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유학기제 참여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중학생의 학업성취 변화 분석

        김양분,남궁지영,박경호 한국교육개발원 2019 한국교육 Vol.46 No.1

        Purpose: In this study, the purpose was to analyze whether or not participation in the free-semester system and the socio-economic status of families affects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as students are promoted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We used the 1st and 2nd year data from the 5th to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s and the 3rd and 4rh year data from 1st and 2nd grade in middle schools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and we employed the DID method and fixed effect model of panel analysis. Findings/Results: 1)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free-semester system displayed higher growth in terms of achievement in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during their 1st year of middle school compared to their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showed higher achievement growth in Korean and English during their 2nd year in middle school. 2)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ocio-economic status of families and academic achievement growth within students h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the study of Korean, but for study of English, the greatest level of, significance was found relative to the other subjects. In Math, significance rose starting from 5th grade and consecutively onto higher years. And other student and school factors associated with students’academic achievement change were found as well. Value: This study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free-semester system and socio-economic status have associ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change.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진급함에 따라 자유학기제 참여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학업성취도의 발달 수준에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1~4차년도(초등학교 5학년~중학교 2학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중차분법과 패널분석의 고정효과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5년에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학생이 참여하지 않은 학생에 비해 2013년 대비 2015년과 2016년에 국어, 영어 학업성취도가 더 높게 향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과의 경우는 2013년 대비 2015년의 학업성취도 향상이 더 높고, 2013년 대비 2016년은 차이가 있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학생의 개인 내 성취도의 성장에 대한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관련성은 국어과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영어과의 경우 초등학교 6학년 시기에 가장 높고, 수학과의 경우 초등학교 5학년부터 학년이 오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 변인 외에도 학업성취도의 변화와 관련 있는 학생 및 학교요인이 발견되었다.

      • KCI우수등재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변인 탐색

        김양분,난옥 한국교육학회 2015 敎育學硏究 Vol.53 No.3

        This study examined student and school variables that would affect academic achievement and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level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ir 5th grade based on the first year data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With other factors of school education such as personal/family background, school background and condition, student process and school educational activities, under control, the academic achievement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in Korean and English subjects. In addition, the former turned out to have higher possibility in terms of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level. Among family background factors,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s turned out to cause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especially in reaching a higher level from the basic level in every subject. While the power of influence of the parents' expectations and values of education were different depending on subjects, it turned out that generally, their expectations would affect the possibility for students to reach the proficient and advanced levels. As for school backgrounds and conditions, a school's social and economic status would be the most influential to academic achievement and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level. In particular, this factor turned out to affect the possibility of reaching the basic level although there might b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ubjects. The extent of reading enjoyment would affect the possibility of reaching the proficient or advanced level as well as the academic achievement while stress of tests and extrinsic motivation were in negative relation to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level in Korean and Mathematics subjects. Creative thinking ability was in positive relation to the achievements of the three subjects. It enhanced the possibility of reaching the proficient or advanced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in each subject. Achievement in mathematics was in positive relation with the time of studying for oneself, and it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reaching a advanced level, but it was in negative relation in Korean and English subjects. Attitudes toward classes were in positive relation to the achievements in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subjects, and they enhanced the possibility of reaching the proficient or advanced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level. Maintaining good relationships with classmates or complying well with rules did not always lead to a higher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level, but it turned out to be helpful for below-basic level students in certain subjects. The pre-private tutoring for English classes was in positive relation to academic achievement and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level, while having private tutoring was in positive relation to the achievement of English and mathematics subjects as well as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level. Participation in after school program showed negative relation in the subject of mathematics. To sum up, it turned out that school education activities examined in this study including class atmosphere, pressure of achievement, teacher's enthusiasm, interaction with students in classes, and extent of school violence did not affect academic achievement while they affected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level in English and mathematics subjects in a different level.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some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2013」의 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 국어, 영어, 수학과의 학업성취도와 학업성취수준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개인·가정배경, 학교배경 및 여건, 학생과정, 학교교육활동의 제반 요인을 통제한 후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국어과와 영어과의 학업성취도가 높고, 학업성취수준 향상 가능성이 더 높았다. 가정배경 중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은 학업성취도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며, 모든 교과의 기초수준 이상에서 상위수준에 도달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부모의 교육기대수준과 부모의 가치관도 교과별로 다르지만 대체로 보통수준과 우수수준이 될 가능성에 영향을 주었다. 학교 배경 및 여건 중 학교평균 사회·경제적 지위는 학업성취도와 성취수준 향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교과별로 차이가 있으나 보통수준 이상에 도달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도시규모, 설립유형과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업성취수준 향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독서향유정도는 성취도와 보통수준 또는 우수수준이 될 가능성에 영향을 주며, 창의적 사고능력은 세 교과 성취도에 정적 관련성을 보이고, 성취수준별로는 보통수준이나 우수수준이 될 가능성을 크게 하였다. 시험스트레스와 외적조절동기는 국어, 수학과의 성취도와 성취수준 향상에 부적 관련성을 보였다. 교우관계가 좋거나 규칙을 잘 준수한다고 해서 성취도가 좋은 것은 아니었으나 일부 교과 기초미달 학생에게는 도움이 되었다. 수학성취도는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과 정적 관련성을 보이며, 우수수준이 될 가능성이 높으나 국어과와 영어과의 경우는 부적 관련성을 보였다. 수업태도는 국어, 영어, 수학성취도와 정적 관련성을 보이고 성취수준별로는 보통수준이나 우수수준이 될 가능성을 더 크게 하였다. 영어과 선행학습은 학업성취도와 성취수준 향상에 정적 관련성을 보이고, 사교육 참여는 영어·수학성취도와 성취수준 향상에 정적인 관련이 있었다. 방과후학교 참여 여부는 수학과의 경우 부적 관련이 있었다. 학교교육활동인 수업분위기, 성취압력, 교사열의, 학생과의 수업상호작용, 학교 내 폭력 정도는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성취수준 향상에는 영어와 수학과 일부 서로 다른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정책적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학업성취에 대한 학급 및 교사 요인의 영향

        김양분,임현정,난옥 한국교육개발원 2012 한국교육 Vol.39 No.2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class- and teacher-level variables based on student data in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for high school juniors in the 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It was found that school, class and teacher variances in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were 24.5% and 26.5%, respectively, of the total variance. Class- and teacher-level background factors accounted for an additional 9.9% and 18.9% of level 2 variance, controlling for student and school background factors, and teaching-related variables accounted for an additional 2.8% and 0.8%, respectively, after controlling for student characteristics. It was also determined that the significant variables of class and teacher levels that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were the mean SES of the class, the teaching experience of the teacher, whether the teachers graduated from a college of education, student disruption of class, how well teachers prepared for their lessons, and how much emphasis was given to literature. In mathematics, the mean SES of the class, student disruption of class, and whether or not an exclusive classroom for mathematics was established influenced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emphasized the need for continuous analysis using the yearly 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data, as well as the need to explore the significantly influential variables of teacher and teaching-learning. 본 연구는 2007년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고등학교 1학년 국어과와 수학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급 단위에서 해당 교사의 수업을 받은 학생의 학업성취 자료를 기반으로 학급 및 교사의 요인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초모형 분석에서 학교수준을 포함한 학급 및 교사수준의 분산은 국어성취도에서 24.5%, 수학성취도에서는 25.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별 분석을 통하여 학생의 가정배경과 학교의 배경을 통제했을 때, 학급 및 교사수준 배경변인이 2수준 분산의 9.9%(국어), 18.9%(수학)를 추가로 설명하였다. 또한 위의 모형에서 학생특성변인을 추가로 통제했을 때, 수업관련변인이 2.8%(국어), 0.8%(수학)의 추가적인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학급 및 교사요인은 학급 평균 SES, 교직 경력, 사범대 출신 여부, 학생으로 인한 수업 저해 정도에 대한 인식, 수업 준비 정도, 문학 영역 강조 여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과에서는 학급평균 SES, 학생으로 인한 수업 저해 정도에 대한 인식이었으며, 수학교과 전담교실의 설치 여부가 수학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매년 수행되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보다 영향력 있는 교사수준 변인의 탐색, 교수 · 학습요인의 측정이 필요하며, 교실에서의 복합적인 교육활동의 실제를 드러낼 수 있는 분석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사교육비 추이 및 추세 분석 : 통계청 가계동향조사를 중심으로

        김양분,양수경,박성호 한국교육개발원 2012 한국교육 Vol.39 No.1

        This study utilizes the results of Statistics Korea's "Household Survey" Data, which surveys the changes in Korean private education expenses from 1990 to 2010 and forecasts the amount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for the next five years, from 2011 to 2015.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nominal regular education expenses have increased annually by an average of 5.8%, and actual regular education expenses have decreased annually by an average of 0.3%. On the other hand, nominal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actual private education expenses have both increased by an average of 12.5% and 5.5%, respectively. In other words, we can see that, while the burden for regular education expenses has not increased substantially, the burden for private education expenses has steadily increased. With regard to the changes based on income levels, the gap between regular education expenses among income levels has increased, though in comparison to the ordinary income, regular education expenses have decreased for the ordinary income level. However, private education expenses at all income levels have gradually increased, as has the gap between income levels. Specifically, the household burden for private education has dramatically increased for middle- and upper income levels. The forecast for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for the next five years shows that nominal private education expenses are expected to increase by an average of 0.6% per quarter for the next five years, while actual private education expenses will decrease by an average of 0.3% per quarter. In other words, the amount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for the next five years will increase at a relatively decreased rate, and thus the actual household burden for private education will decrease slightly. 이 연구는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결과 자료를 활용하여 1990년부터 2010년까지 우리나라 사교육비 지출의 시계열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2011년부터 2015년까지 향후 5년간의 사교육비 규모를 예측한 것이다. 분석 결과, 명목 정규교육비는 연평균 5.8%씩 상승했으나 실질 정규교육비는 연평균 0.3%씩 감소하였다. 반면 명목 사교육비와 실질 사교육비는 각각 연평균 12.5%와 5.5%씩 증가하였다. 즉, 정규교육비 부담은 실질적으로 증가하지 않은 반면 사교육비 부담은 지속적으로 커져 온 것을 알 수 있다. 소득분위별 추이를 살펴보면, 정규교육비의 소득분위별 격차는 증가했으나 경상소득 대비 정규교육비 비중의 차이는 감소하여 왔다. 하지만 소득분위별 사교육비 지출 추이는 전반적으로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며 그 격차 역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경제적 중간계층 또는 중상계층의 사교육비 부담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향후 5년간 사교육비 지출 규모를 예측한 결과, 명목 사교육비는 향후 5년간 분기별 평균 0.6%씩 증가하지만 실질 사교육비는 분기별 평균 0.3%씩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향후 5년간 사교육비 지출 규모는 이전에 비해 증가세가 둔화되고 실제 사교육비 부담이 다소나마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학생의 학업성취 변화 관련 요인 탐색

        김양분,강호수 한국교육개발원 2017 한국교육 Vol.44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student achievement growth during the transition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We used the 1st and 2nd year data from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and the 3rd year data from the 1st grades of middle schools collected within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and we employed hierarchical linear growth models. Findings/Results: 1)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 achievement average scores increased from 5th grade scores in elementary schools to 1st grade scores in middle schools and there was an additional achievement score increase in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s. 2) Student level variables including family SES, parents’ expectations, extrinsic motivation, enjoyment of reading, test stress, creativity, relationships with friends, observance of rules, understanding in class, and self-study time were related to the Korean, Math and English achievement growth within the 1st grade in middle schools. 3) School level variables such as private schools, the numbers of students per teacher and participation in the exam-free semester system were associated with the Korean, Math and English achievement growth within the 1st grade in middle schools. Value: An obvious implicati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uggestive evidence for student, school and policy variables related to student achievement growth by analyzing national data. Policy makers and school leaders need to consider the results of our study to plan educational policy.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초등학교 5~6학년 자료(1, 2차 년도)와 중학교 1학년 자료(3차 년도)를결합하여 중학생의 학업성취 변화 관련 요인을 탐색하였다. 2수준 다층 성장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점수는 초등학교 5학년에서 중학교 1학년까지 증가하고, 중학교 1학년에서 다시 추가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급 변화에 따른 국어,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 점수의 변화와 모두관련이 있는 중학교 1학년 학생 개인 변인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의 교육기대, 외적조절동기, 독서향유 정도, 시험스트레스, 창의성, 교우관계, 규칙 준수, 과목별 수업이해도, 자기주도 학습시간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관련 변인 중 사립학교 여부, 교원 1인당 학생 수 및 자유학기제 시행 참여 여부가 학교급 변화에 따른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학업성취도 점수의 변화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에 수집된 국가 수준의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 학교 및 교육정책 변인들이 실제로 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과관련이 있는지를 탐색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교육정책 입안자들이 교육정책을 기획함에 있어서 기초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초등학교 학업성취도와 학업성취도 변화 관련 변인 비교 분석

        김양분,신혜진,강호수 한국교육개발원 2016 한국교육 Vol.43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student-level and school-level factors associated with Korean elementary students’ achievement and achievement growth.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We used the dataset of the first and second year surveys of the 『KELS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and employed a two-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for analysis. Findings/Results: 1) The results indicated that between-school variance out of total variance in student achievement was 10.67% in Korean language arts, 20.89% in English, and 13.24% in math. Between-school variance out of total variance in student achievement growth was 8.26% in Korean language arts, 7.60% in English, and 9.04% in math. 2)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factors associated with student achievement and with student achievement growth. Specifically, family SES,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s, students’ preferences for reading, library, and book-discussion, intrinsic motivation, and attitude in clas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tudent achievement. In contrast, students’ external motivation and self-study time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student achievement and achievement growth in Korean language arts and math. The understanding of class content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tudent achievement, but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tudent achievement growth. Students’ participation in after-school-program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oth student achievement and student achievement growth in math and English. 3) School mean S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udent achievement in English and i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tudent achievement growth in Korean language arts, math and English. 4) There i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 enthusiasm and students’ achievement growth as well as achievement scores in Korean language arts. Valu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provided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1, 2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학업성취도 변화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차원의 요인을 탐색하여 비교한 연구이다. 2수준 위계적 선형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6학년 성취도 점수에 대한 분산 중 학교 수준의 분산은, 국어 10.67%, 영어 20.89%, 수학 13.24%로 영어교과가 가장 큰 반면, 성취도 변화에 대한 분산 중 학교 수준의 분산의 비율은 국어 8.26%, 영어 7.6%, 수학 9.04%인 것으로 나타나, 교과간의 큰 차이는 없었다. 둘째, 학업성취도 및 성취도 변화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부모의 SES, 교육기대 변인과 학생의 독서향유 정도, 내재적 동기, 수업태도 등은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관련이 있었고, 외적 조절 동기, 공부시간 등은 국어과와 수학과의 학업성취도와 학업성취도 변화와 부적인 관련이 있었다. 수업이해도는 학업성취도에는 정적 관련이 있었으나 성취도 변화와는 부적 관련을 보였다. 방과 후 학교 참여는 수학과 성취도와 영어과 성취도와 변화량에 한하여 부적인 관련이 있었다. 셋째, 학교평균 SES는 영어 성취도에만 정적 관련이 있었고, 국어, 수학, 영어 성취도 변화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다. 넷째, 교사열의 변인의 경우 국어교과에서만 성취도와 성취도 변화에 모두 정적인 관련이 있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시사점이 추출되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