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YOLO와 EfficientNetV2를 사용한 지능적 제품 탐지 및 추천을 위한 End-to-End AI 기반 서비스 모델 개발

        김노아,보담,서혜현,신동철,홍성민,유길상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4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8 No.1

        최근, 동영상 콘텐츠 소비와 제품구매 행동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마케팅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튜브의 영상 시청중에 자연스럽게 인터넷 쇼핑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관련 제품을 탐지하고유사 제품을 추천해주는 서비스 기술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제안한 기술은 YOLOv8과 미리 학습된 EfficientNetV2 를 사용하였고, 제한적으로 탐지할 수 있는 제품 클래스의 개수를 해결하기 위해 CNN모델을 추가함으로써 단일객체 탐지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또한 탐지할 수 있는 제품의 분류 성능을 높이기 위해 Weighted Box Fusion기법을 적용하였다. 테스트 모델에 사용된 제품 검출 성능 평가 결과에서 mAP는 최고 91.2%의 높은 검출률을 보였다. 구현결과, 제안한 기술은 시청중에 판매가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동영상 플랫폼의 End-to-End 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there has been active research in marketing connecting video content consumption to product purchasing behaviors seamlessly.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implement a service technology that detects related products during YouTube video viewing and recommends similar products, enabling a smooth transition to online shopping. Our proposed technology utilizes YOLOv8 and a pre-trained EfficientNetV2, and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a single object detection model by adding a CNN model to address the issue of a limited number of detectable product classes. Additionally, the Weighted Box Fusion technique is applied to enhance the product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detectable products. The product detection performance of the test model showed a high mAP of up to 91.2%. Based on our results, we anticipate that the proposed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various video platforms where sales can be made during viewing, offering an end-to-end service.

      • KCI등재

        서책형교과서와 디지털교과서에 제시된 외적 표상의 특징 비교: 2009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힘’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김노아,장진아,송진웅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8 현장과학교육 Vol.12 No.3

        Digital textbooks will be an important media for expanding learning materials and ways of communicating in the classroom in a 'hyper-connected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ypes and features of external representations presented in paper textbooks and digital textbooks to see how they were constructed meaningful in a different way. In particular, through comparison of digital textbooks that were approved by the 2009 and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a, this study intended to diagnose large or small changes depending on the curriculum and seek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s. As a result, digital textbooks provided quantitative extended data and representations in space beyond physical limits, but these representations were focused on linguistic representations. This tendency was the same in both curricula textbooks, but more diverse types of representations were found in the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In addition, in th1 digital textbooks, illustrative and explanatory representations was used the most, such as the paper textbooks. However, in the digital textbooks, complementary representations were much bigger than the paper textbooks and summative and performative representations were added. In the digital textbooks of the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he complementary representations were slightly reduced, and summative and performative representations were relatively more used. Also, in the digital textbooks, space was used as a way of presenting various representations through the pop-up and screen switching functions by click. In particular, in the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many screen switching functions were presented.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digital textbooks and science classroom. 초연결성이 강조되는 앞으로의 사회에서 디지털교과서는 학습 자료와 교실에서의 소통 방식을 확장시킬 수 있는 중요한 매체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 디지털교과서가 서책형교과서와 얼마나 차별화된 방식으로 의미 있게 구성되었는지 살펴보기 위해 디지털교과서에 제시된 외적 표상의 유형과 특징들을 서책형교과서에 제시된 외적 표상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2009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검정 받은 디지털교과서 간의 비교를 통해 교육과정에 따른 크고 작은 변화들을 진단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교과서는 물리적 한계를 넘어서는 공간 속에서 양적으로 확장된 자료들과 표상들을 제공하고 있었으나 이러한 표상들이 주로 언어적 표상에 집중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성은 두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 동일했으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좀 더 다양한 유형의 표상들이 발견되었다. 표상의 기능적 측면에서 디지털교과서의 표상들은 서책형교과서와 같이 설명적 기능과 예시적 기능을 가장 많이 수행하고 있었다. 하지만 디지털교과서에서는 보충적 기능의 표상들이 급증하였고, 서책형교과서와는 차별화된 요약적 기능, 수행적 기능의 표상들이 추가되었다. 다만,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비해 보충적 기능의 표상이 약간 줄고, 요약적 기능과 수행적 기능을 하는 표상들이 상대적으로 많이 활용되었다. 표상의 제시방법 측면에서 디지털교과서에서는 클릭을 하면 팝업창이나 화면 전환 기능을 통해 여러 표상들을 제시하는 방법으로 공간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는 화면 전환 기능을 통한 제시 방법이 많이 활용되었다. 끝으로 이러한 분석 결과가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과학수업 개선의 측면에서 갖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숏폼 광고가 MZ세대의 제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윤표,김노아,정무현,정소윤,조혜원,황승준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24 고객만족경영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MZ세대를 중심으로 숏폼 광고 시장의 성장과 이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유튜브, 인스타그램, 틱톡과 같은 인기 플랫폼에서 숏폼 광고가 MZ세대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광고의 대중성, 정보성, 직관성이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이는 MZ세대가 오락적 요소보다 유익한 정보를 더 중시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숏폼 광고에서 소비자 참여 요인과 태도는 상호작용과 방해 요인 순으로 태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광고가치와 소비자 태도는 모두 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광고 메시지가 소비자의 기대와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광고 제작자들은 소비자의 관심을 끌고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는 MZ세대가 숏폼 광고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며, 이는 주류 산업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에서 MZ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마케팅 전략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또한, 본 연구는 디지털 마케팅 및 광고 산업에 대한 더 광범위한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pansion of the short-form advertising market and its repercussion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Millennials and Gen Z cohorts. It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short-form advertisements on popular platforms like YouTube, Instagram, and TikTok on the purchasing decisions of these generational groups. Findings highlight that the appeal, informativeness, and user-friendliness of advertisements are crucial. This suggests that Millennials and Gen Z place a higher value on practical information over entertainment. Furthermore, within the realm of short-form advertising, consumer engagement and attitudes are significantly shaped by interaction and interference, with both the perceived value of the advertisement and consumer attitudes positively impacting buying intentions. Crucially, it's essential for advertising messages to align with consumer expectations and needs, requiring creators to produce content that captures consumer interest and fosters favorable impressions. This research offers valuable insights into the response of Millennials and Gen Z to short-form advertising, offering guidance for enhancing online marketing strategies aimed at these groups across various industries. Moreover, the findings are anticipated to pave the way for broader investigations into digital marketing and the advertising se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