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교사의 성격특성과 학부모 학교참여 관심수준이 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봉제(Kim, Bong Je),장유진(Jang, Yu Jin) 한국학부모학회 2018 학부모연구 Vol.5 No.2

        이 연구는 교사의 성격특성과 학부모 학교참여에 대한 교사의 관심수준이 학부모 학교참여를 위한 교사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였다. 이를 위하여 687명의 교육부 행복교육 모니터단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교사의 학부모 학교참여 관심수준은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며, 성격 특성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였다. 둘째, 학교급이 낮을수록 교사는 자신이 학부모 학교참여를 위한 역할수행을 잘 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학교급이 높아지는 것은 교사 스스로가 지각한 친화성 및 외향성이 낮아지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넷째, 학부모 학교참여를 위한 교사 역할수행에는 교사의 성격특성, 학교참여 관심수준이 영향을 미쳤으며, 성격 특성 중 외향성보다는 친화성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학부모의 학교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해 교사의 성격특성 및 학교급, 학부모 학교참여에 대한 교사의 관심수준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밝혔으며, 학부모 학교참여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stages of concern in parents’ school participation. For this purpose,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monitoring team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687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s’ stages of concern in parents’ school participation,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 Second, the lower the school level, the more the teacher perceived that he or she is doing well for the role of parents’ school participation. Third, the increase of the school level was related to the decrease of affinity and extroversion perceived by teachers themselves. Fourth, teacher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and school participation level were found to affect the teachers’ role for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 KCI등재

        인공지능 기반 도덕과 교육 플랫폼 개발

        김봉제 ( Kim Bong-je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1 No.특별호

        학교 교육에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것은 매우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교육, 특히 교과교육의 특성을 반영하여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것은 많은 준비를 필요로 한다. 학생의 도덕성 발달을 목표로 하는 도덕과 교육에도 인공지능이 활용될 예정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도덕과 교육 플랫폼의 구체적인 구성과 그 내용을 제시했다. 인공지능 기반 도덕과 교육 플랫폼은 학교에서 진행되는 도덕과 수업에 인공지능을 활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설계도라고 할 수 있다. 현재는 학교 교육보다 일반 기업이 영리적 목적을 위해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영어, 수학 등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학교 수업이 제공되고 있다. 교육에서 활용되는 인공지능은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문제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학생이 문제를 해결한 결과를 분석하여 다시 학습문제를 제공한다. 영어교육에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단어와 문장을 수준별로 구분하고 각 수준에 적합한 자료를 제공한다. 도덕과는 과목의 특성상 수학, 영어와 같은 방식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없다. 인공지능을 도덕과 교육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도덕과의 핵심 주제인 도덕성을 분석하고 학생의 도덕적 발달을 도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도덕과 교육에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학생과 관련된 빅데이터를 도덕성 분석, 성격 분석 알고리즘을 활용해 종합적으로 분석한 후에 학생의 도덕성 발달을 도울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을 도덕과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적이고 근본적인 접근을 위한 시도를 하고 있다. 이에 관련된 기존 연구가 없기에 학문적 배경과 관련된 자료가 충분하지 않은 제한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도래할 도덕과 교육에 대한 인공지능의 도전에 대한 최소한의 가이드를 선제적으로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개발될 도덕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도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도덕과 교육을 고려한 교육과정의 개발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It is very natural to use artificial intelligence in school education. Howev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reflect education's characteristics, especially curriculum education, require a lot of prepar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also be used in moral education to develop students' morality, so preparations for this need to be made. This paper presents the specific composition and content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moral education platform.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moral education platform can be a basic blueprint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morality and classes conducted in schools. Currently, general companies provide edu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for commercial purposes rather than school education. For example, school class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re provided in English and mathematics.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is used in education, is a method that provides problems that fit the learner's level. We analyze the results of the student solving the problem and provide the learning problem again. In English education, words and sentences are classifi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ata suitable for each level is provided. Due to the nature of the subject, artificial intelligence cannot be used in the same way as mathematics and English. To use artificial intelligence in moral education, we need to analyze morality, which is a key subject of morality, and help students develop their morality. In moral education, a process should be established to use artificial intelligence to analyze big data related to students comprehensively using morality analysis and personality analysis algorithms to help students develop morality. This study attempts to take a fundamental and fundamental approach to apply artificial intelligence to moral education.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re is not enough data related to the academic background because there are no existing studies related to this. Nevertheless, it is meant that it has proactively presented a minimum guide to the challeng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future moral education.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도덕적 가치의 위계 구조 탐색

        김봉제 ( Kim Bong-j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1 초등도덕교육 Vol.- No.71

        도덕판단 과정에서 나타나는 도덕적 가치의 경로와 위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사용했다.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서울 소재 S대학의 3학년 대학생 83명으로부터 추출했다. 도덕판단에서의 도덕적 가치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서 하인츠 딜레마를 사용했다. 학생들은 3단계에 걸쳐서 자신의 도덕판단과 관련된 도덕적 가치를 제시했다. 분석결과 도덕판단에 사용되는 도덕적 가치의 경로를 발견했고, 해당 도덕적 가치의 위계를 확인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덕과 교육의 핵심이 도덕적 가치를 선정하는 과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덕목 선정 등에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인공지능의 도덕적 판단력 연구에 필요한 핵심 데이터를 제공하는 의의가 있다. Network analysis methods were used to reveal the path and hierarchy of moral values that emerged during the process of moral judgment. Data for the analysis were extracted from 83 third-year college students at S University in Seoul. Heinz's Dilemma was used to obtain data on moral values in moral judgments. In three stages, the students presented moral values related to their moral judgment. The analysis found a path of moral value used for moral judgment and identified the hierarchy of moral val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the process of selecting moral values at the core of morality and education and in the selection of virtues in morality and curriculum. It is also meant to provide key data for the study of moral judg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 KCI등재

        영성의 기능적 특성 이해와 도덕교육 적용 가능성 탐색

        김봉제 ( Kim Bong-j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7 윤리교육연구 Vol.0 No.44

        인간의 영성은 종교성과는 구별되는 보편적 특성으로서 인간 존재의 고유한 특성이며 초월적 대상을 파악하는 과정에 작동하는 인식적 기능이기도 하다. 1986년 데이비드 호킨스(David R. Hawkins)에 의해 제시된 호모 스피릿투스(Homo Spiritus)는 기존의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에 머물렀던 인류에게 새로운 진화 가능성과 도구적 이성(理性)이 직면한 현대 사회의 문제에 대한 해결 방향을 제시한다. 영성은 영혼과 혼용되기도 하지만 인간을 개별적 대상으로 구분하는 존재적 특성을 강조하면 영혼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궁극적 실재, 신성한 것, 자연의 본질을 파악하는 과정에서는 기능적 특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영성의 기능적 특성은 칼톤(Kalton, M.)이 제시한 영성의 수직·수평적 성향과 영성을 정의한 개념 분석을 통해 인지적 기능, 정의적 기능, 행동적 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영성의 기능적, 특성은 `자연·초월과의 관계`를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도덕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영성의 기능적 특성을 도덕교육에 접목하려는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도덕교육에 대한 이해와 접근의 폭을 넓히고 있다. 도덕교육이 종교 및 종교성과는 일정한 거리를 두어야 하지만 인간의 영성은 오히려 도덕교육이 목표로 하는 온전한 인성의 형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영성의 기능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도덕교육 적용 가능성을 구체화하고 있다. 영성의 인지적·정의적·행동적 기능 특성의 제시는 영성과 관련된 도덕교육 내용의 교육방법 구성에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Human spirituality is a universal trait that distinguishes itself from religion, and it has also a cognitive function that operates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The proposed Homo Spiritus was presented by David Hawkins in 1986 and it presents a new evolutionary possibility for mankind as Homo sapiens. Homo Spiritus present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modern society faced by the functional reason. Spirituality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oul, but as a symbol of human beings, it is used as a symbol of the spirit of the soul. On the other hand, understanding the divine nature, and the nature of Nature can be understood as a functional character in cognitive activity.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spirituality can be classified into cognitive function, emotional function, and behavioral function through the concept analysis that defines vertical and horizontal tendency and spirituality suggested by Kalton.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spirituality are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applying moral education which deals with `relationship with nature and transcendence` in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spirituality in moral education. Although moral education should be kept at a certain distance from religion and religious achievements, human spirituality is indispensable for the formation of a perfect humanity whose goal is moral education. Second, by analyzing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spirituality, the applicability of moral education is specified. The presentation of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pirituality can be directly applied to the teaching method of moral education contents related to spirituality.

      • KCI등재후보

        인공지능 거짓말의 특성 이해 -거짓말에 대한 윤리학적 담론을 중심으로

        김봉제 ( Kim¸ Bong-je )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2020 인공지능인문학연구 Vol.6 No.-

        본 연구에서는 인간 거짓말의 특성을 윤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인공지능 거짓말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했다. 인간 거짓말에 대한 윤리학적 논쟁은 의무론적 관점, 공리주의적 관점, 덕윤리학적 관점에서 진행되었다. 이 세관점에서 규정되는 인간의 거짓말을 통해서 볼 때, 인공지능의 거짓말은 인간의 거짓말을 규정한 의무론적, 공리주의적, 덕윤리학적 관점의 제한적인 적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인공지능의 거짓말은 이 세 관점에 의해서 완전하게 규정될 수 없다. 왜냐하면, 인공지능의 머신러닝 과정의 증명불가능성 때문이다. 인공지능의 거짓말은 인간 거짓말의 분석 기준이 되는 의무론적, 공리주의적, 덕윤리학적 데이터에 의해 이들 각각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 하지만 인공지능의 거짓말은 인간 거짓말을 규정할 수 있는 그 이외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현재로서는 인간거짓말의 범주를 벗어나는 특성을 규정할 수 있는 표현이 없지만, 인공지능의 거짓말의 범주를 넘어서는 것은 분명하다. 본 논문은 인공지능의 거짓말을 인간의 거짓말과 비교하여 어떤 기준과 관점에서 ‘인공지능의 거짓말’을 규정해야하는 지에 대한 답을 찾아가기 위한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의 연구에서는 본 논문에서 제시된 윤리학에서의 거짓말과 인공지능 거짓말의 관계를 체계화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lies were analyzed from an ethical point of view to establish a standard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lies. The ethical debate on human lies proceeded from the obligatory, utilitarian, and virtuous ethical perspectives. Based on the human lies defined in these three points of view, artificial intelligence lies can be applied in a limited way to the obligatory, utilitarian, and virtuous ethical perspectives that define human lies. However, the li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cannot be completely defined by these three perspectives because the machine learning proc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cannot be analyzed. Li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can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se by the deontological, utilitarian, and virtuous ethical data, which are the requirements for the analysis of human lies. However, artificial intelligence lies have certain characteristics that can define human lies. Currently, no expression can define characteristics beyond the scope of human lies, but it is evident that it goes beyond the scope of artificial intelligence lies. This study can be a stepping stone in finding the standard point of view to define ‘artificial intelligence lies’ by comparing artificial intelligence lies with human lies.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systematiz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li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ies based on the ethics presented in this paper.

      • KCI등재

        다차원척도(Multidimensional Scaling)법을 활용한 통일교육 연구의 특성 분석

        김봉제(Kim Bong Je)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8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0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17년까지 발간된 통일교육 관련 학술논문을 분석하였다. 김대중정부부터 박근혜 정부에 이르기까지 5대 정부의 20년 동안 논의된 통일교육의 특성을 조사했다. 최종 분석 대상으로는 618편의 논문이 추출되었으며, 분석방법은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과 다차원척도분석(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을 사용했다. Qin He(1999)의 해석방법을 적용한 분석결과에 의하면 통일교육의 주류 연구는 ‘민족주의, 이데올로기, 신뢰, 사상, 교과, 분단, 공동체, 교화, 보편, 이념, 평화’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통일교육의 융합적 연구 주제는 ‘인권, 자유, 안보, 교류, 역사, 교과서, 도덕 시민, 교육과정, 문화’, 차세대연구는 ‘교사, 학생, 청소년, 유아, 동독, 독일, 초등, 학교, 역량, 프로그램, 수업’, 그리고 통일교육에서 깊이 있는 연구가 요청되는 주제는 ‘정치, 정책, 환경, 통일준비, 미래, 세대, 대학생, 대학, 체제, 정부’와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academic papers related to unification education from 1998 to 2017. From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to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discussed by the five governments for 20 years. As a final analysis, 618 papers were extracted. The analysis method used was network text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Qin He (1999) analysis, mainstream studies of unification education centered on topics such as ‘nationalism, ideology, trust, thought, subject, division, community, edification, universalism, ideology, and peace.’ In addition, the theme of convergence research of unification education is ‘human rights, freedom, security, exchange, history, textbook, moral citizen, curriculum and culture,’ and next-generation research is ‘teacher, student, youth, infant, politics, policy, environment, unification preparation, future, generation, university student, university, system, government.’

      • KCI등재

        도덕판단력 발달단계를 활용한 학급 인성교육 목표설정 방법 탐색

        김봉제 ( Bong Je Kim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6 초등도덕교육 Vol.0 No.51

        인성교육진흥법의 제정은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인성교육이 법으로 제정되어야만 하는 우리 사회의 현실을 방증한다. 인선교육진흥법의 제정이전부터 학교 현장에서는 인성교육이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하지만 학교 인성교육 효과의 지속성과 일반화 가능성 문제는 항상 지적되었다. 이 한계 극복의 시도로서 학급 인성교육 목표설정과 실행 과정에서 도덕판단력 발달단계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한다. 인성교육의 목표설정 단계에서 도덕판단력 발달단계를 활용하는 것이 인성교육의 체계화 가능성으로서 의미가 있음을 보이고, 그 예를 제시한다. Enactment of Personality Education Promotion Act,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education. Personality education was enacted by law, demonstrating the reality of our society should be run. In this way, important problematic schools personality education has been ongoing. However, persistent and generalized problem of the outcome was always pointed out. The attempt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s presented a significant flow of moral education. By leveraging the developmental stage of moral judgment was presented a meaningful way in the execution and configuration of personality educational goals. It indicates that there is meant to take advantage of the developmental stage of moral judgment at the stage of target setting personality education, and presents the case.

      • KCI등재

        학부모 학교참여 만족도의 영향요인 분석

        김봉제(Kim Bong Je),장유진(Jang Yu Jin),지연(Kim Ji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학부모의 성격특성, 학교참여에 대한 기대 및 인식과 요구가 학부모의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부의 행복교육 모니터단을 대상으로 2016년 7월 15일부터 22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58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화성이 높은 학부모의 성격은 학교참여에 대한 인식, 기대 및 요구, 학교만족도와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학부모의 외향성은 학교참여에 대한 인식, 기대 및 요구와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지만, 학교만족도와는 상관이 없었다. 셋째, 학부모의 성격 특성 중 외향성(β=.11, p<.05)보다는 친화성(β=.15, p<.01)이 학부모의 실제 요구수준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부모의 친화성과 외향성은 학교참여와 관련된 학부모의 실제 요구 수준에만 영향을 미치고, 학교참여에 대한 기대와 인식차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연구는 학부모의 성격특성을 고려하여 학교참여에 대한 학부모의 기대 및 인식, 요구에 따른 학교만족도의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학부모 학교참여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parents’ the personality traits and expectations for parent involvement on school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 survey of parents was 458 people who are just ‘Happy Education monitor Group’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Department.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parent involvement, the level of parental demands the school has 3.58 average and parents’ expectations is 4.21 points. Parents of the study are actively demanding their will to school and showing high expectations for the school. Second, the sub-factors of friendliness and extraversion in parents’ personality showed a high correlation (r=.562, p<.001) with each other, affinity exhibited overall high correlation with school-related variables involved. Third, the parents showed a strong affinity static correlation in the perception of participating schools, expectations and requirements and also expressed satisfaction about the school(r=.186, p<.001). Despite that parents’ extroversion also showed static correlation in awareness of parent involvement, expectations and requirements, there was no correlation to parent satisfaction. Fourth, parents’ affinity and extroversion only affected needs of parent involvement and did not affect the recognition of differences in parent involvement. Fifth, parents’ extraversion(β=.11, p<.05) have a greater impact than affinity(β=.15, p<.01) on needs of parent involve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connection with the personality traits overlooked in previous research in parent involvement and from the point proposed to consid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ation and the actual recognition than mere expectation related to parent involvement.

      • KCI등재

        도덕교육 내용으로서 덕의 초월성과 사서(四書)의 덕

        김봉제 ( Kim Bong-je ) 한국윤리학회 2016 倫理硏究 Vol.109 No.1

        덕(德)``은 도덕교육 내용의 본질이며 핵심이다. 따라서 덕의 특성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도덕교육의 시작이며, 교육을 통해 덕의 본질을 구현하는 것은 바로 도덕교육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덕(德)``의 자의(字意)에 담긴 ``초월성``에 초점을 두고, 덕의 특성으로서 초월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다. 문헌에 나타난 덕의 초월적 특성을 밝히는 것은 교육의 내용으로서 도덕교육이 가지는 고유의 영역을 확인하고 도덕교육이 본래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초월성 반드시 고려해야 함을 제시하는 과정이다. 덕의 본의(本意)에 초월적 특성이 담겨있음을 확인하는 것은 도덕교육에서 간과되었던 초월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덕의 초월성이 덕의 본질에 관련된 것임을 확인함으로써 도덕교육의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초월성이 덕의 본질에 속한다는 것에 대한 명확한 근거를 가지고 도덕교육의 방향과 목표를 정하는 것은 기존의 도덕교육의 여러 제한점을 극복할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덕을 교육의 핵심으로 하는 도덕교육이 본질의 구현을 위한 방향을 필요하지만 현재의 도덕교육에서 덕의 초월성을 간과한다면, 덕의 본의를 살리지 못하는 도덕교육이 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도덕교육이 실패하는 현상을 가져올 수 있다. 이를 해결하는 시도는 덕의 본의에서 초월성의 특징을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될 것이다. 덕과 초월성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서(四書)에 사용된 덕의 의미를 확인함으로써 도덕교육에서 지향해야 할 덕의 초월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 도덕교육이 나갈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Virtue (德) is the content essence of moral education, which is the core. Thus is the beginning of moral education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virtue characteristic, to implement a virtuous nature through education, it can be just for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virtue (德)`` contained in the party of Chinese meaning, presented as a basis for transcendence characteristic of virtue. To clarify the transcendental properties of the virtue that has been shown in the literature, as the content of education, transcendence, be sure to take into account in order to moral education to check the specific area with a moral education to achieve the original purpose it is the process of presenting the need. To confirm that it contains the transcendental properties to the real intention of "Virtue (德)" is going to be an opportunity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transcendence that had oversight of the moral education. Further, by confirming that transcendental properties of the virtue is related to the essence of virtue, it can lead to changes in the contents and teaching method of moral education. Then, the transcendental properties determine the direction and goals of moral education have a clear basis that can overcome som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moral education. Despite the need of direction for the essence of the implementation for moral education, if you have overlooked the transcendental properties in the current moral education, there is possible to bring the phenomenon of moral education to fail. Attempts to solve this problem will b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ranscendence of the virtue. By checking the meaning of virtue that have been used in Four Books(四書) in order to explain the virtues transcendence of the relationship, a new paradigm of moral education can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transcendental characteristics of the virt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