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여성관리자의 시간제약과 직장 내 사회자본

        김수한,안리라 한국사회학회 2018 韓國社會學 Vol.52 No.1

        Women struggle to balance work dedication with their family responsibility. The increase of working hours and commuting distance furthers women’s time famine and their work-family conflict. Using a longitudinal data from 3,214 Korean female managers from 2007 to 2014, this study shows that time constraints have negative effects on female managers' social capital at corporate organization. The increase in working hours negatively affects female manag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rganizational attachment, and trust. Commuting time also has negative effects on female managers’ social capital. In addition, lack of time due to family responsibility reduces social capital such as relationships with other coworkers, participation of social gatherings, attachment to the organization, and trust. The flexible working system shows mixed effects. While the system of time flexibility has positive effect on social capital, that of place flexibility has negative effect. 여성은 일과 가족의 영역에서 시간부족과 시간갈등을 경험한다. 장시간 노동, 가사 및 양육에 대한 책임, 점점 늘어나는 통근시간 등은 여성의 시간제약을 심화시킨다. 이 연구는 2007년부터 2014년까지 3,214명의 여성관리자를 대상으로 수집된 종단자료를 통해 시간제약이 여성관리자의 기업조직 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발견은 다음과 같다. 근무시간의 증가는 여성관리자의 조직 내 대인관계, 조직에 대한 애착, 기업의 인사제도에 대한 신뢰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통근시간의 증대 역시 여성관리자의 사회자본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또한 가족 관련 일로 인한 시간제약은 조직 내 대인관계, 친목모임, 조직에 대한 애착 및 인사제도에 대한 신뢰 등과 같은 사회자본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연근무제는 여성관리자의 사회자본에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를 동시에 가져왔다. 시간에 대한 유연성을 부여하는 제도는 사회자본에 긍정적 효과를 주었지만, 장소에 대한 유연성을 부여하는 제도는 오히려 부정적 효과를 가져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여성들이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루고, 경력성공을 이루는데 도움을 주는 정책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Role of CT on a definite or additional diagnosis in patients with COPD exacerbation

        김수한,김호철,박태선,이재승,이세원,이상도,오연목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5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0 No.-

        Purpose: Our aim was to evaluate the role of computed tomography (CT) on a definite or additional diagnosis in patients hospitalized due to COPD exacerbation. Method: In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we included 281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due to COPD exacerbation in a single tertiary hospital, South Korea.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CT group (CT was performed ≤ 72 hours of admission) and the non-CT group. We investigated the following variables; baseline characteristics, dyspnea severity, baseline labs, pulmonary function test, chest X-ray, oxygen requirement, inhaler and steroid use, duration of hospital stay, death, and so on. The frequency of CT in whole cohort, the change of diagnosis and treatment after CT in the CT group were also investigated. Result: The CT was conducted on 77 patients in whole cohort (27.4%). 7 patients were excluded due to the timing of CT (> 72 hours after admission). The change of diagnosis was observed in 35 patients of the CT group (45.45%). The diagnostic change of 35 patients consisted of pneumonia (18 patients), cancer (4 patients), embolism (2 patients), ILD (2 patients), and the others (9 patients). The change of treatment was observed in 11 patients of the CT group (14.29%). The treatment change of 11 patients consisted of pneumonia management (2 patients), further evaluation (1 patient), embolism management (1 patient), and the others (7 patients). Conclusion: CT may have a role in making a definite or additional diagnosis and also in establishing treatment plan in patients with COPD exacerbation.

      • KCI등재

        코달링 구조의 CC-NUMA 시스템을 위한 원격 캐쉬 교체 정책

        김수한,장성태,김인석,김봉준 한국정보과학회 2004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1 No.11

        The chordal ring based CC-NUMA system contains many links to transmit transactions between a local node and a remote node because of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 inclination that the transactions concentrate on the ring link increases both the traffic of the ring link and the response time, which degrades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chordal ring based CC-NUMA system. In this paper we suggest a new remote cache replacement policy that considers both the number of total links and the number of ring links to traverse for the transactions. Our proposed replacement policy can balance data between the ring link and the chordal link properly because i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chordal ring based CC-NUMA system well. Chordal Ring 구조의 CC-NUMA 시스템은 그 구조적 특징 때문에 지역 노드와 원격 노드사이의 트랜잭션 전송을 위해 지나가는 링크의 수가 많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트랜잭션이 코달 링보다 링 링크로 몰리는 경향은 링 링크의 트래픽 증가와 응답 지연 시간의 증가를 유발하게 되면서 Chordal Ring 구조의 CC-NUMA 시스템의 성능을 하락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원격 캐쉬를 교체할 경우에 지역 노드와 원격 노드사이에 데이타 전송을 위하여 지나가는 총 링크 수와 링 링크의 수를 고려한 새로운 원격 캐쉬 교체 정책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원격 캐쉬 교체 정책은 Chordal Ring 구조의 CC-NUMA 시스템의 특징을 반영하였기 때문에 링크 간의 데이타를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는 정책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통근시간이 직장여성의 결혼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수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0 여성연구 Vol.107 No.4

        통근은 맞벌이 여성의 삶의 질과 만족에 어떤 영향을 줄까? 한국 직장인들은 OECD 국가에서가장 긴 시간을 통근에 사용하고 있지만, 통근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술적 분석은적었다. 이 연구는 2007년부터 2018년까지 수집된 여성가족패널을 이용하여 통근시간의 증대가맞벌이 여성의 결혼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1,700여 명의 기혼직장여성을 분석한 이 연구에서 통근시간과 결혼생활 만족은 역(逆) U자형의 관계를 보였다. 통근시간은 맞벌이 여성의 결혼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키지만, 일정한 시점을 넘어 장시간 통근으로 접어들면 통근시간 증가는 결혼생활 만족도를 감소시킨다. 통근에 43분 정도의 시간을 사용하는 여성의결혼생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통근시간이 하루 평균 86분을 초과하면 증가하는 시간만큼 결혼생활에 대한 만족이 감소했다. 이 연구는 통근이 맞벌이 직장여성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론적논의와 패널자료를 통한 분석을 통해 학술적, 정책적 기여를 제공한다.

      • KCI등재

        Crossflow 방식 응집-정밀여과 공정의 케이크층 저감 메커니즘

        김수한,박희경 대한상하수도학회 2003 상하수도학회지 Vol.17 No.4

        Cake layer in crossflow microfiltration(CFMF) can be reduced by coagulation, enhancing membrane flux. This is because enlarging particle size by coagulation increases shear-induced diffusivity and the back-transport of rejected particles. However it is known that the enlarged particles are disaggregated by the shear force of the pump while passing through it.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disaggregation in relation with cake layer reducation. Kaolin and polysulfon hollow fiber microfilter are used for experiment. The reduction of cake resistance by coagulation is observed in a range of 17% to 53% at the various coagulation conditions. The particle size analysis results of the experiments show that aggregated particles in feed are completely disaggregated by pump but re-aggregation of particles occurs in membrane. This suggestes that the re-aggregation of particles is critical to cake reduction and flux enhancement, since the aggregated particles are completely broken. The mechanisms for re-aggregation in membrane are the same with those for coagulation in feed tank. Charge neutralization is better for CCFMF than sweep flocculation although it has two drawbacks in operation.

      • KCI등재
      • KCI등재

        전산화 인지재활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사회인지에 미치는 영향

        김수한,이종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2

        본 연구는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인 Rehacom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구 소재 K병원에서 입원하여 치료를 받는 30명의 외상성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 15명씩 무작위로 배분하였다. 실험군은 Rehacom을 시행하였고, 대조군은 전통적인 인지치료를 시행하였다. 치료 중재 전ㆍ후의 문제해결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문제해결능력 척도(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SPSI)를 시행하였고, 의사소통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포괄적인 대인 의사소통능력 척도(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GICC-45)를 시행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치료 중재 후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되었고,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었지만, 두 집단 간의 의사소통능력의 향상 정도는 차이가 없었다.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재활 및 지역사회 복귀를 위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사회인지 기능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필요하고 Rehacom을 사회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치료 방법으로 작업치료와 더불어 임상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o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for patients with TBI. Thirty TBI patients were participated voluntarily and were assigned randomly in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formed Rehacom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To compare problem solving ability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we undertook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SPSI) and performed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GICC-45) for comparing communication ability.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for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meaningful in a statistical way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communication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show noticeable impr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