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문학의 국제화와 TV드라마의 대형화 : 김은국의 소설 『잃어버린 이름』과 각색된 동명의 특집드라마를 중심으로

        김남혁 ( Kim Nam Hyuk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9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4 No.-

        본 논문은 재외한인작가 김은국의 장편소설 『잃어버린 이름』과 그것을 원작으로 하여 각색된 동명의 TV드라마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소설이 지향했던 문학의 국제성이 수용되고 변화되는 맥락과 특성을 검토했다. 1964년에 처녀작 『순교자』를 발표함으로써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던 김은국은 1970년에 그의 세 번째 소설 『잃어버린 이름』을 발표했다. 이 무렵 그의 문학론은 향토성을 버리고 국제성을 획득하는 데 집중되어 있었다. 그는 재외한인작가의 작품들이 한국의 풍속을 구체적으로 재현할 때 오로지 문학의 향토성만 부각되고, 이 때문에 문학 작품이 여행 안내책과 같은 처지에 놓이게 된다고 판단했다. 이를 타개하고 국제성을 획득하기 위해 그는 문학이 시공간에 대한 구체적인 재현의 문제보다 보편적인 인간 그 자체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여러 강연과 신문 지면에서 그는 현재의 ‘삶보다 큰 것’이라는 표현을 하나의 개념처럼 자주 언급했는데, 국제성을 획득한 문학 속에는 그 개념처럼 구체적인 삶을 승화하고 초월하여 더 큰 것을 추구하는 비극적인 인간이 제시된다고 생각했다. 아울러 그는 이러한 비극적인 인간을 제시함으로써 상대에 대한 증오심과 악몽과도 같은 기억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김은국이 주장했던 문학의 국제성이 오롯이 적용되어 있던 『잃어버린 이름』은 1985년에 MBC에서 3.1절 특집 드라마로 방영됐다. 이 시기 방송은 정부의 영향력 아래 놓여 있었으며, 정부는 국가발전과 민족정기 회복이라는 사명을 방송에서 실천해 주기를 요구했다. MBC는 이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작가의 작품을 활용한 대형 특집 드라마를 만들고자 했다. 드라마 <잃어버린 이름>은 기획 단계에서부터 미국 수출을 고려한 대형 특집 드라마로 제작됐다. 그렇게 완성된 드라마는 원작과 다르게 시대에 대한 구체적인 재현의 수준을 높였으며 일제에 대한 증오심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됐다. 그런데 이 같은 변화는 김은국이 문학의 향토성이라며 거부했던 특성이기도 했다. 이처럼 김은국의 문학과 드라마는 동일하게 전 세계의 독자와 시청자를 고려한 예술의 국제성을 추구했지만, 전자의 국제성이 역사와 인간에 대한 보편성과 연결되어 있었다면, 후자의 그것은 향토성과 연결되어 있었다. This paper dealt with Richard E. Kim’s novel Lost Names(1970) and TV drama of the same title(1985). Small aims of this study were to research the context of understanding that novel in various fields, especially in the area of TV drama in Korea in the 1980s. With this investigation, this paper compared aspects of internationality in novel and TV drama. Richard E. Kim sought to exhibit internationality in his novel that could help Korean literature to surpass locality. He thought that literary internationality could make Korean literature something like world literature but literary locality could make it something like traveling guide book. If so, how could korean literature step toward world literature and get that internationality? He answered that when an author made an effort to represent details of subsidiary information in narrative such as location, time, and so forth, his novel would show only provincialism. However, when an author endeavored to refuse literary locality, history, memory, and hatred that originated in them could be transcended. 15 years later, his novel Lost Names was adapted for TV drama on MBC in Korea. Around this time, TV broadcasting including TV drama was controlled by the government. The New Military Forces dominated broadcasting system and used it to propagate an image of the ideal nation. The TV drama < 잃어버린 이름(Lost Names) > was adapted in this harsh atmosphere of the times. However, this drama also pursued internationality like Richard. E Kim’s novel, which did not realized likewise. Japanese cruelty and resentment against it were stood out in the drama by representing past events in great detail. Broadcasting authorities thought these kinds of adaptation could strengthen internationality in TV drama. In other words, Richard E. Kim’s novel and the adopted TV drama sought internationality alike, but these two works understood it differently. This paper discussed this sameness and difference.

      • KCI등재

        김은국 문학의 보편성과 대중 재현의 문제 : 한국 여행기 「오 나의 한국」(1966)과 소설 『심판자』(1968)를 중심으로

        김남혁 ( Kim Nam-hyuk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0 한국문학연구 Vol.0 No.64

        재미한인작가 김은국의 문학세계에 접근하는 대표적인 작품과 키워드는 1964년에 발표된 『순교자』와 보편성이었다. 이 둘의 대표성은 지금까지도 강력한 영향력을 지니고 있고 그에 준한 연구들이 대거 발표되어 왔다. 하지만 이 때문에 김은국의 문학적 실천들과 그 의미들이 많은 부분 이해되지 못한 채 남아 있기도 했다. 본 논문은 이 같은 연구와 관심의 편중을 조정하기 위해 그가 『순교자』로 문명을 얻고 막 남한에 귀국했을 무렵인 1965년 어름의 시기에 주목하여 그간 주목받지 못했던 그의 문학적 실천들을 음미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그가 남긴 한국여행기 「오 나의 한국(O My Korea)」과 귀국 직전에 탈고했던 『심판자(The Innocent)』(1968)를 검토했다. 본 논문은 이 두 작품이 『순교자』와 보편성이라는 관심 때문에 조명받지 못했던 그의 텍스트들이자, 미학적 보편성이라는 개념으로는 해석되기 어려운 당대 남한의 구체적 역사들과 연결되어 있는 텍스트들이라는 점을 번역, 휴머니즘, 군인이라는 세부 관점들을 마련하여 검토해 봤다. 이 무렵 김은국은 휴머니즘을 자신이 지지하는 문학적 이념으로 내세웠는데, 그것은 생의 모순을 인식하고 그것을 살아내는 것을 의미했다. 「오 나의 한국」은 이 같은 휴머니즘의 시좌에서 한국을 바라보는 여행기이다. 본 논문은 이 여행기가 여행자와 현지인이 만나는 접촉지대의 상호적인 특성이 부각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지만, 한국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접촉지대의 활력과 상호성이 사라지게 된다는 점을 살펴봤다. 한편 김은국은 자신이 지지했던 휴머니즘을 소설 『심판자』의 주인공들인 젊은 군인들을 통해서도 드러냈다. 이 소설에서 한국의 군인은 서구의 판단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휴머니즘의 실천적 존재이자, 삶보다 더 큰 대의를 추구하는 순수하면서도 현실적인 존재로 이해됐다. 그런데 「오 나의 한국」과 『심판자』는 1960년대 내내 김은국이 지지했던 휴머니즘을 구현하는 작품들이었지만, 그 휴머니즘 속에서 대중의 민주주의적 역량은 고찰되지 못하는 공통된 한계를 드러낸 텍스트들이기도 했다. Until now, the representative works and keywords that approach the literary world of Korean-American writer Richard E. Kim were The Martyred (1964) and universality. Their representativeness of these two has a strong influence and too many reviews and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However, for this reason, many of Richard E. Kim's literary practices and their meanings still remained ununderstood.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his literary practices that have not been noticed before, paying attention to the period around 1965, when he became famous for the Martyred and just returned to South Korea. In particular, this paper reviewed his travel writing, “O My Korea,” and his novel, The Innocent (1968). This paper analyzed these two texts around three key words : translation, humanism, and Korean soldier. Through this, it was discovered that these two works were his texts that were not illuminated by the interest of The Martyred and the concept of universality, and those that were linked to the specific history of South Korea of the time. At that time, Richard E. Kim supported humanism, which meant recognizing the contradictions of life and bringing it to life. “O My Korea” was a travelogue that understood Korea from this perspective of humanism. This paper has found that although this travelogue wa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action of the contact zone where travelers and locals meet, but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lated into Korean, the vitality and reciprocity of the contact zone disappeared. In addition, Richard E. Kim revealed the humanism he supported through the young soldiers who were the protagonists of the novel The Innocent. In this novel, the Korean soldier was understood as a practical existence of humanism that cannot be understood by Western thought, and as a innocent and realistic being who pursues a greater cause than ordinary life. However, “O My Korea” and The Innocent were works that embodied the humanism that he supported throughout the 1960s, but in that humanism, the democratic capacities of the multitude could not be considered.

      • KCI등재

        물리·화학적 혼합 식각 공정에 의해 제조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의 표면 형상과 광학 특성

        김남혁,손정일,김광수,Kim, Namhyuk,Sohn, Jeongil,Kim, Gwangsoo 한국재료학회 2017 한국재료학회지 Vol.27 No.9

        Surface morphology and optical properties such as transmittance and haze effect of glass etched by physical and chemical etching processes were investigated. The physical etching process was carried out by pen type sandblasting process with $15{\sim}20{\mu}m$ dia. of $Al_2O_3$ media; the chemical etching process was conducted using HF-based mixed etchant. Sandblasting was performed in terms of variables such as the distance of 8 cm between the gun nozzle and the glass substrate, the fixed air pressure of 0.5bar, and the constant speed control of the specimen stage. The chemical etching process was conducted with mixed etching solution prepared by combination of BHF (Buffered Hydrofluoric Acid), HCl, and distilled water. The morphology of the glass surface after sandblasting process displayed sharp collision vestiges with nonuniform shapes that could initiate fractures. The haze values of the sandblasted glass were quantitatively acceptable. However, based on visual observation, the desirable Anti-Glare effect was not achieved. On the other hand, irregularly shaped and sharp vestiges transformed into enlarged and smooth micro-spherical craters with the subsequent chemical etching process. The curvature of the spherical crater increased distinctly by 60 minutes and de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ing etching time. Further, the spherical craters with reduced curvature were uniformly distributed over the etched glass surface. The haze value increased sharply up to 55 % and the transmittance decreased by 90 % at 60 minutes of etching time. The ideal haze value range of 3~7 % and transmittance value range of above 90 % were achieved in the period of 240 to 720 minutes of etching time for the selected concentration of the chemical etchant.

      • 80마력 트랙터의 엔진 출력에 따른 주행 변속 기어 강도 분석

        김남혁 ( Nam-hyeok Kim ),김택진 ( Taek-jin Kim ),박성운 ( Seong-un Park ),최창현 ( Chang-hyun Choi ),김용주 ( Yong-joo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트랙터 작업은 일반적으로 부하의 변동이 크기 때문에 잦은 변속이 요구되며, 적합한 작업 속도를 얻기 위한 많은 변속 단수가 요구된다. 트랙터 개발 기간의 단축과 시험 비용 절감을 위해서는 기어 강도 시험 시간의 단축이 필요하다.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변속기 개발은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면서 설계자가 원하는 기어장치의 특성을 예측 및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트랙터 변속기에 대한 기어 강도 분석을 위하여 80마력 트랙터 모델을 선정하였으며, 실제 필드에서 부변속 기어의 파손이 가장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부변속 기어열 6쌍에 대하여 강도분석을 시행하였다. 기어 강도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된 기어 해석 소프트웨어는 기어, 축 등 기계요소를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KISSsoft를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 조건은 연간사용 빈도에 따른 비율을 각 속도단수에 적용하여 토크를 입력하였다. 재질은 단조 재질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계 구조용 합금강 재질인 SCM420에 해당되는 ISO 규격의 18CrMo4로 선정하였다. 시뮬레이션은 부변속 기어의 굽힘 응력과 접촉 응력을 계산하여 안전율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기어 재질에 대한 허용응력을 기준으로 굽힘 응력의 안전율은 최소 0.52, 최대 3.42로 부변속 기어열 3쌍에서는 안전율 1 이하의 해석 결과를 나타냈다. 접촉 응력의 안전율은 경우 최소 0.42, 최대 0.9로 부변속 5쌍이 안전율 1 이하로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초저속 같이 변속사용 빈도가 낮은 기어열에서 안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내고 있다. 이는 기어가 부러지거나 치면이 마모되어 트랙터 주행과 작업 시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치폭, 재질 변경 등을 통해 기어의 굽힘 응력과 접촉 응력의 안전율을 높여 트랙터 변속기가 파손되지 않도록 강도 보강을 해야 된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기압고도계를 적용한 GPS 고도 데이터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김남혁(Nam-Hyeok Kim),박지호(Chi-Ho Park) 대한전자공학회 2012 전자공학회논문지 Vol.49 No.10

        본 논문은 GPS 위성의 기하학적 배치 한계로 인한 고도값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기압고도계를 활용한 고도 데이터의 성능을 향상 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보정된 고도데이터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코드 기반의 상업용 GPS칩은 고도 데이터의 부정확으로 신뢰도가 떨어져 이를 항법 데이터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도 변화를 기반으로 고도를 측정하는 기압고도계로부터 고도의 상대적 변화를 추출하고, GPS 고도계에 반영하여 보정된 고도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를 수치지도의 고도와 비교하여 보정된 고도데이터의 정확도를 검증한다. This paper suggests an altitude determination algorithm using GPS and barometric altitude sensors and evaluates the algorithm by digital map contour. A code based GPS altitude has lots of errors so that the car navigation companies can not use this data. Therefore, altitude is calculated by convergence data with GPS and barometric altitude variance in this paper. The modified altitudes are compared with the digital map contour and then this algorithm"s effect is evaluated for the car navigation systems.

      • KCI등재

        일반논문 : 제국주의와 여행서사 -메리 루이스 프랫의 연구를 중심으로-

        김남혁 ( Nam Hyuk K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0

        권력과 담론의 관계를 살펴본 에드워드 사이드, 미셸 푸코, 베네딕트 앤더슨 등의 연구들과 공명하면서도 차이를 드러내는 프랫의 연구는 여행문학, 포스트식민주의, 제국주의 등을 다루는 서구 학계에서 교과서적 지위를 인정받아왔지만, 한국에서는 아직까지 소개되지 않은 학자이다. 18-9세기 여행문학을 다루는 프랫의 연구는 여행기가 제국적 확장에 의미를 부여한 맥락들을 살펴본다. 제국의 물질적 이득은 극소수의 사람들에게만 건네졌음에도 불구하고 여행기는 제국의 대다수 시민들에게 제국의 확장을 열망하도록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녀가 특히 18-9세기 여행기들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보다 이 시기의 역사적 조건들이 전변적이었다는 특성에 있다. 노예제도에 반대하고 식민지 독립을 주장하는 목소리들은 이 시기 유럽 안팎에서 등장했고, 식민 지배에 대한 정당성은 여기저기서 위기에 봉착했다. 이러한 위기를 조장하거나 대응하는 데 여행기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었다는 것이 프랫 연구의 핵심 가설이다. 그녀는 이 같은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접촉지대(contact zone)’, ‘문화횡단(transculturation)’, ‘반정복적 서사(anti-conquest narrative)’ 등의 술어들을 제시한다.‘접촉지대’와 ‘문화횡단’은 담론이 식민지 중심에서 주변을 향해 일방향적으로 흐르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는 술어이고, ‘반정복적 서사’라는 술어는 억압적인 행위를 겉으로는 드러내지 않지만 근본적인 차원에서 주변부 타자를 억압하게 만드는 담론의 전략을 강조한다. 프랫의 연구는 이같은 술어들을 활용하여 제국주의 담론이 만들어지는 다기한 맥락들을 살펴보기 때문에 18-9세기 유럽의 여행기가 제국적 지배장치들과 맺고 있는 관계들을 복합적인 시선에서 탐구할 수 있게 한다. This article is a trial for understanding inquiries performed by Mary Louise Pratt. She is a professor of comparative literature and Latin American literature at Standford University and since 1980 her specialized researches have been focussed on the travel literature issued in 18-9c. 『Imperial Eyes』, which is the book managing a lot of travel literatures of 18-9c, investigats the way in which travel writing has constructed an image of the world beyond Europe for European readerships. It focuses on travel writings about South America and Africa in relation to the political and economic expansion of Europe. South America and Africa in 18-9c were not only places where European imperialim and colonialism was constructing but also places where many europeans and indigenous peoples were encounting. However this period was also the ear of legitimation crisis of Euro-imperialism. There were many discourses defending or opposing colonialism in this period and places. Abolotionism was the representative discourse attacting Euro-imperialism, for example, civilizing mission supported it on the opposite side. For trying to read various discourses in this period and in this places, Pratt suggest some coinages. ‘Contact zone’, ‘transculturation’, and ‘anti-conquest’ are the most important and effective concepts for examining various realtions of travel writings and discourses. Contact zone is the place in which peoples geographically and historically separated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establish ongoing relations. Since this coinage stand out attributes of encounter and interaction, herstudies can revise common notion that discourse should be diffused naturally from conter to periphery. And transculturation is the phenomena in the contact zone. Transculturation is used for the purpose of replacing acculturation and deculturation supporting the above common idea. The last concept, anti-conquest, is used for refering to the strategies of representation whereby European bourgeois subjects seek to secure their innocence in the same moment as they assert European hegemony.

      • 건축물에서의 가연물 화재화중 산출을 위한 국외 가연물 연구사례 분석

        김남혁(Kim, Nam-Hyuk),신이철(Shin, Yi-Chul),권영진(Kwon, Young-Jin) 한국화재소방학회 2009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춘계

        국내의 가연물 조사 연구 사례를 통한 가연물 정보의 수집 방식에 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최근 일본건축학회에서 실시된 가연물 연구 사례를 보면서 건축물 내 공간정보와 가연물정보의 효율적인 조사 기법과 기존 가연물 조사 데이터와의 정보 분석을 통하여 국내에 적합한 용도별 가연물 산출을 위한 방법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