and direction setting which were carried out without consideration to the transition time required or changes of subjects. To ensure sufficiency of the curricular contents and education reflecting the situations of each time phase, the necessity to improve the overall curricular framework was suggested.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it provides the introspective insight that the goals and directions of education cannot be set properly when the curricular framework is established without recognition of the contents.

      • KCI등재

        원격교육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콘텐츠 품질수준 분석

        김자미(Kim, Ja-Mee),김용(Kim, Yong),이원규(Lee, Won-Ky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5

        원격교육에서 콘텐츠는 교육내용을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콘텐츠 품질관리는 궁극 적으로 원격교육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시작이라 하겠다. 콘텐츠 품질관리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평가도 구 개발에 집중되었다. 실제 콘텐츠 품질을 분석한 연구가 진행되지 못한 것은, 콘텐츠 품질분석을 위한 평가위원이 나 콘텐츠 선정 등의 어려움 때문이었다. 본 연구는 원격교육에서 직무나 자격연수용으로 사용되는 콘텐츠 58개의 품질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학습내용 부문의 품질이 가장 높았다. 각 부문의 요소별 품질에서는 학습내용 부문 의 학습수준과 학습내용 구성 요소의 품질을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교수설계 부문에서는 상호작용 요소의 품질을 개선해서 콘텐츠의 품질을 높여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콘텐츠를 개발하는 개발자나 제공자의 입 장에서 콘텐츠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어떤 부분의 품질이 개선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In distance education, contents are to convey what to learn to learners, and the efficient quality assurance of contents is the very first step to the enhancement of distance education. Most studies of the quality assurance of contents have mostly centered around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and few studies have ever focused on analysis of the quality of contents itself, since it's not easy to do that due to difficulties in the selection of evaluatees or of contents to be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quality of 58 distance education contents of on-the-job training and another training for the acquisition of qualifications. As a result,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contents segment ranked first. Among the components of each segment, there was room for improvement in the level of learning and learning elements in the learning contents segment. In terms of instructional design, the quality of interaction components should be taken to another level to boost the quality of contents in this seg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give some suggestions about which parts of contents should be improved in quality from a perspective of contents developers or suppliers to enhance the overall quality of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