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거주자 면담을 통한 남파(南坡)고택의 주거공간특성 연구
김병진,신치후 한국주거학회 2022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3 No.4
The premise of this study i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residence can be understood when a house is identified from the perspective of occupant. From an internal point of view rather than an external point of view of a traditional house, it is intended to reveal the mean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residence from the lives of residents. The type of housing has changed according to way of human life for a long time, and humans have conveyed the meaning of life through various actions within it. This study reveals the residential usage and meaning of house by investigating their residential behavior that have been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Nampa old house, one of the representative houses of Jeonnam-do. 본 연구는 내부인의 관점에서 집을 파악할 때, 인간과 주거와의 관계를 읽어 낼 수 있다는 전제를 가진다. 즉, 전통주택의 외부적인 관점이 아닌, 내부적인 관점에서 거주자의 생활로부터 인간과 주거와의 관계 속에서 주거의 의미를 밝혀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주거는 오랜 세월 동안 인간 삶의 형태에 따라 그 형태가 변화해 왔으며, 그 속에서 인간은 다양한 행위를 통해 삶의 의미를 담아왔다. 이것에 대해 본 연구는 전라남도 지방을 대표하는 근대가옥 중 하나인 남파고택을 대상으로 대대로 이어져 내려온 그들의 주거생활 행태를 살펴봄으로써 이 집의 주거사용법과 공간의 의미를 밝혀내고 있다.
김병진,강성욱 한국벤처창업학회 2012 한국벤처창업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4
본 사례에서는 최근 MRO대기업과 중소상공인 간의 사회적 갈등이 이슈가 됨에 따라 갈등의 핵심내용과 동반성장위원회에서 발표한 “MRO 동반성장 가이드라인”을 소개하고 가이드라인의 의미와 목적, 그리고, 가이드라인의 성과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또한, 대·중소상공인간 MRO시장의 건강한 생태계 조성과 동반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향후 과제를 살펴보고 있다.
20세기초 생명주의에 기반한 래디컬리즘의 발현 ―오스기 사카에의 ‘생의 철학’―
김병진 동아시아일본학회 2023 일본문화연구 Vol.- No.88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Osugi Sakae’s life-oriented radicalism, focusing on the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evolutionary theory and philosophy of life. Influenced by Oka Asajiro and Koutoku Shusui, Osugi grew up as a socialist against the backdrop of evolutionary theory, but with internal changes in evolutionary theory, he moved beyond gradual revolutionary theory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radical and fundamental change, developing a ‘philosophy of life’ based on ‘life’ and ‘instinct’. By turning to the oppressiveness of social institutions that internally regulate one’s ‘life’, he showed that it is possible to relativize social institutions without being based on a transcendental ideology. Nevertheless, he did not deny the existence of knowledge in opposition to ‘life’ in a monolithic way. What was to be criticized was the a priori assumption of the universal validity of knowledge, and he welcomed knowledge that leads to ‘life’ through ‘experience’. The possibility of setting tentative goals and programs based on empirical knowledge, as well as the construction of social relations that respect the pluralism and differences of each individual, were natural extensions of his thought. This conception, which sought to open up possibilities from the present rather than the future, from life rather than law, exhibited the most radical ideological colors of the Taisho era.
김병진,Kim, Byoung-Jin 한국주거학회 2016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7 No.1
This study examines ways of housing usage and aspects of resident's life based on the representative traditional house "UNJORU" as time passed. In other words, it explains how the traditional life has changed. these days compared to late Joseon dynasty. It also explains how the meaning of the place changed by life style change and the aspect have changed in women's perspective. This is for restoring the time period that the life dairy was recorded later time period. We can trust Mrs. Lee who is the eldest resident of them at the present in UNJORU. The method of study proceeded by interview format. It is classified a meal place and a folk-beliefs the daily life the funeral rites non-daily life, such as in this proces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onsciousness and life form at the time of residents. As a result, Ryu's family life style has preferred a more modern life style than traditional life style by time as well as society changes.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possible to analyze how the external formality of traditional house has kept but internal formality has changed over time.
자본시장 발달에 따른 합병공시의 규모효과와 그 원인변수
김병진,정진영 한국재무학회 2014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1
본 연구에서는 합병의 실증분석에 있어서 퍼즐로 남아 있는 합병 공시의 규모효과를 자본 시 장의 발달 정도와 연계시켜 분석을 하였다. 2001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 장되어 합병을 공시한 1,293건의 표본 자료를 대상으로 교차회귀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합병 공시의 규모효과는 부채비율이 높은 기업 일수록 더욱 크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부채사용에 따른 감시 통제효과가 소규모 기업일수록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며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커진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자본시장이 발달될수록 자기자본조달이 용이해짐으로써 부채 비율을 감소시키며, 합 병공시에 따른 소규모 효과의 원인변수로서의 부채 효과 또한 줄어듦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합병 공시의 규모효과에 대한 원인 변수를 밝혀 낸 최초의 논문이라는 데에 큰 의 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자본시장의 발달 정도와 연계를 시켰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