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역두만지역(GTR) 내 새로운 복합물류체계 개발 및 기대효과: 러시아 극동지역을 중심으로

        김엄지,세르게이 스미모프,유지원,서자영,정다현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3 슬라브연구 Vol.39 No.3

        수에즈 운하 사건, 코로나-19(COVID-19) 대유행, 우크라이나 사태의 여파로 광역두만지역(Great Tumen Region, GTR)과 동북아시아 지역을 포함한 글로벌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 GVC) 에 큰 변화가 발생했다. 예상치 못한 사건들이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에 위협을 가하면서 리쇼어링(Reshoring) 현상이 강화되고 있다. 물류기업들은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에 대응하여 JIT(Just In Time) 전략에서 JIC(Just In Case) 전략, 즉 재고를 최소화하는 적시생산 전략에서 재고를 비축하는 전략으로 전환하고 있다. 또한 기업들은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해 기존 물류 경로 외에 다른대안을 찾고 있으며, 이는 러시아 극동지역을 포함한 광역두만강지역도 마찬가지이다. 러시아, 중국, 북한, 한국, 일본 등 동북아국가들의 복잡한 지정학적, 지리경제적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지역이다. ‘리쇼어링’이라는 세계적 추세에서 도출된 외부 과제는 ‘내부’ 특정 위험과 복합되어 지역에 누적된부정적 영향을 초래한다. 따라서 현재 물류 네트워크의 단점을 보완하고 이러한 위험을 변화의 원동력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물류 네트워크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러시아 지역에 초점이 맞춰진 새로운 복합 물류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새로운 복합물류시스템의 기대효과를 정성적으로 분석하고, 한국과러시아가 협력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지정학적 리스크를 제외하고, 경제협력관점에서 협력 필요성과 기대효과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aftermath of the Suez Canal incident,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Ukraine crisis, significant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global value chains, including the Great Tumen Region (GTR) and NEA northern regions. As unexpected events pose risks to the global logistics network, the world is strengthening its self-sufficiency or reshoring phenomenon. In response to global supply chain instability, logistics companies are changing from JIT (Just In Time) to JIC (Just In Case). In other words, it is changing from a just-in-time production strategy that minimizes inventory to a strategy that stocks up inventory. Companies are looking for alternatives other than traditional logistics routes to secure a stable supply chain. GTR, including the Far East of Russia, is no exception. Furthermore, it is a region where the NEA countries’ complex geopolitical and geoeconomic interests, such as Russia, China, North Korea, South Korea, and Japan, are intertwined. External challenges derived from global trends compound with the ‘inside’ specific risks, resulting in a cumulative negative effect on the reg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pensate for the current logistics network’s shortcomings and consider these risks as a driving force for chang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complex logistics system by identifying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logistics network. In addition, we want to identify risk factors that can be resolved by forming a new complex logistics system, suggest ways to mitigate or solve risk factors and propose a direction for Korea and Russia to cooperate. This thesis aims to establish an environment for improving inter-Korean relations by establishing regional peace and prosperity through cooperation in developing sub-regional transport and logistics infrastructure from South Korea and Russia’s points of view.

      • KCI등재

        점-선-면 전략 기반 러시아 북극개발전략 분석 및 한러협력 방향

        김엄지,유지원,민수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21 중소연구 Vol.45 No.3

        As part of the New Northern Policy, the Korean government has declared the 9-bridge strategy to diversify the fields of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and to deepen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However, the 9-bridge strategy focuses on the Far East, excluding the Arctic route related to the LNG icebreaker construction project, and lacks a specific direction for advancing into the Northern Sea Route. Therefore, after analyzing the comparative advantage of the Arctic region,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Arctic region from a Dot-Line-Plane strategy perspective. Also, by changing the regional scope of Korea-Russia cooperation from the Far East region to the Arctic region, it is intended to suggest a practical direction for cooperation. To this end, we analyzed Russia’s new Arctic strategy announced extensively by the Russian government from 2019 to 2020: 「Basic Principles for 2035 Arctic Policy」, 「2035 Arctic Route Infrastructure Development Plan」, and 「2035 Arctic Development and Security Strategy」. In addition, the practical possibility of Korea-Russia cooperation in the Arctic region of Russia was analyzed based on the ‘point-line-plane’ strategic point of view, which aims to structure the national space and achieve balanced development. Also, the ways of Korea-Russia Cooperation in the Russian Arctic was divided into the ‘logistics’ corresponding to the ‘line’ and the perspective of ‘cargo creation’ corresponding to the ‘plane’ of the ‘dot-line-plane’ strategy. Lastly, after analyzing the progress and results of projects carried out in the Far East in accordance with the 9-bridge strategy, practical possibilities and ways for cooperation in the Arctic region were presented. 한국 정부는 신북방정책의 일환으로 9-bridge 전략을 천명해 한․러 양국 협력 분야 다각화와 협력 관계 심화를 추구하는 등 양국 협력 관계 확대를 위해 노력해오고 있다. 그러나 9-bridge 전략은 LNG쇄빙선 건조사업과 연관된 북극항로 분야를 제외하고 극동지역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북극항로와 관련해 구체적인 진출을 위한 방향성이 부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극지역의 비교우위를 분석한 후, 점-선-면 전략 관점에서 북극지역의 발전 단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한러협력의 지역적 범위를 극동지역에서 북극지역으로 변경하여 실질적인 협력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9년에서 2020년에 걸쳐 러시아 정부가 대대적으로 발표한 러시아의 신 북극전략 즉, 「2035 북극정책 기본원칙」, 「2035 북극항로 인프라개발계획」, 「2035 북극개발 및 안보전략」을 분석했다. 또한, 국토 공간을 구조화하여 균형발전하고자 하는 ‘점-선-면’전략 관점을 기반으로 러시아 북극지역에서의 실질적인 한․러 협력 가능성을 분석했다. 그리고 러시아 북극지역 한․러 협력 방향을‘점-선-면’전략의 ‘선’에 해당하는 물류, ‘면’에 해당하는 화물 창출 관점으로 구분했다. 그리고, 기존에 9-bridge 전략 주요 분야에 따라 극동지역에서 추진된 사업 경과와 결과를 분석한 뒤 북극지역 협력 방향의 실질적인 추진 가능성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영농형 태양광 마을공동사업에 대한 농가 참여 의향 요인분석

        원빈,엄지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영농형 태양광에 대한 농가 인식을 살펴보고, 주민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영농형 태양광 마을공동사업 참여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50.5%는 영농형 태양광 시장전망을 낙관적으로, 미래 농업경영 활동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50.9%로 긍정적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농형태양광 마을공동사업 참여 의향은 40.1%로 나타났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농형 태양광 사용 여건 정도가높다고 생각할수록, 영농형 태양광이 미래 농업경영 활동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할수록, 영농형 태양광 시장 전망을 낙관적으로 생각할수록, 환경관심정도가 높은 경우 영농형 태양광 마을공동사업을 참여할 의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정부 및 연구 기관은 영농형 태양광 농지법 개정안에 초점을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농업인 교육과 연계하여 영농형 태양광에 관련된 정확한 정보를 교육과 컨설팅 통해 제공한다면 주민 수용성 문제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주민 수용성을 해결하기 위해 주민들이 사업의 계획단계부터 참여하여, 재정적으로 수익 분배를 얻을 수 있는 구조인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야 한다. 연구에 도출된 분석 결과는영농형 태양광 마을공동사업 추진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비타민나무열매, 블랙베리잎과 약용들깨잎의 추출물 복합제를 이용한 복합 기능성 화 장품 소재 개발

        호원,동섭,성낙윤,한인준,이병수,박상윤,엄지,서지영,유아름,종석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9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7 No.4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optimal blending ratio of extracts of Hippophae rhamnoides (H. rhamnoides) fruit, Rubus fruticosus (R. fruticosus) leaf, and Perillae folium (P. folium) leaf as a potential functional material for antiwrinkl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whitening properties. Methods: We used the design of experiment (DOE) efficacy method to identify the optimal blend ratio for a natural extract complex. In addition, we tested the efficacy of the extract complex and the individual extracts by experiments, including elastase inhibition assay, NO inhibition assay,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 tyrosinase inhibition assay, and ROS inhibition assay. Results: DOE methods using natural extracts showed that the most efficacious ratio of H. rhamnoides fruit: R. fruticosus leaf: P. folium leaf was 0.25:0.7:0.05. At this ratio, the elastase inhibitory effect, an indicator of wrinkle improvement, was 28% compared to the control.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71.8% higher than the control. Additionally, NO formation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by the extract complex.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 whitening index, showed 24.4% improvement over the control. Finally, hydrogen peroxide-induced cytotoxicity was significantly inhibited following treatment with the extract complex. Conclusion: The natural extract complex of H. rhamnoides, R. Fruticosus, and P. folium was found to have beneficial wrinkle improvement,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whitening effects, and has potential as a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목적: 본 연구는 천연추출복합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개발을 위한 효력시험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방법: 천연추출복합물의 개별적인 elasterase 억제능, DPPH 라디칼 소거능, nitric oxide 억제능, tyrosinase 억제능, ROS 생성 억제능을 측정하여design of experiment (DOE)를 통한 최적의 배합비를 찾고 최종 배합비에 따른 효능을 확인 하였다. 결과: 천연추출복합물을 이용한 DOE는 각 천연물의 효능을 극대화 하여 최적의 배합비를 예측했을 때 비타민나무열매:블랙베리잎:약용들깨잎(0.25:0.7:0.05) 의 배합비에서 최적의 효능을 나타냈다. 도출된 배합비를 바탕으로 주름개선의 지표인 elesterase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을 때 음성대조군 대비 28% (500 µg/mL)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항산화 지표인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도 음성 대조군 대비 71.8% 의 활성 효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염증 모델인 RAW 264.7세포에 lipopolysaccharides (LPS) 로 유도된nitric oxide(NO)의 억제 효능도 대조구 대비 87.1%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미백 지표인 tyrosinase 억제 효능도 대조군 대비 24.4% 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활성 산소종에 의한 세포 보호 효능을 알아 보기 위한 human dermal fibroblast (HDF) 세포에 hydrogen peroxide (H2 O2 )로 reactive oxygen species (ROS)를 유도한 모델에서도 유의적인 활성 산소종의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다. 결론: 비타민나무열매, 블랙베리잎, 약용들깨잎의 천연 추출 복합물은 주름개선과 항산화 항염과 미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