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술실❳욕창예방 간호 실무지침 현황 및 적용실태 조사

        김승옥(Seung Ok Kim),신용순(Yong Soon Sh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1

        수술실 욕창 예방을 위한 간호 실무지침 현황 및 적용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상급 종합병원 4개와 전문병원 3개를 온라인 무작위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선정하였고 선정된 수술실에서 6개월 이상 근무경력을 가진 수술에 직접 참여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8년 1월부터 4월까지였고 설문지는 총 150명에게 배부하여 129명에게 회수(회수율 86%)하였다. 수술실 간호사들은 측위 43명(33.3%), 앙와위 37명(28.7%), 복와위 36명(27.9%)이 수술 체위 대상자들에게 욕창예방 간호 경험을 갖고 있고 주로 사용하는 지지표면은 젤 102명(79.1%), 스폰지 62명(48.1%), 솜 47명(36.4%)이었으며 지지표면 사용 전후로 2회(90명, 69.8%) 피부사정을 실시하지만 욕창위험 사정을 위해 특별한 도구를 사용하지 않았고(76명, 58.9%) 지지표면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수술 체위(83명,64.3%)를 지지표면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수술 소요 시간은 2시간 이상(49명,38.0%)임을 확인하였다. 수술실 간호사들이 수술 대상자들에게 욕창예방 간호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지지표면이 젤, 스폰지, 솜이었으며 지지표면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수술 체위를 지지표면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수술 소요 시간은 2시간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This descriptive study examined the practical nursing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pressure injuries (PI) in operating rooms and their application. Method: Four general hospitals and three specialized hospital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province were selected through an online randomization program and nurses at these hospitals who participated in operations and had at least six months work experience were surveyed.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April 2018 through a survey distributed to 150 nurses, 129 of whom returned the survey (86% recovery rate). The results showed that 43 nurses provided PI prevention care for patients in a lateral position (33.3%), 37 for patients in a supine position (28.7%), and 36 for patients in a prone position (27.9%). Gel was most widely used as the supporting surface material (102 nurses; 79.1%), followed by sponge (62 nurses; 48.1%), and cotton (47 nurses; 36.4%). Skin was often inspected twice, before and after the use of a supporting surface (90nurses; 69.8%), but no designated tool was used to determine the risk of PI developing (76 nurses; 58.9%). Additionally, the patient"s position during surgery (83 nurses; 64.3%) and the length of the operation (i.e., more than two hours, in this case) (49 nurses; 38.0%) were determining factors for whether to use a supporting surface. The operating room nurses used the gel, sponge, and cotton as the supporting surfaces for the prevention of PI and confirmed that the cutoff operation time for the use of a supporting surface was more than 2 hour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플립러닝 온·오프라인 환경에 따른 실재감과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승옥(Kim, Seung-Ok),유병민(Yu, Byeong-Min),김은하(Kim, Eun-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본 연구는 플립러닝 환경에서 학습성과를 촉진하는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을 탐구하고, 도출된 변인 간의 관계를 플립러닝의 온․오프라인으로 학습환경을 세분화하여 규명함으로서 효율적인 플립러닝을 운영하기 위한 함의 및 시사점 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교수․감성적․사회적․인지적 실재감을 상정하였다. 연구대상은 K대학 플립러닝 수업을 경험한 대학생 316명을 선정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측정도구의 신 뢰도 및 타당도, 상관관계를 검증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립러닝의 온․오프라인에서 교수실재감이 감성적과 사회적 실재감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플립러닝의 온라인의 경우 감 성적과 사회적 실재감이 인지적 실재감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오프라인의 경우 인지적 실재감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플립러닝 온라인의 경우 교수·사회적·인지적 실재감이 학습몰입에 직접 영향을 미쳤고, 오프라인의 경우 사회적과 인지적 실재감이 학습몰입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플립러닝을 온․오프라인으로 세분화한 각각의 환경에서 효과적인 플립러닝 교수설계전략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efficient operation of flipped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refore, In the flipped learning, I set up a research model by assuming Teaching Presence as an exogenous variable, the sub-factors of Learning Presence such as Emotional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Cognitive Presence as endogenous variables and Learning Flow as the final endogenous variable. Based on the purpose of research, their structural relationships were identified by segmenting them into online and offline environm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6 students who experienced Flipped Learning in K university. Data were coded for the analysis and then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validity and reliability check of measurement tool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were performed. The major results of this paper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aching Presence has direct influence on Emotional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both in online and offline flipped learning. Second, Emotional․Social Presence directly affected Cognitive Presence in online classes, and there was no variable making direct effect on Cognitive Presence in offline flipped learning. Third, Teaching․Social․Cognitive Presence directly affected learning Flow in online classes. On the other hand, Social․Cognitive Presence directly affected Learning Flow in offline clas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that have been subdivisions of online and offline classes in flipped learning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for flipped learning in the future

      • KCI등재

        대학 강의평가에 대한 학생․교수 집단 간 인식 분석: K대학 강의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김승옥(Kim Seung Ok),박수미(Park Su M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이 연구는 강의평가 결과 신뢰성 및 활용에 대한 구성원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기존 강의평가결과의 차이와 문항 중요도에 대한 집단 간 인식 차를 분석하여 강의평가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K대학 학 생․교수를 대상으로 기존 강의평가 문항별 의견과 강의평가 문제점 및 개선의견에 대한 인식조사를 시행 하였다. 학생과 교수 간의 인식비교를 위해 설문에 응답한 학생 1,124명, 교수 469명의 응답 결과 차이 분석을 위하여 빈도, 백분율, 비모수검정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의평가 문항별 분석결과, 강의평가의목적(우선순위), 강의평가의 필요성과 활용, 강의평가 문항 간소화의 적절성, 자율문항 추가의 적절성, 핵심역량 강의평가 문항 추가의 적절성에서는 교수와 학생 간의 인식의 차이가 있었으나 서술형 문항 포함의 필요성에서는 교수와 학생간의 인식의 차이가 없었다. 둘째, 강의평가 문제점과 개선의견에서는 학생은 강의평가 결과 반영, 익명성, 평가 문항 등의 문제점과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고, 교수는 강의평 가 결과에 대한 점수산정방식의 문제, 응답불신, 평가도구, 평가 결과와 좋은 수업불일치 등의 문제점과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강의평가의 이해관계자인 학생․교수 집단 간 인식비교분석 결과는 강의평 가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enhance a course and teaching evaluation by analyzing the gaps in existing evaluation results and in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questionnaires among relevant groups to determine the shared views of these groups regarding the credibility and utilization of the evaluation results. To this end, a survey was distributed to students and professors at K University in Seoul asking them to share their opinions regarding the evaluation questionnaires, and to identify problems and ways to improve existing evaluations. Frequencies, percentages, and nonparametric tests we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responses between the 1,124 students and 469 professor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questionnaires showed perceptual gaps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regarding the purpose (priority), necessity, and utilization of the evaluations, as well as the adequacy of the simplified evaluations, the effectiveness of adding voluntary questions, and the effectiveness of adding questions about core competency; meanwhile, the survey results showed no difference in perceptions regarding the necessity of including write-out questionnaires. Second, regarding problems and ways to improve existing evaluations, the students pointed out the need to address issues with evaluation results, anonymity, and evaluation questionnaires while the professors identified problems with calculating evaluation scores, distrust of responses, evaluation tools, and contradictions between evaluation results and actual teaching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pinions of students and professors—the evaluation stakeholders—ha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valuation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유아의 인터넷 게임 과몰입 변인에 관한 연구

        김승옥(Kim Seung-Ok),유구종(Yoo Ku-Jong),김민경(Kim Min-K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유아의 인터넷 게임 과몰입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과의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유아들의 인터넷 활용에 따른 인터넷 중독 등 역기능 문제에 조기 대처하고 유아들이 안전하게 인터넷 활동을 하는데 기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울과 경기지역 7개 유치원에 재원 중인 4~5세 유아의 부모 239명을 대상으로 조시를 실시한 결과, 첫째, 유아의 1회 평균 인터넷 사용시간, 사용주기, 자기조절력, 유아가 사용하는 인터넷 내용에 대한 부모의 인지, 유아의 성별이 유아의 인터넷 게임 과몰입 행동 특성을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변인들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1회 평균 인터넷 사용시간, 사용주기, 유아가 사용하는 인터넷 내용에 대한 부모의 인지, 자기조절력, 출생순위 순으로 유아의 게임지향적 생활에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자기조절력, 인터넷 사용주기, 유아의 1회 평균 인터넷 사용시간, 성별, 유아가 사용하는 인터넷 내용에 대한 부모의 인지 순으로 금단 및 정서 경험에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Recently, overindulgence of children's internet game has been identified as a serious problem of young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riables related to children's internet game overindulgence and to help children's safe use of internet.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239 parents of young children(77 4-year-olds and 162 5-year-olds) who enrolled in kindergarten in Seoul and Ky?nggi Province are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 Internet game overindulgence of young children is affected by internet game using time at once, internet using period, self-regulation, parent's recognition for using internet contents of their child, and sex. Second, Game oriented life of young children is affected by internet game using time at once, self-regulation, internet using period, self-regulation, and born order. Finally, Emotional experience of young children is affected by self-regulation of children, internet used period, inter used time at one time, sex, and parent's recognition for used internet contents of their child.

      • KCI우수등재

        교사가 평가한 유아 다중지능 평가도구(MIDAS-MYC)의 구조에 관한 연구

        양옥승(Ok Seung Yang),신화식(Hwa Sik Shin),이경옥(Kyung Ok Lee),황혜경(Hye Kyoung Hwang),김승옥(Seung Ok Kim) 한국아동학회 2004 아동학회지 Vol.25 No.4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Multiple Intelligence constructs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sub-areas and analysed the development of the Multiple Intelligence according to age and gender to evaluate Korean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structures that teachers evaluated based on MIDAS-MYC.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158 4-5 year old children (71 4-year-old group(boy 38, girl 33); 87 5-year-old group(boy 40, girl 47)) in Seoul and Gyeonggi. We found several results which are as follows. 1) Reliability on each area of intelligence in MIDAS-MYC was good. 2)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model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other studies that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consists of eight intelligent areas that are independent to each other but are relative to each other. In particular, interpersonal-intrapersonal intelligence, languistic-inteapersonal intelligence, languistic-Interpersonal intelligence, and languistic-logic/math intelligence were high correlation. However, physical/motion-naturalist intelligence and musical-logic/math intelligence were low correlation. 3)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differed according to age and sex, the 5-year-old was higher than 4-year-old and girls were higher than boys in a general way. 4) There was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 of evaluation based on MIDAS-MYC and the result of teacher`s subjective evaluation about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다중지능과의 관계

        황윤세 ( Yoon Se Hwang ),김승옥 ( Seung Ok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05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king styles and multiple intelligence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he present study researched Sternberg`s(1997) definition of Thinking Style as interactive and reciprocal mental self-government and explored its relationship to MIDAS(Shearer, 1995) i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he Thinking Style Inventory(Yoon, 1998) and MIDAS(Kim, 1999) were administrated to 293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PC computer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with sub area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hinking styls. It is indicated that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have their thinking style profile. Second, thinking styl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ultiple intelligence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all sub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