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gional Analysis of Soft Tissue Thickness on Korean Buttocks and Application to Fasciocutaneous Flap Design

        김도엽,최현남,박진형,김신락,김현,한예식 대한성형외과학회 2014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41 No.2

        Background: Various shapes and designs of the gluteal artery perforator flap have been used for treating sacral pressure sores and reconstructing breasts. To establish the ideal fasciocutaneous flap design for use in the gluteal area, the soft tissue thickness distribution was measured. Methods: Twenty-one buttocks of adult Korean cadavers were analyzed through rectangular subfascial dissection. Each buttock was divided horizontally into 10 sections and vertically into 10 sections, and then, the thickness at the corners of the sections was measured. For the sake of comparison and statistical verification with living bodies, computed tomography (CT) images of 120 buttocks of patients were randomly selected. Five horizontal sections and 4 vertical sections were made, and the thickness at each corner was recorded. Results: According to the dissection and the CT images, the area with the thinnest soft tissues in the buttock was around the posterior superior iliac spine, close to the sacral area. The thickest area was the superolateral area of the buttock, which was 3.24 times and 2.15 times thicker than the thinnest area in the studies on cadaver anatomy and the CT images,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thickness of the soft tissues in the buttocks differed by area. The superolateral area had the thickest soft tissues, and the superomedial area had the thinnest. This study includes information on the distribution of the thickness of the gluteal soft tissues of Koreans. The outcome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design of effective local flaps for pressure sore reconstruction and free flaps for breast reconstruction.

      • KCI등재

        배구 스파이크 서브의 타점 위치와 공 궤적과의 관계

        김도엽,이기청,곽창수 대한운동학회 2013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5 No.4

        [서론] 이 연구는 스파이크 서브에서 공의 절대적 위치와 상대적 위치에 따른 공의 궤적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남자 고등학교 엘리트 배구선수 4명을 대상으로 스파이크 서브 시 코트와 선수를 기준으로 한 공의 위치와 공 궤적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3차원 영상분석방법으로 운동학적 변인들을 계산한 후, 이에 대해서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스파이크 서브의 임팩트 순간 성공된 공의 높이는 273.6cm 정도로 나타났다. 또한 임팩트 순간 선수의 어깨와 공사이의 거리는 성공 시 약 15.1cm, 네트 실패 시 약 32.5cm 정도 앞에 두고 타구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이 네트를 지나는 순간 성공된 공의 높이는 303.7cm로 네트 위 약 60cm이다. 서브 속도는 공 한 개 정도 앞에 두고 타구 할 경우에 77km/h로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결론] 안정적이면서도 강력한 스파이크 서브를 구사하기 위해서는 공과 스파이크 하는 팔의 어깨를 기준으로 공 한 개 정도의 앞에 두고 타구하는 것이 중요하며, 네트를 지나는 순간 공의 높이는 네트 위 약 60cm 높이로 지나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타구하는 순간 속도는 성공 시 가장 빠른 속도를 보이고 있으므로 성공적인 스파이크 서브를 하기 위해서는 빠른 속도로 공을 타구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성공 시에 공의 궤적은 네트를 지나면서 지면에 닿은 순간 까지 급격하게 공이 아래로 떨어졌다. 공에 강력한 탑스핀을 가해주면 마그누스 효과에 의해 공은 급격하게 아래로 떨어지기 때문에 타구하는 순간 공의 윗부분을 타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ball's trajectory according to absolute and relative position of volleyball Spike serve. [METHOD] For that purpose relation between a ball's position and trajectory was analyzed based on the court and player at the Spike serve of four high school elite volleyball players. The followings were concluded after analyzing kinematic variables by three-dimensional images using the video of spike serve. [RESULT] The height of the ball in a moment of the impact of a spike serve are 273.6cm. The distance between shoulder and the ball in a moment of the impact is also 15.1cm when you succeed, but it is 32.5cm when you fail. The height of the ball is 303.7cm that is about 60cm from over the net, when the ball pass by the net. [CONCLUSION] It was significant to hit the ball leaving a little space about one ball between the ball and the shoulder of spike's arm and desirable that the height of the ball at the moment passing the net was 60cm. Although the height on hitting the ball have not materially affected the outcome of Spike serve the higher the hitting position was, the better angle was secured to drop the ball inside the court. Instantaneous velocity on hitting the ball showed that hitting the ball at high speed was proper to have successful Spike serve. The ball's trajectory were rapidly on the downward path from the net to the ground. Once the ball was put Topspin, the ball sharply fell down by the Magnus effect. For this reason, it was considered that hitting the top of the ball was advisable.

      • KCI등재

        반응표면분석법을 활용한 문어(Octopus vulgaris) 조미김(Pyropia yezoensis)의 제조공정 최적화

        김도엽,강상인,정우철,이정석,허민수,김진수 한국수산과학회 2019 한국수산과학회지 Vol.52 No.4

        This study aimed to optimize mixing conditions (adding amount of squid skin and sea tangle Saccharina japonica) for concentrates of octopus Octopus vulgaris cooking effluent (COCE) and roasting conditions (temperature and time) of seasoned Laver Pyropia yezoensis with concentrates of octopus cooking effluent (SL-COC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results of RSM program for COCE showed that the optimum independent variables (X1, squid skin amount; X2, sea tangle amount) based on the dependent variables (Y1, odor intensity; Y2, amino-N content; Y3, sensory overall acceptance) for high-quality COCE were 0.53% (w/w) for X1 and 0.48% (w/w) for X2 for uncoded values. The results of the RSM program for SL-COCE showed that the optimum independent variables (X1, roasted temp.; X2, roasted time) based on the dependent variables (Y1, burnt odor intensity; Y2, water activity; Y3, sensory overall acceptance) for high-quality SL-COCE were 344°C for X1 and 8 sec for X2 for uncoded values. The SL-COCE prepared under optimum procedure was superior in sensory overall acceptance to commercial seasoned laver.

      • KCI등재
      • KCI등재

        붕장어(Conger myriaster) 시즈닝을 활용한 조미김(Pyropia yezoensis)의 제조공정 최적화

        김도엽,강상인,이창영,김혜진,이정석,허민수,김진수 한국수산과학회 202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53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ptimize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seasoned laver Pyropia yezoensis with conger eelConger myriaster seasoning sauce (CE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RSM program results forbonesoftness showed that the optimum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e dependent variables (Y1, lipid removalrate; Y2, texture; and Y3, sensory fish odor score) were 431.0% for X1 (water amount), 115.6°C for X2 (retort-operatedtemperature), and 50.1 min for X3 (retort-operated time). The RSM program results for the CES blend showed thatthe optimum independent variables (X1, amount of bone-softened conger eel by-products; X2, mixed sauce amount;and X3, starch amount) based on the dependent variables (Y1, amino-N; Y2, Hunter redness; and Y3, drying time) were44.8% for A (pre-treated conger eel by-product), 36.0% for B (mixed sauce), and 19.2% for C (starch). The RSMprogram results for seasoned laver with CES showed that the optimum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e dependentvariables (Y1, water activity; Y2, Hunter yellowness; and Y3, overall acceptance) were 5.0% for X1, (CES amount),313.8°C for X2 (roasting temperature), and 6.0 s for X3 (roasting time). The seasoned laver with CES prepared underthe optimum conditions was superior to commercial seasoned laver in terms of overall acceptance.

      • KCI등재

        전기차 완속 충전기 제품 디자인 개발연구: M사 사례를 중심으로

        김도엽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2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6 No.3

        Background Electric vehicles require various charging facilities for battery charging. Although various electric vehicle charger products are being developed recently, design research on them is insufficient. This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design development case of Mercedes-Benz's Korean-style slow charger mass production that reflected the design identity (D.I). Methods After conducting a general review on electric vehicle chargers, investigating and analyzing development cases, design requirements were identified. After that, the D.I system of company M's electric vehicle brand was organized and design styling was carried out based on this. Design proposals were selected through consultation with stakeholders and experts, 2D and 3D processing, mockup, and tool development were carried out. An expert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on the final design to evaluate the final design. Result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D.I system,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brand were derived, the final design proposal was selected, and a design mockup was developed through collaboration with the design department. The completed final design was evaluated by experts. As a result of the expert evaluation, the result was 3.945 out of 5.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the process of applying the design identity system to product design as a case of mass-production developmen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to which research on design identity was applied. This is an electric vehicle charger mass-production type product design development case, and it is meaningful as a reference material for similar projects. 연구배경 전기자동차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다양한 충전시설이 필요하다. 최근 다양한 전기차 충전기 제품이 개발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디자인적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디자인 아이덴티티(D.I)를 반영한 메르세데스 벤츠의 한국형 완속 충전기 양산 디자인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전기차 충전기에 대한 일반고찰을 진행하고, 개발 사례를 조사, 분석한 후 디자인 요구사항을 파악하였다. 이후 M 사의 브랜드의 D.I 체계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 스타일링을 진행하였다. 관계자 및 전문가 협의를 통해 디자인 안을 선정하고, 2D, 3D과정을 거쳐 목업 및 기구개발을 진행하였다. 최종 디자인에 대한 전문가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최종 디자인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D.I 체계의 적용을 통해 브랜드의 디자인 특성을 도출하여 최종 디자인 안을 선정하였고 설계부서와의 협업을 통해 디자인 목업을 개발하였다. 완성된 최종 디자인은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평가결과 5점 만점에 3.945점의 결과를 얻었다. 결론 본 연구는 디자인 아이덴티티에 대한 연구를 적용한 전기차 충전기의 양산형 개발 사례로서 디자인 아이덴티티의 체계를 제품디자인에 적용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이는 전기차 충전기 양산형 제품디자인 개발사례로서 유사 프로젝트시 참고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제품디자이너를 위한 3D 렌더링 교육 프로그램 연구

        김도엽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2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8

        실재감 높은 연출 3D 렌더링 이미지는 제품디자인 과정 및 마케팅 과정 전반에 걸쳐 다방면으로 활용되므로 그 중요도가 높다. 이에 따라 관련 능력은 제품디자이너가 반드시 갖추어야 할 능력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대학의 관련 학과에서는 제품의 3차원 외관을 제작하는 3D 모델링 위주의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3D 렌더링과 관련한 체계적인 교육은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품디자인 과정과 각 과정에서 필요한 시각적 결과물에 대한 연구를 통해 실재감 높은 3D 렌더링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이어 3D 데이터의 종류와 특성과 3D 렌더링 과정과 주요 렌더러에 대한 소개, 그리고 실재감 높은 연출 3D 렌더링 교육을 위한 요소를 정리하고, 제품디자인 관련학과를 대상으로 15 주로 구성되는 3D 렌더링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각 주차는 3D 렌더링을 위한 기술요소와 연출요소로 구성하였으며 개념의 난이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또한 각 주의 주제는 교육 대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주제들로 구성하였다. 1주차는 제품 디자인에 대한 이해와 3D 렌더링과 연출의 중요성, 그리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디지털 도구들에 대한 설명으로 진행하고, 2주차에서 8주차까지는 재질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빛의 종류와 특성, 연출법을 중심으로 하며, 9주차에서 14주차까지는 제품 3D 렌더링의 실재감을 높이기 위한 재질에 대한 이해 및 시간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맵핑 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이어 15주차에는 앞서 진행된 각 주차별로 같은 주제를 학생별로 연출한 결과적 다양성에 대해 함께 감상하고 제품디자이너가 갖추어야 할 능력과 자세에 대한 내용으로 정리하였다. 본 과정의 검증을 위해 참여 학생의 자유 설문을 통한 정성적 평가를 진행하여 본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제품디자이너를 희망하는 학생들과 일선 교육자들에게 참고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